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캐피털, 미국 기술혁신 경제 원동력
- 총매출액, 2005년 미국 국내총생산(GDP)의 16.6% -
- 캘리포니아 주, 경제적 파급 효과 가장 높아 -
보고일자 : 2007.3.22
김두식 샌프란시스코무역관
□ 최근 동향
○ 미국 경제가 80년대 일본 등 후발 산업국가의 성장으로 기존 산업의 경쟁력 약화로 인한 외부 도전을 극복하고 고부가가치 지식집약형 산업으로 성공적인 산업구조 전환을 이룩한 것은 기술혁신 지향의 벤처기업과 벤처캐피털의 상호 투자와 협력 시스템이 원동력
○ 90년대 실리콘밸리가 정보통신(IT) 기술개발의 중심으로 관련 산업과 세계 경제를 선도할 수 있었던 것도 다른 지역 차별화된 도전적인 기업가 정신과 벤처캐피털의 비즈니스 생태계가 큰 역할
미국 벤처캐피털 투자 기업 경제적 파급 효과
구분 | 2000년 | 2003년 | 2005년 |
고용(100만 명) | 8.7 | 9.2 | 10.0 |
매출액(조, Trillion)) | 1.5 | 1.7 | 2.1 |
자료원 : Global Insight
○ 미국 벤처캐피털 산업은 미국 경제에서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비즈니스 모델에 투자를 통해 생명력을 불어 넣어 상용화를 촉진하는 중요한 특정 산업 형성과 발전과정의 핵심적인 촉진자 역할 수행
- 지낸텍(Genentech),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인텔(Intel), 홈 디포(Home Depot) 등 바이오 및 정보통신 기업들의 초기 형성 단계에서 벤처캐피털은 핵심 기반이 됨.
주요 기업별 고용규모 현황
기업명 | 2000년 | 2005년 | 증감 |
인텔(Intel) | 86,100 | 99,900 | +13,800 |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 39,100 | 61,000 | +21,900 |
메드트론닉(Medtronic) | 21,490 | 33,000 | +11,510 |
애플(Apple) | 8,568 | 16,820 | +8,252 |
지낸텍(Genentech) | 4,459 | 9,500 | +5,041 |
구글(Google) | - | 5,680 | n/a |
자료원 : National Venture Capital Association
□ 경제적 파급 효과
○ 미국에서 1970년부터 2005년까지 벤처캐피털 투자를 통해 설립된 회사들의 미국 내 총 고용규모는 1000만 명으로 2005년 미국 민간 부분의 전체 고용인원의 9%를 차지
상위 5개 산업별 고용인원 현황
(단위 : 100만 명)
산업 구분 | 고용 인원 |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유통 (Media, Entertainment, Retail) | 2.0 |
컴퓨터 (Computer & Peripherals ) | 1.9 |
기술 산업, 에너지 (Industry, Energy) | 1.2 |
금융서비스 (Financial Service) | 0.9 |
소프트웨어 (Software) | 0.9 |
자료원 : Global Insight
○ 또한, 매출액을 기준으로 보면, 2조 1000억 달러로 2005년 미국 전체 국내총생산(GDP)의 16.6%의 비중을 기록
상위 5개 산업별 매출액 현황
(단위 : 10억 달러)
산업 구분 | 매출액 |
컴퓨터 및 주변기기 (Computer & Peripherals) | 466 |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유통 (Media, Entertainment, Retail) | 299 |
기술 산업, 에너지 (Industry, Energy) | 268 |
소프트웨어 (Software) | 211 |
통신 (Telecom) | 161 |
자료원 : Global Insight
○ 2005년 미국 전체 벤처캐피털의 투자금액은 230억 달러로, 미국 전체 국내 총생산규모(GDP)의 0.2% 수준
○ 벤처캐피털 투자를 통해 창업된 기업의 영업활동은 일반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호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데, 2003년부터 2005년 사이 고용증가율은 4.1%를 기록했으며, 매출액 측면에서도 11.0%의 증가를 보임.
미국 벤처캐피털 투자기업 고용/매출액 증감 동향, 2003~05
구분 | 벤처캐피털 투자기업 | 미국 전체 |
고용 | 4.1% | 1.3% |
매출액 | 11.3% | 8.5% |
자료원 : National Venture Capital Association
□ 지역별 파급 효과
○ 벤처캐피털 투자를 통한 지역별 경제적 파급 효과를 보면, 캘리포니아, 텍사스, 팬실베니아, 매사추세츠, 조지아 등의 순으로 고용창출 효과가 높게 나타나고 있음.
○ 특히, 캘리포니아 주는 벤처캐피털 투자를 기반으로 창업된 기업을 통한 고용규모와 매출액 측면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캘리포니아가 미국의 벤처캐피털 기반 경제활동의 중심
미국 지역별 고용 및 매출액 동향
순위 | 주 | 고용규모 (100만 명) | 순위 | 주 | 매출액 (10억 달러) |
1 | 캘리포니아 (California) | 2.3 | 1 | 캘리포니아 (California) | 507.0 |
2 | 텍사스 (Texas) | 1.1 | 2 | 텍사스 (Texas) | 274.0 |
3 | 팬실베니아 (Pennsylvania) | 0.7 | 3 | 워싱턴 (Washington) | 127.0 |
4 | 매사추세츠 (Massachusetts) | 0.6 | 4 | 팬실베니아 (Pennsylvania) | 113.0 |
5 | 조지아 (Georgia) | 0.6 | 5 | 매사추세츠 (Massachusetts) | 112.0 |
자료원 : National Venture Capital Association
□ 시사점
○ 미국 경제에서 벤처캐피털은 투자수익을 추구하는 투자가 역할보다 미국 경제 전체에 도전적인 기업가 정신 및 혁신 지향적인 기업문화 형성과 정보통신과 바이오 등 투자위험이 높은 고부가가치 산업의 초기 형성과 발전을 위한 핵심 경제주체
○ 벤처기업과 벤처캐피털의 상호 연관관계 강화와 기업 생성과 성장의 과정에서 선순환 구조를 지속하면서, 미국 경제의 경쟁력 확보와 새로운 기술혁신 활동의 중추
○ 따라서, 향후 미국 경제의 기술혁신 시스템에서 벤처기업과 벤처캐피털의 협력 생태계는 더욱 고도화될 전망이며, 환경, 에너지 등 차세대 기술개발을 위한 국가 간 경쟁에서 중요한 경쟁우위 요소가 작용할 전망
자료원 : National Venture Capital Association, Global Insight 등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벤처캐피털, 미국 기술혁신 경제 원동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美 남부 플로리다, 건설붐은 끝나지 않았다 | 미국 | 2007-03-23 |
2 | 헝가리, 제4대 이동통신사업자 허가 필요성 못 느껴 | 헝가리 | 2007-03-23 |
3 | 필리핀, 화장품 최근 시장 동향 | 필리핀 | 2007-03-23 |
4 | 콜롬비아 차량종합검사 의무화 실시 | 콜롬비아 | 2007-03-23 |
5 | 브라질 화장품 및 개인 위생용품 시장, 눈여겨 볼만 | 브라질 | 2007-03-23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