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 중앙 국유기업 산시성 투자진출 확대, 우리 기업 주목 필요
- 산시성에 대한 중국 중앙 국유기업들의 투자진출이 활발해지고 있다. 9월24일 업무협약식을 통해 3,880억 위안 상당의 인프라 구축 분야 투자진출이 확정된 바, 우리 기업들의 주목이 필요하다.
- 중국
- 시안무역관
- 2020-11-02
-
- MENA 지역 금융 선도 단지, 아부다비 글로벌 마켓(ADGM)
- 아부다비 글로벌 마켓(ADGM, Abu Dhabi Global Market)은 2015년 UAE의 수도 아부다비에 설립된 국제 금융 프리존으로 금융, 핀테크 및 다양한 분야의 2,650개사를 유치한 자유무역지대이다. 본 프리존 투자 진출 정보를 살펴보고자 한다.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 2020-10-30
- 추천 : 1
-
- 모로코 외국인 직접투자 현황 및 전망
- 모로코는 제조업 육성, 실업률 감소를 목표로 외국인 투자유치를 적극적으로 장려하나 2019년 외국인 투자유치는 15억 달러로 전년 대비 54% 급감하였고 올해 1-7월 투자금액 또한 21.5% 감소하였다. 올해는 특히 코로나 여파로 자동차 수출부진, 경제활동 위축으로 직접적인 타격을 받고 있다. 최근 모로코 내 코로나가 재확산되어 단기 회복여부가 불확실한 상황으로 현지 코로나 및 경제여건 변화에 대한 면밀한 관찰 및 사전 준비가 요구된다.
- 모로코
- 카사블랑카무역관
- 2020-10-30
-
- 멕시코 공공입찰 소개 및 정부 프로젝트 전망
- 멕시코 정부는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경기부양책으로 각종 인프라 프로젝트 계획 발표했다. 프로젝트 정보 및 입찰 관련 정보는 멕시코 정부조달 사이트와 멕시코 프로젝트 사이트를 통해 확인 가능하며, 해당 분야 진출기회 공략을 위한 멕시코 공공입찰 종류, 진행과정, 주요 프로젝트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멕시코
- 멕시코시티무역관
- 2020-10-30
- 추천 : 1
-
- 중국, 창춘시에 한중 국제협력시범구 조성
- 중국이 동북3성(省)의 거점 도시인 진린성 창춘시에 한중국제협력시범구를 조성한다. 일대일로 구상과 신북방정책 간 연계협력과 헤이룽장, 랴오닝, 진린 등 동북3성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 중국
- 선양무역관
- 2020-10-29
-
- 인도, 첸나이 스타트업 생태계의 현황과 미래
- 인도 4대 스타트업 생태계를 자랑하고 있는 첸나이 지역 업계를 소개하고 있다. 벵갈루루, 뉴델리, 뭄바이보다는 약하지만, 첸나이에서도 꾸준하게 유니콘 기업이 배출되고 있다. 어느 업종이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생태계로서 어떠한 장단점이 있는지를 밝히고, 향후 발전 방향을 탐색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한다.
- 인도
- 첸나이무역관
- 2020-10-28
-
- 인도, 전자산업을 핵심성장분야로 집중 지원
- 인도 전자산업(부품 및 완제품 포함)은 경제 발전을 견인함과 동시에 국가 산업의 기반이 되고 있다. 인터넷 사용 인구 세계 2위인 인도가 디지털 금융 시장에 발을 들이면서 전자산업 가치도 나날이 상승하고 있다.
- 인도
- 뭄바이무역관
- 2020-10-28
-
- 아르헨티나, 바카무에르타 투자 촉진 유도
- 아르헨티나의 네우켄(Neuquén) 지역에 있는 바카무에르타는 국제유가 하락으로 2019년 이후 투자가 크게 줄어 매우 활동이 저조한 상태를 면치 못했다. 그러나 아르헨티나 정부는 이러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고부가가치 생산능력 향상, 수출증대, 고용확대 등을 위해 새로운 천연가스 생산촉진 계획을 2020년 10월 5일(木) 발표했다. 이 계획을 잘 추진할 경우 바카무에르타 기업활동도 다시 살아날 것으로 보인다.
- 아르헨티나
- 부에노스아이레스무역관
- 2020-10-27
-
- 태국 투자 진출 시 이런 점은 기억하세요
-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에서 1989년부터 발표하기 시작한 IMD 국제경쟁력 지수에 따르면, 태국의 국제경쟁력 지수는 2019년 기준 25위로 우리나라(28위)보다 3계단 앞서 있다. 태국 내 등록 사업체 수는 총 77만 개 수준이며, 이 중 14%는 외국 기업이다. 외국기업들이 등록자본금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 태국
- 방콕무역관
- 2020-10-26
-
- 2020년 상반기 미국 기술분야 거래 동향 분석
- 2020년 상반기 미국 기술분야 거래는 코로나19가 세계 경제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쳐 투자자들이 유동성과 단기 보호에 초점을 맞추면서 거래액과 거래량이 2019년 동기 대비 다소 감소하였지만, 투자자들이 기술 부문을 안전한 투자처로 인식하였고 나스닥 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긍정적인 신호를 보인 것으로 밝혀졌다.
- 미국
- 실리콘밸리무역관
- 2020-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