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U-베트남 FTA 발효, 베트남 지재권제도에 변화 자극
- 베트남은 주요 선진국에 비해서는 지식재산권 측면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1억 인구의 잠재력 있는 소비시장으로 베트남 내 상표, 디자인 등록을 통한 지식재산권 보호를 시작으로, 최근에는 베트남의 글로벌 생산기지의 역할이 부각되면서 베트남 내 특허 출원의 필요성도 강조되고 있다. EVFTA를 비롯한 각종 FTA가 체결되면서 관련 법제도 국제기준에 맞게 개선되고 있어 진출기업의 지식재산권 보호가 한층 더 강화될 전망이다.
- 베트남
- 호치민무역관
- 2020-11-06
-
- 中, 화장품 라벨 관리방법 의견수렴안 공개
- 지난 9월 21일 중국은 화장품 라벨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동시에 화장품 라벨 사용의 규범화와 소비자의 합법적인 권익을 보장하기 위해 '화장품 라벨 관리방법 의견수렴안(化妆品标签管理办法<征求意见稿>,이하 의견수렴안)' 을 공개했으며 10월 20일까지 각계의 의견수렴을 진행했다. 우리 기업들은 이번 의견수렴안이 반영된 최종 발표내용에 촉각을 기울이며, 사전 대비할 필요가 있다.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20-11-06
-
- 일본 자동차업계의 EU 환경규제 대응 동향
- 2021년부터 유럽연합(EU)은 자동차 산업에 대한 환경규제를 대폭 강화한다. 규제시행 시 도요타 약 22억 엔, 닛산(르노-닛산-미츠비시 얼라이언스) 약 1300억 엔 등 각 메이커가 거액의 벌금을 부담해야 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일본 자동차업계는 생산, 판매, 연구개발 체제 강화에 나서고 있다. 부품은 물론 자율주행 등 소프트웨어 분야에서도 유럽기업과의 업무제휴, 협력, 인수 등의 움직임이 활발하다.
- 일본
- 도쿄무역관
- 2020-11-05
-
-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 영유아용품 관련 강제 국가표준 발표
- 10월 21일 중국 국가시장감독국은 젖병 등 영유아용품에 관한 강제적인 국가표준을 발표했는데 관련 우리 기업은 이를 숙지할 필요가 있다.
- 중국
- 광저우무역관
- 2020-11-04
-
- 캐나다 식품안전법 발효에 따른 가공식품 수입규제 강화
- 2020년 7월 15일부터 식품 수입 규제가 확대 시행되며 가공식품 수출시에도 수입업자와의 사전 협의가 반드시 필요하게 됐다. 2019년 1월에 시행 발표됐지만 제품군과 규제 항목에 따라 기한은 상이하며, 신규 식품안전규제는 최대 2021년까지 유예기간을 두고 적용될 예정이다.캐나다로 식품 수출을 희망하는 기업은 수입업자 및 바이어와 함께 해당 규제 내용에 대해 인지하고 긴밀한 협의를 통해 수출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 캐나다
- 토론토무역관
- 2020-11-04
-
- 브라질, 참고하면 좋을 만한 디지털 무역 법령
- 세계 경제가 급속하게 디지털경제로 전환됨에 따라 국경 간 디지털무역이 급증하고 있다. 코로나19를 계기로 디지털 무역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미국과 중국·EU 등 주요국들도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에 따라 대브라질 디지털 무역 시 참고하면 도움이 될 만한 브라질 정부의 주요 법령과 개인정보보호, 설비위치 제한, 콘텐츠 공급 제한, 소스코드 및 암호화 관련 규제 내용을 요약해봤다.
- 브라질
- 상파울루무역관
- 2020-11-02
-
- EU의 중장기 경제성장전략 유럽 그린딜, 우리 기회는?
- EU 집행위는 기후변화대응 위한 ‘유럽 그린딜(European Green Deal)’을 유럽의 중장기 경제성장 전략으로 삼고 적극적으로 추진 중에 있다.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는 1조 유로 규모의 유럽 그린딜을 통해 향후 변화될 친환경 에너지 패러다임의 주도권을 잡으려 하고 있으며, 그린딜을 코로나19에 따른 경제위기의 극복 및 경기부양 방안으로 삼고 적극 추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 벨기에
- 브뤼셀무역관
- 2020-10-29
- 추천 : 1
-
- 中 베이징, 냉동·냉장 수입식품 유통경로 등록 의무화
- 오는 11월 1일부터 콜드체인을 통해 유통하는 수입식품은 '베이징시 냉동·냉장 식품추적 플랫폼'에 관련 정보를 등록해야만 베이징에서 판매·유통할 수 있다. 최근 수입된 냉동식품 포장에서 살아있는 코로나19 바이러스 검출 사건이 빈발하자 중국 정부는 식품 안전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20-10-28
-
- 中, 2026년부터 수은 체온계 및 혈압계 생산 금지
- 수은은 용도가 많으나 독성이 큰 액체 금속으로 생산과 사용이 크게 제한되고 있다. 중국은 ‘수은에 관한 미나마타 협약'을 차질없이 이행하기 위해 2026년 1월 1일부터 수은 체온계와 수은 혈압계 제조를 전면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20-10-28
-
- 인도 진출 시 확인해야 할 주요 인증제도 및 품목
- 인도의 인증제도는 품목별 담당기관, 법령 등이 세분화돼 화장품, 의료기기, 식품 등에 대한 다양한 인증제도가 있다. 그중 BIS 인증제도는 인도에서 유통되는 시멘트, 가전제품, 실린더, 밸브, 화학물질, 철강제품, 전자제품 및 IT제품 등 넓은 범위의 물품에 대한 품질, 안정성,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운영되고 있다.
- 인도
- 뉴델리무역관
- 2020-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