이스라엘, 최근 한국 화장품 관심 확대
- 무역관에 국내 화장품 기업 소개 문의 증가 -
□ 이스라엘 화장품 시장 동향
ㅇ 2016년 8월 화장품 병행수입 확대를 위한 목적으로 화장품 규제 완화가 승인됨. 재무부의 계획에 따르면, 향후 화장품 수입 시 표준원의 허가 없이 수입이 가능해질 전망
- 오는 2017-2018 경제계획에 화장품 수입규제 완화 방안이 논의될 전망
ㅇ 이스라엘 화장품 시장의 특징은 대기업 독점시장으로, 약 3개 대기업에 집중돼 있어 이스라엘의 화장품 가격대가 비교적 높은 편에 해당
- 이에, 최근 이스라엘에 온라인 구매가 확대되면서 오프라인 현지구매보다 해외온라인 화장품 구매가격이 저렴한 탓에 온라인 화장품 소비가 증가세임.
- 온라인 구매 확대에 최근 국내 화장품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다수 이스라엘 화장품 수입업체의 국내기업 소개 문의가 늘고 있음.
□ 화장품 바이어 인터뷰
ㅇ Mr Alian 인터뷰에 따르면 최근 이스라엘에서 온라인 화장품 구매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한국 화장품의 품질이 좋다는 평이 이어져 국내 화장품을 수입하고자 화장품 업체 소개를 문의
ㅇ 수입 희망 화장품 품목으로는 안티 에이징 스킨케어 제품, 여드름 스킨케어 및 스팟(특별히 청소년용), 보습 스킨케어 제품, 색소 침착 및 화이트닝 기능성 스킨케어 제품, 노화방지용 스킨케어 제품 수입을 희망하는 것으로 알려짐.
- 이스라엘은 화장품 수입 시 보건부에 승인된 업체의 제품만 수입이 가능한 관계로, 국내 기업 중에 이스라엘 보건부에 등록돼 있는 업체 위주의 소개를 문의
ㅇ Mr Alian에 의하면, 이스라엘 온라인 화장품 구매상 알려져 있는 국내 화장품 업체로는 Tony Moly, Etude House, Skin food, Mizon 등의 업체이며, 이 기업과의 연결을 희망하고 있으나 그 외의 다른 기업도 검토 가능하다고 밝힘.
□ 시사점
ㅇ 이스라엘의 온라인 화장품 구매 증가에 힘입어 국내 화장품 수요 및 관심이 확대되고 있어, 관련 국내 기업들의 이스라엘 시장 검토 및 진출 고려 필요
- 또한, 이스라엘 화장품 수입규제 완화가 논의되고 있어 향후 이스라엘의 화장품 수입이 절차가 수월해질 것으로 전망돼, 국내기업의 관심 필요
자료원: 이스라엘 경제지 The Marker, Mr Alian 인터뷰 내용 및 KOTRA 텔아비브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이스라엘, 최근 한국 화장품 관심 확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이스라엘 화장품 시장동향 | 이스라엘 | 2015-12-31 |
2 | 이스라엘, 마스크팩 매력에 빠지다 | 이스라엘 | 2016-11-10 |
3 | 충북 농식품 대양주 무역사절단 상담회 참관기 | 호주 | 2016-12-08 |
4 | 2016 장춘 오야상장 한국 우수 상품 전시상담회 참관기 | 중국 | 2016-12-08 |
5 | 홍콩 바이어가 들려주는 화장품·패션·생활용품 생생정보 | 홍콩 | 2016-12-03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