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억 인구 세계 최대 SAFTA 추진동향
15억 인구 세계 최대 자유무역협정 SAFTA 추진동향
- 제 14차 SAARC 정상회담을 통해본 역내 자유무역협정 추진현황 -
보고일자 : 2007.4.26
권경무 다카무역관
□ 주요 내용
Ο 제14차 SAARC 정상회담 개최
- 일시 : 2007년 4월 4~6일
- 장소 : 뉴델리
- SAARC 회원국 :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아프가니스탄, 부탄, 네팔, 몰디브 이상 8개국
- Observer국가 : 일본, 미국, 한국, EU
Ο 개최결과
① 인도의 주변국에 대한 자세변화
- 인도는 서남아 지역의 맹국으로 그동안 자국이익을 중심으로 주변국의 요청을 무시했으나, 이번 SAARC 정상회담을 통해 주변국을 포용하는 자세로 변경
- 대표적인 예가 인도 수상 Mr. Manoohan Singh은 SAARC 지역내 최빈개도국(LDC Least Development Country)에 무관세 확대 및 남아시아 학생들의 인도비자 확대를 발표 등임.
- 현재 SAARC 지역내 LDC는 방글라데시를 포함 아프가니스탄, 부탄, 네팔, 그리고 몰디브가 해당
② 델리 선언은 선언에 불과, 실질 협력 분야 토대마련 실패
- 테러 공동대비, 역내교역/교류 활성화, 에너지·식량·환경 분야 협력 등이 주요내용
- 기타 남아시아 대학교를 인도에 설립하고 지역 식량은행 설립
- 3억 달러 규모의 SAARC 개발펀드 조성
- 지역협력 및 공동시장 창출을 위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프로젝트는 없음.
③ SAFTA 추진동향
- 2006년 7월 1일부로 발효됐으나, 인도-파키스탄간 합의한 관세인하조치가 절반밖에 이행되지 않아 절름발이 자유무역협정
- 또한 국별로 민감품목을 설정해 교역확대 한계
Ο 방글라데시 주요 현안사항
- 방글라데시 임시정부 수반인 Fakhruddin은 인도에 대해 3가지를 요구
- 6.5km에 이르는 인도와의 국경선 재설정에 대해 점진적 해결 합의
- Teesta 강 및 Tipaimukh댐의 공동사용에 대해 인도의 조속한 해결의 장을 마련할 것을 약속
- 방글라데시 수출품에 대한 관세인하에 대해 인도에서는 최빈개도국에 대한 무관세 발표
- 기타 파키스탄은 방글라데시에 1000달러 상당의 밀을 공여, 스리랑카와 직항 논의, 기후변화에 따른 지역공동체 노력, 국가간 전화요금 인하 및 관광증진 협력, Youth Camp를 방글라데시 개최, ADB와 UNDP에서 제안한 식량안보, 에너지, 홍수조절 및 환경에 대한 문제 등에 대해 논의
Ο 남아시아 비교자료
- 세계은행에 따르면 남아시아의 역내교역비중은 남아시아 전체 GDP의 2%에 불과함. 동아시아 국가(중국, 한국, 일본)의 20%와는 대조적
- 남아시아의 국경교역비용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발표
- 남아시아에서 수출에 소요되는 기간은 33일인데 반해 OECD 국가는 12일 소요됨. 수입의 경우 OECD국가가 평균 14일 소요되는데 비해 남아시아지역은 46일 소요
- 남아시아의 GDP내 산업생산 비중은 한국 41%, 중국 48%에 비해 턱없이 낮은 20%로 제조업분야 경쟁력제고 필요
- 남아시아 경제성장률을 10%로 올리기 위해서는 35% 이상의 투자증가율이 따라야 하는 것으로 분석함. 현재 경제성장률이 6%로 GDP대비 투자 증가율이 23~24%에 머물러 있음
Ο SAARC 국가간 교역현황
- SAARC 역내 교역규모는 억 달러에 불과하며, 모든 국가가 인도에 무역적자 기록 중
- 방글라데시는 인도에 연간 25억 달러의 무역적자 기록 중. 인도의 각종 비관세 장벽으로 수출길이 막혀있음(시멘트, 배터리 등).
