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 지식재산권 침해 및 분쟁 대응 관련 상담사례(1)
- KOTRA 상하이 무역관은 중국 내 우리 기업의 지식재산권 출원과 등록을 지원하고 침해에 대응하고자 IP 데스크를 운영하고 있다. 2019년부터 2020년 상반기까지 상하이 IP 데스크에서 상담한 주요 내용 중 우리 기업과 관련이 비교적 큰 지식재산권 침해 및 분쟁 대응의 주요 상담사례 15개 문항을 Q&A 형식으로 구성하여 전달하고자 한다.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21-01-04
-
- 코로나19 이후 대인도 투자 트렌드 살펴보기
- 2020년 코로나19 대유행으로 4~6월 FDI 유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60% 감소한 6.6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나, 봉쇄 조치가 완화된 6월 이후부터는 개선 양상을 보이고 있다. 2020년 4~8월 구글, 페이스북 등 미 주요 기업들이 인도 전자상거래 및 통신 분야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집행하며 인도 시장에 대한 기대감을 표출하고 있다.
- 인도
- 뉴델리무역관
- 2020-12-28
- 추천 : 1
-
- 일본 특허를 쉽고 빠르게, ‘특허심사 하이웨이’ 제도 소개
- 세계 각국 특허청에서는 ‘특허심사 하이웨이(PPH, Patent Prosecution Highway)’ 제도를 도입하여, 복수의 국가에서 특허권을 각각 취득하려는 출원인이 보다 신속하고 간단한 수속으로 심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도 2007년 4월 1일부로 ‘특허심사 하이웨이’ 제도를 도입했다. 또한 양국 특허심사 실무자 간 회합을 통해 특허심사 관련 수속 통일에도 힘쓰고 있다.
- 일본
- 도쿄무역관
- 2020-12-28
-
- 홍콩의 혁신기술 스타트업 발전 및 투자 현황
- 2020년 디지털 경쟁력이 세계 5위로 홍콩의 혁신 및 과학기술 산업은 향후 발전 핵심 산업일 것이라고 홍콩 정부가 발표하였다. 홍콩에서 사무소를 설립하는 외국 기업이 많아지는 반면에 홍콩 혁신 및 과학기술 스타트업 기업들은 자금 부족, 창업 비용 부담, 인재 유출 등 어려움을 겪고 있어 외국인 투자 및 해외 기업과의 합작 개발 기회를 기대하고 있다.
- 홍콩
- 홍콩무역관
- 2020-12-24
-
- 2021년, 캐나다 투자진출의 기회를 잡아라!
- 캐나다는 현재 코로나19 백신을 가장 많이 확보해놓은 국가로 2021년도 비교적 빠른 경제 회복세가 기대된다. 이와 함께 2020년도 캐나다는 투자하기에 안전한 국가 TOP 3로 분석된바 캐나다로의 투자 진출 기회가 돋보인다. 2021년도 캐나다의 유망 투자산업으로는 첨단 제조업, 농업, 친환경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녹색 경제를 추진하고 있는 캐나다 정부에 힘입어 투자 기회는 더욱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 캐나다
- 밴쿠버무역관
- 2020-12-23
-
- 콜롬비아 5G 상용화 프로젝트 정보와 참여 기회
- 콜롬비아 정보기술부(MinTIC)는 5G 상용화를 위한 파일럿 사업을 실시한다. 5G 상용화를 위한 콜롬비아 정부의 노력과 프로젝트 관련 정보 및 현재까지의 진행과정, 프로젝트 참여방법 모색 등 다양한 정보에 대해 KOTRA 보고타 무역관에서 소개한다.
- 콜롬비아
- 보고타무역관
- 2020-12-22
-
- 성장하는 헝가리 비즈니스서비스 산업
- 헝가리의 친기업 환경, 고학력 인재 풀 그리고 잘 개발된 인프라는 최근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헝가리 비즈니스서비스센터(BSC) 섹터가 성장할 수 있었던 요인들이다. 자동화, 디지털화 그리고 재택근무 등 새로운 근무형태 관련 안전 관련 지침 제정은 헝가리의 BSC 섹터에 추가적인 경쟁력을 부여할 전망임에 따라 어떤 요인으로 BSC 섹터가 꾸준히 성장중인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 헝가리
- 부다페스트무역관
- 2020-12-21
-
- 미국, 직장 내 코로나19 백신 접종 의무화와 백신 패스포트
- 미국 내 코로나19 백신의 대중 접종이 내년 상반기에 이뤄질 예정인 가운데 고용주들이 직원의 백신접종 의무화 가능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고용주가 직원들에게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요구하는 것은 법적으로 가능하나 몇 가지 예외 사항도 있다. 또한 대중 접종으로 미국 내 백신 패스포트 시스템도 활성화될 전망이다.
- 미국
- 뉴욕무역관
- 2020-12-18
-
- 케냐, 코로나 상황에 따른 해외직접 투자현황 분석 및 시사점
- 코로나19 사태로 전 세계적으로 FDI가 크게 영향을 받고 있다. 이런 영향은 케냐도 예외는 아니다. 2020년 1-9월 케냐의 FDI 유치 현황을 국가별, 분야별로 분석해 보고 우리 기업의 현지 진출 가능성을 알아본다.
- 케냐
- 나이로비무역관
- 2020-12-18
-
- 방글라데시 외국인직접투자(FDI) 동향
- 방글라데시는 전체 GDP 대비 외국인직접투자 비중이 0.5%에 불과한데 이는 남아시아 지역 최저치이다. 방글라데시 정부는 5년 연속 연평균 성장률 6% 이상의 기록을 유지하고 국가산업의 다각화 및 고도화를 위해 외국인직접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국의 제조업 기업을 중심으로 방글라데시 투자진출을 고려해 볼만 하다.
- 방글라데시
- 다카무역관
- 2020-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