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흐스탄의 지역별 산업 특징 및 트렌드
- 지역별 산업특징이 뚜렷. 서부는 석유·가스, 동부는 광산업, 남동부는 종합 제조업 -
- 카자흐 정부, 비자원 분야 육성을 위해 다양한 정책 수립 -
□ 지역별 주요 산업
ㅇ 카자흐스탄은 크게 6개의 지역으로 나뉘는데, 지역별로 산업특성이 다양함.
- 최대 도시 알마티를 중심으로 한 동남부지역, 러시아와 가까운 북부지역, 중국 및 몽골과 인접해 있는 동카자흐스탄지역, 스텝이 펼쳐진 중부지역, 우즈베키스탄과 인접한 남부지역, 카스피해 쪽의 서부지역 등
카자흐스탄의 지역별 산업 구조
자료: info.kz
ㅇ 외국인 투자유치 공기업인 Kazakh Invest는 투자유망 분야를 선정해 외국자본과 기술을 유치하기 위해 노력 중임.
- Kazakh Invest는 상당한 수요가 있으면서 수입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품목들을 지정함. 농업과 농기계는 그 중 하나임.
Kazakh Invest가 선정한 투자유망 분야
자료: Kazakh Invest
ㅇ 농기계는 벨라루스, 러시아, 중국산 제품들이 많이 수입됨. 카자흐스탄에서 농기계를 생산하는 기업은 거의 없고 존재하는 국내기업조차 조립식 공정이 대부분이어서 핵심 부품들은 수입에 의존
자료: Kazakh Invest
ㅇ 농기계 중 수요가 많은 제품은 프론트로더, 크롤러 굴착기, 백호 로더, 불도저, 트랙터 등임.
ㅇ 카자흐스탄 국영TV인 Habar사는 한국의 종합상사인 H사가 투르키스탄주에 트랙터 생산공장에 투자할 예정이라 보도함. 카자흐스탄 정부는 생산설비공장 건설을 위한 보조금과 세제 혜택을 지원하겠다고 답변
ㅇ 정부는 전력 케이블의 국산화를 위해 여러 지원을 제공 중에 있음.
ㅇ 카자흐스탄은 전력망 현대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노후화된 전력발전소를 교체하고 전력 송전망 현대화 계획을 가지고 있음.
ㅇ 케이블, 배선제품, 고선압 장비들의 수입 의존율은 약 70%로 대부분을 러시아 및 중국에서 조달
전력 케이블 수입의존도
자료: kazakh invest
카자흐스탄에 진출한 주요 전력 케이블 생산업체 & 유통업체
|
업체명/생산 & 수출 |
1 |
Alageum Electric JSC |
2 |
KEMONT JSC |
3 |
Agromashholding JSC |
4 |
Kazcenterelektroprovod LLP |
5 |
KAINAR ABK LLP |
|
업체명/유통 & 수입 |
1 |
NKB Group LLP |
2 |
SpetsAgroTech Trade LLP |
3 |
Baikonur Machinery LLP |
4 |
KOMEK Machinery LLP |
5 |
Allur Auto LLP |
자료: yandex.kz
ㅇ 카자흐스탄 정부는 전력 그리드망 구축 및 전력망 현대화 차원에서 2030년까지 110억 달러를 투자할 예정임. 아울러 2만 5000㎞에 달하는 송전망을 현대화시키고 국산제품으로 대체할 계획을 가지고 있음.
ㅇ 석유, 가스 등의 천연자원은 카자흐스탄 경제에서 분리할 수 없는 부분으로 국가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ㅇ 2014년 이후 카자흐 정부에서 비자원 정책 육성을 적극적으로 지원 중이지만 자원 분야 또한 외국인 투자 확대와 생산설비 확충을 위해 노력 중임.
ㅇ 카자흐스탄 정부는 카스피해에 위치한 텡기즈 유전과 Karachakanakskoye 유전을 확대할 계획을 지니고 있으며, 해당 분야에 적극적으로 투자할 예정
ㅇ 현재 대부분의 생산설비는 수입되지만 일부는 국내에서 생산됨. 대표적인 기업은 페트로파블로브스크에 위치한 Petropavlovsk Plant이며, 알마티에 위치한 Almaty Plant는 야금설비, 광산장비, 석유추출설비 등을 생산함.
□ 시사점
ㅇ 석유 및 가스 수출로 2000년대 평균 9~10%의 경제성장률을 달성하던 카자흐스탄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2014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사태, 2014년 환율 폭락, 저유가 등의 악재가 겹치면서 경제가 침체됨.
ㅇ 이후 카자흐 정부는 자원중심 경제성장의 한계를 실감하고 제조업을 포함한 비자원 분야 육성을 위해 여러 정책들을 내놓고 있음.
카자흐스탄 산업의 SWOT 분석
S |
W |
ㅇ 제조업 육성을 위한 정부의 강한 의지 ㅇ 기업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 ㅇ 시장 규모의 증가 |
ㅇ 상대적으로 작은 시장 ㅇ 부족한 산업전문가와 기술 ㅇ 불리한 물류 |
O |
T |
ㅇ 물류 인프라 개선에 따른 중앙아시아 시장 확대 가능성 존재 ㅇ 꾸준한 경제성장과 높은 인구 성장률 |
ㅇ 불안한 내부 정치 ㅇ 중국, 러시아 제품의 저가공세 ㅇ 달러 환율 문제 |
ㅇ 하지만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에도 불가하고 현지 생산 수준이 글로벌 수준을 따라가기엔 아직까지 어려워 보임.
- 카자흐스탄 정부는 전력망 현대화, 농업 생산력 증대, 기타 종합제조업 육성을 위해 힘쓰고 있지만 자본과 기술이 부족해 아직까지 큰 성과는 없음. 아울러 러시아에서 무관세로 들어오는 저렴한 제품들로 인해 자국산업이 발전하기 어려운 형국임.
ㅇ 카자흐스탄에 투자 진출한 한국의 A사는"현지 제조업 수준이 낮아 부품의 현지조달이 불가하고 대부분은 한국에서 반입해서 현지에서는 조립만 하는 식"이라 밝힘.
ㅇ 카자흐스탄에 투자 진출을 희망하는 한국 기업은 진출 전 충분한 시장조사를 통해 현지 사정을 면밀히 검토해야 됨.
자료: KOTRA 알마티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카자흐스탄의 지역별 산업 특징 및 트렌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한국투자기업들의 폴란드 투자진출 현황 | 폴란드 | 2019-07-08 |
2 | 中 2019 자유무역시험구 외국인투자 진입 특별관리조치 정식 시행 | 중국 | 2019-07-08 |
3 | 2019년 키르기스스탄의 정치·경제동향 | 카자흐스탄 | 2019-07-13 |
4 | 中 2019년판 외국인투자 장려산업 목록 발표 | 중국 | 2019-07-02 |
5 | 캄보디아, 건설업 최대 호황기를 노리다 | 캄보디아 | 2019-07-12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