- 방글라데시는 SAFTA 협정국과 대부분 교역적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그중 95%가 인도에 대한 무역적자를 기록 중
- 인도는 방글라데시의 제2대 교역국이자 방글라데시는 전체 수입의 30%를 인도에 의존하고 있는데 주요 수입품목은 농산물, 기계 등임.
- 실제 방글라데시와 인도간 교역은 인도산 제품의 국경교역을 포함할 경우 더 많을 것으로 세계은행에서는 인도-방글라데시간 국경교역 규모를 연간 5억 달러로 추정
□ 평가 및 시사점
Ο SAARC는 지역협력 및 SAFTA는 무역확대 창구
- SAARC는 지역협력을 위한 창구이나 실제 인도-파키스탄간 카슈미르 지역 분쟁, 국별 정치불안(스리랑카, 네팔, 방글라데시) 등으로 아직까지 완전한 지역협력이 이뤄지지 않음.
- SAFTA는 자유무역협정이지만 민감품목들을 대부분 예외로 해 실질적인 교역확대효과 크지 않음.
Ο 신규회원 확대 및 세계적 관심
- 당초 7개국에서 아프가니스탄 가입 및 이란 가입 논의
- 한국, 일본, 중국, 미국, EU 등에서 옵서버로 참가했으며, WB, ADB 등에서도 이 지역 협력확대를 기대하면서 옵서버 참가하면서 세계적 관심을 이끌었으나, 실질적인 이행수준은 미흡한 것으로 평가
Ο 인도-파키스탄 분쟁 및 공통 관심사항 결여 지역협력의 걸림돌
- 비록 인도가 파키스탄에 MFN 혜택을 주기로 했지만 여타국에는 2007년 말까지 FTA 추진계획을 발표했으며, 인도-이란간 파이프라인 수송에 파키스탄 반대의사 표명
- 각국이 생각하는 지역협력 및 자유무역협정의 내용이 아직까지 상이
방글라데시의 SAARC 국가 간 교역현황
(단위 : 백만 달러)
연도 | 부탄 | 인도 | 네팔 | 파키스탄 | 스리랑카 | 계 | 무역적자 | ||||||
수출 | 수입 | 수출 | 수입 | 수출 | 수입 | 수출 | 수입 | 수출 | 수입 | 수출 | 수입 | ||
01/02 | 1.6 | 3.9 | 50.3 | 1019 | 0.7 | 3.3 | 28.6 | 67.3 | 2.1 | 6.1 | 83 | 1100 | 1017 |
02/03 | 1.3 | 2.7 | 83.6 | 1344 | 0.4 | 5.5 | 31.5 | 68.0 | 3.3 | 7.9 | 120 | 1428 | 1308 |
03/04 | 0.9 | 5.4 | 89.3 | 1602 | 0.8 | 4.1 | 45.1 | 112.6 | 10.3 | 7.4 | 146 | 1731 | 1585 |
04/05 | 5.1 | 8.6 | 143.7 | 2042 | 0.8 | 1.7 | 64.1 | 140.2 | 11.1 | 10.4 | 225 | 2203 | 1978 |
05/06 | 1.7 | 11.7 | 242.0 | 1868 | 0.6 | 2.7 | 57.7 | 150.2 | 13.1 | 10.9 | 315 | 2044 | 1729 |
계 | 10.7 | 32.4 | 608.8 | 7875 | 3.3 | 17.4 | 227 | 538.3 | 39.8 | 42.6 | 890 | 8506 | 7616 |
무역적자 | 21.7 | 7,266.7 | 14.1 | 311.2 | 2.8 | 7616 |
|
자료원 : SAARC 공동 선언문 및 일간지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15억 인구 세계 최대 SAFTA 추진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中, 가공무역 제한류목록 대거 발표 임박 | 중국 | 2007-04-26 |
2 | 방글라데시, 정치불안에도 경제호조 예상 | 방글라데시 | 2007-04-26 |
3 | 파나마운하, 통행료 인상안 놓고 ‘몸살’ | 파나마 | 2007-04-26 |
4 | 파나마, 컨테이너선 운하통행료 10.2% 인상 | 파나마 | 2007-04-27 |
5 | 한미 FTA 체결 후 미국 현지반응 | 미국 | 2007-04-05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