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0년 카자흐스탄 중소기업 경기 및 투자동향
- 2020년 상반기, 카자흐스탄 중소기업의 소득은 유가 하락 및 코로나 사태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약 30% 감소했다. 정부는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우대대출, 세금면제, 국가자산 임대료 면제 등의 지원책을 실시하고 있다. 경제위기로 인해 중대형 기업의 고정투자는 감소한 반면, 소기업의 투자는 증가했다.
- 카자흐스탄
- 알마티무역관
- 2020-11-20
- 추천 : 2
-
- 쿠웨이트 FDI, 중소기업 직접투자진출 전략
- 쿠웨이트의 외국인 직접투자에 대해 안내합니다. FDI 비지니스를 하는 해외기업들을 위한 법인 종류, 법적 의무, 세무 의무 등 실용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KDIPA 라이선스 기업의 혜택을 소개합니다. 본 보고서를 통해 쿠웨이트에 국내 중소기업들의 직접 진출이 늘어나길 바라며 KDIPA 라이선스 취득을 위한 팁을 제시합니다.
- 쿠웨이트
- 쿠웨이트무역관
- 2020-11-20
-
- 베트남, 포스트 코로나 FDI 투자 유치 동향
- 1988년 베트남 정부가 처음 외국인투자를 받아들인 이후로 베트남의 외국인직접투자 유치 32년이 지났다. 외국인 직접투자는 베트남 경제의 주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으며 사회경제발전, 고용창출, 국가예산수익 창출, 국가 경쟁력 제고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 2020-11-19
- 추천 : 3
-
- 스페인, 디지털 서비스세 도입
- 스페인 정부는 디지털 서비스세에 대한 법령을 통과했으며 이는 2021년 1월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스페인 내 법인을 두고 있지 않지만 온라인 사업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다국적 기업들은 수익의 3%를 디지털 서비스세로 납부해야 한다. 현지 업계에서는 해당 조세 도입으로 인해 미국과의 무역 마찰, IT산업 위축 등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 스페인
- 마드리드무역관
- 2020-11-18
-
- 통일 30주년에 살펴본 구동독지역 유망산업과 투자환경(2)
- 한국은 삼성전자, 한화큐셀, 한국타이어 등 대기업과 기술력을 보유한 중소중견기업, 스타트업들이 일찌감치 구동독 지역의 가능성을 보고 투자진출의 문을 두드려왔다. 최근 테슬라, CATL 등 글로벌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가 활발해지는 시점에서 동독 지역의 투자매력을 다시 한 번 되돌아보자.
- 독일
- 함부르크무역관
- 2020-11-18
- 추천 : 2
-
- 사우디, 외국인 근로자 보증인제도 개선 노동개혁안 발표
- 사우디 인력사회개발부는 지난 11월 4일 외국인 근로자 보증인 제도 폐지를 골자로 하는 노동개혁안을 발표했다. 노동개혁안은 2021년 3월 14일부터 적용될 예정이며, 외국인 노동자는 보증인(고용주)의 승인 없이 이직과 해외 출입국 및 최종 출국 비자 신청이 가능하다.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 2020-11-16
- 추천 : 2
-
- 터키 마니사 주 자동차 부품 산업 클러스터 조성
- 매년 150만 대 이상의 완성차를 제조하여 75% 이상을 수출하는 터키의 자동차 산업은 권역에서 큰 규모에 속한다. 덕분에 관련 산업인 자동차 부품 공급 업체도 다수 존재하고 있으나, 여전히 수입산 제품에 대한 수요가 존재한다. 중간재 국산화 정책을 시행 중인 터키 정부는 유럽연합의 지원을 받아 마니사에 자동차 부품 산업 클러스터를 조성, 자국 산업의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 터키
- 이스탄불무역관
- 2020-11-16
-
- 부다페스트에서 111km 거리의 솔노크 산업단지
- 솔노크 도시에 위치한 솔노크 산업단지는 헝가리 부다페스트와 100km 가량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훌륭한 교통 인프라와 노동력을 보유하고 있다. 다양한 수단을 활용해 화물을 헝가리 동서로 수송할 뿐만 아니라 루마니아와 CIS지역까지 진출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자동차 시트 제조업체 Eagle Ottawa와 전력 생산업체 Eon이 위치한다.
- 헝가리
- 부다페스트무역관
- 2020-11-13
-
- 中 상하이시, 중국 내 첫 지방 외상투자조례 시행
- 중국 상하이시는 외상투자법 실시 이후 지방에서는 처음으로 별도의 외상투자조례의 정식 시행을 발표했다. 이른바 개방도 확대를 위한 "상하이판 외상투자조례" 시행을 통해 향후에도 적극적인 외자유치를 수행할 것으로 보이며 해당 조례는 11월 1일부터 시행됐다.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20-11-12
-
- 대만 내 일본기업 투자 동향
- 대만은 일본과 장기간 밀접한 우호협력관계를 이어가고 있는 시장으로 대만에는 1,200여 개의 일본기업이 진출해 있다. 2020년 들어 일본의 對대만 도·소매업 투자가 급증하고 대만 핵심산업 접근성 제고와 제3시장 진출 모색을 위한 투자도 활발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 대만
- 타이베이무역관
- 2020-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