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 구이저우성 개황 및 경제, 주요 산업 현황
- 구이저우성의 인구는 약 4200만 명이며 중국 서부 육지 실크로드와 21세기 해상 실크로드의 중요한 연결선이다. 국가급 빅데이터 종합시험구, 국가 생태 문명 시험구, 내륙 개방형 경제실험구, 녹색 금융 개혁 혁신 시험구 등의 허가를 얻는 지역이다. 최근들어 빅데이터 발전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풍부한 광물, 쾌적한 기후, 아름다운 관광지 등을 토대로 최근 GDP 성장율이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이다.
- 중국
- 충칭무역관
- 2020-12-09
-
- 중남미 카리브, 외국인투자 유치 감소
- 중남미카리브의 2019년 외국인투자 유치는 1607억 2100만 달러로 2018년보다 7.8% 줄었으며 2020년에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2019년보다 45~55% 감소했다. 한편 유엔중남미카리브경제위원회 사무총장(Alicia Bárcena)은 “한국의 對중남미 직접투자는 이 지역의 산업화에 이바지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 아르헨티나
- 부에노스아이레스무역관
- 2020-12-08
-
- 일본, 위드 코로나19 시대의 스타트업 투자 동향
- 코로나 시기의 스타트업 투자 건수 522건으로 사상 최고 갱신했다. 신 사업개발,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DT)에 대비하기 위한 일본기업의 투자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일본
- 오사카무역관
- 2020-12-07
-
- 싱가포르,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연구에 눈길
- 최근 데이터 연결성, 유동성 및 저장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코로나 사태 장기화로 인한 전세계적의 ‘현금 없는(Cashless) 사회’의 전환에 대한 관심으로 디지털결제 및 화폐시장이 본격적으로 진화하고 있다. 싱가포르 중앙은행 또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개발 프로젝트 Project Ubin을 진행 중이며 CBDC 상용화의 선두에 있는 중국과의 협력을 꾀하고 있어 앞으로의 발전이 유망하다.
- 싱가포르
- 싱가포르무역관
- 2020-12-02
-
- 2020년 상반기 필리핀 외국인직접투자(FDI) 동향
- 필리핀 2020년 상반기 외국인투자유치 현황 및 2019년말 기준 한국의 대 필리핀 투자동향을 안내한다.
- 필리핀
- 마닐라무역관
- 2020-12-01
-
- 모잠비크, FDI 동향과 우리 기업의 현지 투자진출 방안
- 모잠비크는 외국인 투자유치(FDI)를 통한 경제성장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모잠비크는 2023년부터 북부 지역 천연가스 개발 본격화로 향후 각종 프로젝트 확대되고, 내수시장도 크게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기업들도 에너지 개발 분야뿐만 아니라 모잠비크 정부가 중점으로 육성하는 인프라 확충, 농업 개발 등과 함께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은 내수시장 공략을 위한 투자진출도 모색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 모잠비크
- 마푸투무역관
- 2020-11-27
-
- 2020년 변경된 남아공 최저임금법 주요 내용
- 2019년 남아공에 단일 최저임금법이 도입되었다. 이후 물가상승률을 고려하여 2020년 최저임금은 2019년 대비 3.8% 인상돼 20.76랜드로 책정되었다. 남아공 최저임금위원회는 2021년 최저임금의 4.5% 인상을 권고한 바 있어 추이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저임금법 위반 시 고용주에게는 최대 최저임금과 차액에 해당하는 금액의 3배 또는 근로자 월급의 3배에 해당하는 액수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으므로 철저한 법규 준수가 강조된다.
- 남아프리카공화국
- 요하네스버그무역관
- 2020-11-27
-
- 폴란드 전기차 배터리 산업, 유럽의 허브로 부상
- 폴란드는 최근 유럽의 전기차 배터리 생산의 허브로 부상하고 있다. 우리나라 기업의 경우, LG화학이 유럽 최초로 전기 자동차 배터리 공장을 설립한 이후 전기차 배터리 소재 및 부품을 생산하는 한국 기업들의 폴란드 투자 진출도 지속 증가하고 있다. 중국 및 서유럽 전기차 배터리 생산 기업들의 폴란드 투자 진출도 매우 활발하게 보여지고 있어, 이미 폴란드에 진출한 한국기업들과 경쟁도 점점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폴란드
- 바르샤바무역관
- 2020-11-27
-
- 중국 VC/PE 투자 업계의 발전 현황
- 중국 VC/PE 시장에 신설된 펀드 수와 펀드 규모는 2010-2014년까지는 점차적으로 증가했으며, 2015-2017년 기간에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새로 설립된 펀드 수가 만 개를 돌파했다. 그러나 2018년 이래로 감독관리가 강화되고 금융 레버리지 효력이 감소하는 등의 이러한 비정상적인 과열 추세도 잠잠해 졌다. 2020년에 코로나19로 인해 창업 프로젝트 및 투자기관 모두 생존 위기에 몰렸고, 많은 기업이 융자나 상장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 중국
- 칭다오무역관
- 2020-11-26
-
- 인도네시아 옴니버스법 통과에 따른 특별경제구역 변경
- 인도네시아 국회는 지난 10월 일자리 창출 특별법/RANCANGAN UNDANG-UNDANG(RUU) CIPTA KERJA(일명 옴니버스법)을 통과시켰고 대통령 서명까지 완료됐다. 인도네시아는 동남아에서 가장 큰 경제규모임에도 주변국 대비 FDI 유치 및 제조업 육성에 어려움이 있었다.
- 인도네시아
- 수라바야무역관
- 2020-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