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민관합작투자사업(PPP)법 제정을 통해 본 베트남 인프라시장 동향
- 지난 6월 18일 베트남 국회에서 민관합작투자사업(PPP)법이 제정됐다. 이 PPP법에는 손실 위험분담제와 같이 외국투자기업에 유리한 제도가 포함돼 우리 기업들의 투자환경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 주요 부문 인프라는 도시화와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향후 10년간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 베트남
- 다낭무역관
- 2020-07-16
-
- 베트남 민관합작프로젝트(PPP) 활성화 관련 법 통과, 신규 법령과 기존 시행령 비교
- 지난 2020년 6월 18일 베트남 정부가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해외 투자 유치를 확대하기 위해 민관협력투자개발사업(PPP)법을 신규 제정했다. 내년 1월 1일 발효되며 교통, 전력, 정보통신 등의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베트남 화폐로 약 2000억 동(미화 약 104억 원) 이상 드는 사업을 PPP로 추진할 수 있도록 하고 손실 위험 분담 제도가 도입된다. 기존 시행령과 신규 제정 법령을 비교해보도록 하자.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 2020-07-16
- 추천 : 28
-
- 中 상하이, 중소기업 발전촉진 조례 시행
- 상하이시 중소기업 발전촉진 조례는 상하이시 제15기 인민대표회의 상무위원회 제22차 회의 표결을 통해 개정안이 최종 통과돼 6월 17일부 시행됐다. 해당 조례는 상하이 소재 중소기업의 원활한 발전과 성장을 위해 2011년 4월 첫 제정됐으며 2018년 5월 일부 수정을 거쳐 올해 6월 대대적인 세부사항의 조정 및 개정을 통해 최종 공포됐다.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20-07-16
-
- UAE 정부의 외국인 투자 지분율 제한 완화 개정법 발표, 그 후
- UAE 정부는 자국민을 경제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자유무역지대(Freezone)가 아닌 본토(Mainland)에 회사 설립 시 외국인 지분율을 최대 49%로 제한해왔다. 그러던 중 외국인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해 외국인의 투자 지분율 제한을 완화하는 개정법을 발표했으며, 그로부터 약 18개월 후 FDI(Foreign Direct Investment, 외국인 직접투자) 기업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 2020-07-15
-
- 베트남 출입국법 개정, 최대 10년 체류 가능
- 베트남 출입국법이 개정됐다. 개정법에 의하면 대규모 투자자의 최대 체류기간 확대, 무비자 경과기간 폐지, 베트남 내 비자변경 허용 등 투자자에 유리한 개정사항이 눈에 띈다. 반면 소규모 투자자에 대한 비자기간을 단축하고 불법 체류자격 획득을 규제하려는 규정도 추가됐다.
- 베트남
- 호치민무역관
- 2020-07-13
- 추천 : 9
-
- 2020년 상반기 캄보디아 주요 정책 변화
- 캄보디아 정부는 자국 내 코로나 확산방지를 위한 다양한 사회적 거리두기, 해외 입국 제한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는 동시에 피해입은 개인 및 기업들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공표했다. 그외에도 화폐, 인건비 등 단일 여당 독재정권 하에 정책적 변화가 빠르게 일어나 우리 기업들은 각 산업에 영향을 끼칠 정책적 변화를 유의해야 한다.
- 캄보디아
- 프놈펜무역관
- 2020-07-09
-
- 터키 외국인 직접투자(FDI) 현황
- 세계은행에서 발행하는 국가별 사업환경에 관한 보고서(Doing Business 2020)에서 터키는 총190개의 국가 중 76.8점으로 33위를 기록하였다. 이는 중동지역에서는 UAE(16위, 80.9점)에 이어 2위이다. 이와 관련, 최근 대터키 업종별/국가별 해외직접투자동향에 대해서 분석할 필요가 있다.
- 터키
- 이스탄불무역관
- 2020-07-06
-
- 더 가까워지는 이웃나라, 태국의 미얀마 투자 확대
- 태국은 미얀마에 있어 중국에 이은 제2의 교역국가로서 미얀마 제2의 수출대상국이자 제3의 수입대상국가이다. 미얀마와 태국은 약 2400km에 달하는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7개의 국경무역지대를 통해 교역이 이뤄지고 있다. 미얀마와 지리적, 경제적으로 가장 밀접한 관계를 맺는 태국은 그동안 미얀마의 정치 불안정, 경제시스템의 낙후, 인프라 부족으로 투자를 고려하지 않았다. 그러나 태국 기업은 향후 미얀마의 발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 미얀마
- 양곤무역관
- 2020-07-03
-
- 말레이시아, 반부패법 시행
- 말레이시아 내 모든 기업에 있어 부패 방지를 위한 예방책 마련은 이제 선택인 아닌 의무 사항이다. 기업이 부패 행위로 인해 처벌 받을 경우 기업 이미지에 큰 타격을 받게 되며, 형량 또한 가볍지 않다. 말레이시아에 주재하거나 진출을 계획 중인 우리 기업은 혹시 모를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부패 방지 절차에 대한 내용을 숙지하고 대응책을 철저하게 준비해둬야 한다.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무역관
- 2020-07-02
-
- 2019년 아프리카 외국인직접투자(FDI)는 어디로?
-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가 발표한 2020년 세계투자보고서(World Investment Report 2020)에 따르면 2019년 아프리카로 유입된 FDI는 총 454억 달러로 전년 대비 10.3% 감소했다.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FDI 유입 역시 2019년에는 10% 하락했는데 대남아공 투자가 15.1% 감소했으며 나이지리아와 에티오피아로 유입된 FDI 역시 각각 낮아졌다.
- 남아프리카공화국
- 요하네스버그무역관
- 2020-07-02
- 추천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