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2007년 판 하이테크산업화 주요 분야 가이드라인 발표
中, 2007년 판 하이테크산업화 주요 분야 가이드라인 발표
보고일자 : 2007.2.9
김명신 베이징무역관
□ 개 요
○ 국가발전개혁위원회, 과학기술부, 상무부, 국가지식재산권국 등 정부부처는 지난 1월 23일자로 2007년 ‘우선 발전하는 하이테크산업화주요분야 가이드라인’(當前優先發展的高技術産業化重點領域指南)을 공동 발표함.
- 이번에 발표된 가이드라인은 중국의 11.5규획과 ‘국가중장기과학기술발전규획강요’(國家中長期科學和技術發展規劃綱要)에 의거해 작성됐으며 신흥산업을 육성하고 자원절약형, 환경친화형 경제로 산업을 구조조정하기 위함임.
○ 중국은 1999년 하이테크산업화 가이드라인을 처음 발표했으며, 2001년과 2004년에도 가이드라인 을 발표한 바 있음.
- 중국정부는 고부가가치 첨단산업 중심으로의 산업구조조정을 위해 R &D와 첨단사업 중심의 외자 유치, 인재육성, 하이테크분야에 대한 연구강화 등 하이테크산업발전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 주요내용
○ 이번에 발표된 가이드라인은 9개 산업 130개 하이테크산업화 중점분야를 제시함.
- 분야별로 20개 정보산업분야와 생물(17개), 항공(6개), 신재료(24개), 에너지(15개), 현대농업(14개), 선진제조업(18개), 선진적인 환경보호 및 자원종합이용(10개), 해양산업(6개) 등이 포함됨.
○ 하이테크산업화중점분야 가이드라인 2001년 판은 1999년 판보다 내용에서 많은 변화가 있었으며 2007년 판에서도 상당부분이 수정됨.
- 건축업과 경방직업은 1999년 하이테크화 중점분야에 포함돼 있었으나 2001년 수정판에서는 제외됐으며 2001년 판에는 항공업과 기타 산업이 추가됨.
- 2004년 판은 2001년 판과 비교해 큰 변동 없이 일부 중점분야만 조정됨.
- 이번 가이드라인은 2004년에 비해 위성통신, 중문정보처리 등 기본적으로 산업화를 이룬 5개 분야가 제외됐으며 해양검측기술과 설비, 해양생물활성물질 및 생물제품 등 9개 분야가 지정됨.
| 1999년 | 2001년 | 2004년 | 2007년 | ||||
산업 | 분야 | 산업 | 분야 | 산업 | 분야 | 산업 | 분야 | |
1 | 농업 | 17 | 정보 | 22 | 정보 | 25 | 정보 | 20 |
2 | 정보 | 25 | 생물 및 의약 | 18 | 생물 및 의약 | 17 | 생물 | 17 |
3 | 환경보호 및 자원종합이용 | 17 | 신재료 | 23 | 신재료 | 22 | 항공 | 6 |
4 | 의약 | 12 | 선진제조 | 9 | 선진제조 | 11 | 신재료 | 24 |
5 | 에너지 | 8 | 선진에너지 | 14 | 선진에너지 | 14 | 에너지 | 15 |
6 | 교통운송 | 6 | 선진 환경보호 및 자원종합이용 | 16 | 선진 환경보호 및 자원종합이용 | 11 | 현대농업 | 14 |
7 | 신재료 | 26 | 항공 | 6 | 항공 | 6 | 선진제조 | 18 |
8 | 제조 | 12 | 현대농업 | 12 | 현대농업 | 12 | 선진 환경보호와 자원종합이용 | 10 |
9 | 건축 | 4 | 현대교통 | 8 | 현대교통 | 8 | 해양 | 6 |
10 | 경공업 및 방직업 | 11 | 기타 | 13 | 기타 | 8 | - |
|
총계 |
| 138 |
| 141 |
| 134 |
| 130 |
자료원 : 1999, 2001, 2004, 2007년 當前優先發展的高技術産業化重點領域指南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中, 2007년 판 하이테크산업화 주요 분야 가이드라인 발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말련, 경제 호황 도래 | 말레이시아 | 2007-02-09 |
2 | 中 대체 에너지 시장 급성장, 2020년 1000억 달러 규모 | 중국 | 2007-02-10 |
3 | 중국, 2006년 발명특허 취득 2만 5000건 | 중국 | 2007-02-09 |
4 | 방글라데시 항공화물 수요증가 | 방글라데시 | 2007-02-11 |
5 | 모로코, 2006년 대외교역규모 11% 증가 | 모로코 | 2007-02-09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