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캐나다 퀘벡주, 2035년부터 휘발유 신차 판매 금지
- 지난 11월 16일, 프랑수아 르고 퀘벡주 총리는 온실가스 감축 계획의 일환으로 2035년부터 휘발유차 신규 판매 금지를 공식 발표했다. 규정이 정식 발효되는 시점부터 휘발유 자동차의 신규 판매가 금지될 예정으로 상업용 차량, 중고차 판매는 규제 대상에서 제외될 예정이다. 퀘벡주의 전기자동차 전면 도입 결정과 보조금 지원 정책으로 주 내 전기차 수요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 캐나다
- 토론토무역관
- 2020-11-30
-
- 미국의 환율 상계관세 도입 이후 동향
- 베트남산 타이어에 대한 미국 상무부의 환율 상계관세 예비 긍정판정이 발표되며 환율 상계관세가 적용된 첫 사례가 됐다. 또한, USTR은 베트남의 환율조작 의혹 관련 301조 조사를 개시하며, 환율을 무역과 직접적으로 연계시키는 행보를 더욱 공고히 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에 실패하며 향후 환율 수입규제 지속 가능성에 대한 상반된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 미국
- 워싱톤무역관
- 2020-11-30
-
- 말레이시아, RCEP 체결로 경제 도약 기대
- 지난 11월 15일, 제4차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정상회의에서 아세안 10개국(브루나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과 비아세안 5개국(대한민국, 중국, 호주, 뉴질랜드, 일본)이 협정안에 최종 서명했다. RCEP은 아세안 10개국 중 6개국, 비아세안 5개국 중 3개국이 국내 비준 후 사무국에 비준서를 기탁한 날로부터 60일 이후에 발효된다.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무역관
- 2020-11-25
- 추천 : 2
-
- 멕시코시티,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제한 대상품목 확대 예정
- 멕시코시티 주정부는 2020년 1월 1일부터 플라스틱 사용 제한 조치를 시행했다. 이에 멕시코시티 내 상업 시설은 고객에게 비닐봉투를 제공할 수 없게 됐으며, 이를 준수하지 않을 경우 42,000~168,000페소의 과징금이 부과될 수 있다. 내년부터 사용 제한품목이 확대될 예정으로 해당 조치에 대한 배경과 주요 내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멕시코
- 멕시코시티무역관
- 2020-11-24
-
- 인도 자가사용물품 및 수하물의 관세 규정 알아보기
- 인도의 한국인 교민들은 현지에서 구할 수 없는 생필품 등을 한국에 있는 가족 또는 지인으로부터 택배로 송부받는 경우가 빈번한데 이러한 택배에 대해 의외의 관세가 징수돼 당황하는 사례가 적잖이 알려지고 있다. 인도 입국 시 휴대품의 면세 범위를 정확히 알지 못해 낭패를 보는 경우도 많다. 이렇듯 국제 택배, 해외 직구 및 인도 입국 시의 휴대품으로 인한 뜻밖의 금전적·시간적 손해를 피하려면 관련되는 관세법상의 규정을 미리 알아둘 필요가 있다.
- 인도
- 첸나이무역관
- 2020-11-20
-
- 캄보디아 FTA 추진현황
- 캄보디아는 코로나19와 EBA 무역관세 부분철회로 인한 경제타격 회복을 위해 양자 및 다자간 무역협정을 통해 시장 다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캄-중 FTA는 지난 10월 체결됐고 역내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는 11월 15일 체결됐다. 캄보디아는 한국과의 FTA 협상을 진행 중이며 이외에도 인도, 호주, 미국, 캐나다, 영국, 뉴질랜드, 일본, 유라시아 등 다양한 국가와의 FTA 체결을 검토 중에 있다.
- 캄보디아
- 프놈펜무역관
- 2020-11-19
-
- 바이든 당선에 따른 멕시코 경제·통상 환경 전망
- 바이든 행정부의 경기부양책 확대, 국제적인 협력 기조 등으로 인한 우호적인 멕시코 수출 환경은 우리 기업에도 긍정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본격적인 USMCA 이행 및 적용은 바이든 행정부가 수행할 예정으로 노동 및 원산지 규정 등에 대한 감독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향후 구체적인 정책 방향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 멕시코
- 멕시코시티무역관
- 2020-11-17
- 추천 : 1
-
- 캐나다,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금지 시행 계획 발표
- 10월 7일 조나단 윌킨슨 캐나다 환경부 장관은 연방정부의 2030년 제로 플라스틱 폐기물 전략(Zero Plastic Waste Initiative)의 일환으로 내년 말까지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금지 규정을 도입하기 위한 입법 절차를 확정할 계획을 발표했다. 지정된 사용 금지 품목으로는 일회용 비닐봉지, 스틱, 빨대, 음료 묶음 고리, 플라스틱 식기류,재활용이 어려운 포장용기 등이 있다.
- 캐나다
- 토론토무역관
- 2020-11-12
-
- 일본, 영국과 경제동반자협정(EPA) 체결 이후 동향
- 일본과 영국이 경제동반자협정(EPA)에 서명했다. 이번 협정은 영국이 유럽연합 탈퇴 이후 주요국과 독자적으로 무역협정을 체결한 첫 사례로, ‘브렉시트’ 이행기간 만료 전 체결돼 양국기업들이 비즈니스 연속성을 기대할 수 있다는 의미가 있다. 일본 기업들은 일본과 영국 간 무역협정만으로는 그 영향이 제한적이며, 영국과 EU 간 미래관계 협상이 연내 마무리돼야 ‘브렉시트’에 따른 추가관세 부담 등을 피할 수 있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 일본
- 도쿄무역관
- 2020-11-12
-
- 미국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 유아용 침대 매트리스 안전기준 법안 제안
- 수면 중 유아 질식 관련 사고가 꾸준히 발생함에 따라 미국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는 유아용 침대 매트리스 안전기준안을 제시했다. 비필수 안전기준이었던 ASTM F2933-19을 더 엄격히 수정해 필수 안전기준으로 제정하고 라벨링 규정도 강화했다.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는 내년 1월 11일까지 공공의견 수렴 중이며, 최종규칙 발표 6개월 후 발효 예정이다.
- 미국
- 뉴욕무역관
- 2020-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