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화장품산업 30% 이상 성장
- L'oreal, Chanel 등 연간 40~50% 이상 매출액 증가 -
보고일자 : 2007.6.21.
도승환 첸나이무역관
dosh@kotra.or.kr
□ 인도 화장품 시장동향
ㅇ 인도 화장품시장 규모 35억달러 추정, 세계시장 규모의 10%에 해당
- 2006/07회계연도 화장품산업 약 30% 이상 성장
- 1인당 화장품 소비량이 매우 낮은데 비해 높은 성장률 기록
ㅇ 2006년도 글로벌 브랜드 L'oreal 40%, Chanel 50% 판매율 증가
- 1990년대 인도에 진출한 L'oreal은 성장을 거듭해 2006년도 전년대비 판매량이 약 40% 증가했으며, Chanel사도 약 50% 이상 판매량 증가
- 양사 판매부장들은 “2007년도 약 40% 이상 판매 증가를 기대한다”고 언급
ㅇ 인도인의 생활패턴 변화 및 소득 증가로 화장품시장 지속적 성장 예고
- 위성케이블의 확산 및 광고매체 증가. 물품세 인하, 빠른 산업화로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
- 특히 인도인의 뷰티 콘테스트 및 미스 인터내셔널 퀸 탄생 등의 영향으로 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점도 수요가 증가하는 주요 요인임.
□ 수출입 동향
ㅇ 수입실적
- 인도 주요 수입화장품류인 스킨, 향수, 헤어샴푸, 남성화장품 등은 2006/07년도(4~9월)기준 수입규모가 전년대비 32% 증가
- 주요 수입 대상국은 프랑스, 독일, 대만, 미국임.
(단위 : US$ 백만)
품목명 (HS) | 2003/04 | 2004/05 | 2005/06 | 2006/07(4~9월) |
Perfume and Toilet waters(3303) | 5.18 | 7.23 | 10.96 | 5.44 |
Beauty/Make up for care of skin(3304) | 6.55 | 8.67 | 13.67 | 9.80 |
Hair Shampoos(3305) | 15.07 | 29.34 | 25.98 | 13.93 |
Men's Cosmetics(3307) | 6.38 | 7.89 | 17.24 | 11.03 |
자료원 : Ministry of Commerce and Industry
ㅇ 수출실적
- 2006/07년도(4~9월)기준 인도의 주요 수출 화장품류의 수출규모는 전년대비 19% 증가
- 주요 수출 대상국은 필리핀,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 네팔임
(단위 : US$ 백만)
품목명 (HS) | 2003/04 | 2004/05 | 2005/06 | 2006/07(4~9월) |
Perfume and Toilet waters(3303) | 30.99 | 33.15 | 39.39 | 20.37 |
Beauty/Make up for care of skin(3304) | 47.81 | 30.01 | 37.72 | 22.71 |
Hair Shampoos(3305) | 21.42 | 27.26 | 41.11 | 22.39 |
Men's Cosmetics(3307) | 55.57 | 53.42 | 63.35 | 37.82 |
자료원 : Ministry of Commerce and Industry
□ 시장전망
ㅇ 인도의 스킨케어 시장규모는 약 2억2000만 달러로 평가하며 지속적 증가 추세
- 대부분 소비자들은 Face cream과 Moisturizer를 주로 구입
- Sun screen, toners, Cleanser, Astrigent, Anti wrinkle cream 등도 꾸준히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
- Face cleanser와 Moisturizing Lotion이 스킨케어분야에서 약 60%를 차지
ㅇ 헤어케어 시장규모도 약 2억5000만 달러 이상으로 이중 50%는 샴푸시장임. 컬러 화장품분야에서는 립스틱과 손톱 매니큐어가 약 65% 판매되고 있음.
ㅇ 2006/07회계연도 화장파우더(Talc)시장 전년대비 38%의 높은 성장 실현
- 인도 Spins talc사 5.8%, Johnson &Johnson 16%, Pond사 60% 시장 점유율 차지
ㅇ 인도소비자 고가의 기능성 화장품보다 저가 화장품 선호
- 인도 소비자는 가격에 매우 민감하여 기능적 가치를 무시하고 저가제품을 선호
- 상류층은 가격에 관계없이 고품질 제품을 요구
자료원 : 비즈니스 투데이(6월)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인도, 화장품산업 30% 이상 성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인도, PC 보급대수 2200만 대 초과 | 인도 | 2007-06-22 |
2 | 인도 건강미용산업, 기업형 프랜차이즈가 대세 | 인도 | 2013-06-06 |
3 | 2007년 1/4분기 한국 대미직접투자 증가 지속 | 미국 | 2007-06-22 |
4 | 中, 외국인 부동산기업 설립 절차 강화 | 중국 | 2007-06-22 |
5 | 인도 화장품 시장 동향 2(스킨케어) | 인도 | 2016-12-29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