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폴란드 수입시장 10% 이상 확대 전망
올해 폴란드 수입시장 10% 이상 확대 전망
- 최근 對 한국 수입 급증세이나, 아직 시장점유율 2% 대로 진출 여지 큼 -
보고일자 : 2007.2.7
김삼식 바르샤바무역관
□ ‘06년 수입 20% 이상 증가
ㅇ 2006년 폴란드 경제성장률이 97년 이래 가장 높은 5.8%를 기록한 것으로 잠정 발표된 가운데 수출입 모두 20%를 넘는 높은 증가율을 보였음. 2004년 5월 폴란드가 EU에 가입한 후 수출과 수입시장은 지속 확대되는 상황임.
- 2003년부터 수출은 연간 20~30% 대로 성장
- 수입도 증가율은 수출에 미치지 못하나, 2003년부터 매년 두 자리 수로 증가
최근 수년간 폴란드의 수출입 동향
(단위 : 억 달러)
구 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1~11월 |
수 출 | 410 | 536 | 738 | 894 | 998 |
수 입 | 551 | 680 | 882 | 1,015 | 1,121 |
자료원 : 폴란드 통계청, 경제부
ㅇ 2006년 11월 말까지 수출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21.5%, 수입은 20.4% 증가해 모두 20%를 상회
- 2006년 연간으로 수출은 사상 처음 1000억 달러를 돌파하고 2005년에 1000억을 돌파한 수입은 상승세가 계속돼 1200억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보임.
□ ‘06년 국별 및 품목별 수입동향
ㅇ 국가별 수입동향을 보면, 역시 EU 역내(域內) 수입의 비중이 높음. 10대 수입대상국 중 러시아, 중국 및 한국을 제외하면 모두 EU 회원국임.
ㅇ 특히, 2006년 중 對한국 수입이 80%를 넘는 높은 증가율을 보여 주목됨. 대한국 수입 증가율은 중국, 일본, 대만 등 경쟁국을 압도하고 있음. 이에 따라 한국은 폴란드의 제10위 수입대상국으로 부상(2005년 18위)
- 수입액에서 일본을 제쳤고, 아시아권으로 보면 중국에 이어 제2위 수입대상국으로 격상
2006년 1~11월 중 폴란드의 국별 수입동향
(단위 : 1000달러, %)
순위 | 국 명 | 2005 | 2006.1~11 | 증감률 |
- | 총수입 | 101,538,809 | 112,104,620 | 20.4 |
1 | 독일 | 25,053,447 | 26,666,016 | 15.6 |
2 | 러시아 | 8,985,501 | 11,069,936 | 36.6 |
3 | 이탈리아 | 7,181,150 | 7,469,474 | 13.4 |
4 | 중국 | 5,496,607 | 6,875,662 | 37.5 |
5 | 프랑스 | 6,094,739 | 6,180,887 | 9.5 |
6 | 체코 | 3,633,298 | 3,857,769 | 15.6 |
7 | 네덜란드 | 3,473,976 | 3,564,698 | 11.5 |
8 | 영국 | 3,143,418 | 3,230,470 | 11.7 |
9 | 벨기에 | 2,670,427 | 2,815,804 | 14.4 |
10 | 한국 | 1,582,997 | 2,631,246 | 82.8 |
11 | 미국 | 2,415,756 | 2,503,251 | 14.1 |
16 | 일본 | 1,992,199 | 1,885,908 | 2.3 |
자료원 : 폴란드 통계청(이하 동일)
폴란드 수입시장과 한국의 점유율
(단위 : 100만 달러)
구 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1~11월 |
폴란드 총수입 (a) | 68,004 | 88,156 | 101,539 | 112,105 |
對한국 수입 (b) | 644 | 1,020 | 1,583 | 2,631 |
한국 점유율 (b/a) | 0.95% | 1.16% | 1.56% | 2.35% |
ㅇ 한편, 폴란드의 상위 15대 품목 수입실적은 다음 표와 같음. 계절적 요인이 강한 선박을 제외하면, 소비재나 자본재 구분없이 대부분 품목의 수입이 증가했음.
2006년 1~11월 중 폴란드의 주요 품목별 수입동향
(단위 : 1000달러, %)
No. | HS | 품목명 | 2005 | 2006. 1~11 | 증감률 |
1 | 8703 | 승용차 | 3,053,093 | 3,684,310 | 27.6 |
2 | 8708 | 자동차부품 | 2,918,675 | 3,219,044 | 20.3 |
3 | 3004 | 의약품 | 2,683,269 | 2,903,024 | 17.9 |
4 | 8529 | 방송기기/TV 부품 | 1,106,307 | 2,447,805 | 150.1 |
5 | 8471 | 컴퓨터/주변기기 | 1,805,321 | 1,711,597 | 8.5 |
6 | 8409 | 내연기관 부품 | 1,545,714 | 1,531,488 | 7.9 |
7 | 8525 | 방송기기 | 1,330,818 | 1,409,259 | 15.9 |
8 | 8901 | 선박 | 1,530,483 | 1,404,818 | -5.6 |
9 | 8701 | 트랙터 | 922,041 | 1,169,735 | 36.7 |
10 | 7210 | 평판 압연제품 | 793,975 | 1,012,122 | 36.2 |
11 | 8542 | 직접회로/칩 | 830,344 | 925,250 | 20.3 |
12 | 8704 | 화물차 | 857,063 | 889,140 | 11.4 |
13 | 8544 | 전선/광섬유 케이블 | 736,288 | 874,080 | 28.7 |
14 | 3926 | 플라스틱제품(학용품, 의류 | 801,490 | 870,943 | 18.1 |
15 | 8479 | 기타 기계(토목건축용, 로프/ | 638,024 | 857,306 | 45.8 |
주: 원유, 석유제품, 가스 등 에너지와 광물자원은 제외했음.
□ ‘07년 수입시장 전망
ㅇ 2006년 4/4분기 성장률이 6.3%로 추정되는 등 경기상승이 계속돼 폴란드 정부(재무부, 중앙은행 등)는 최근 2007년 성장전망치를 5% 중반대로 재조정하고 있는바, 수입시장의 확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ㅇ 특히 지난해 성장을 이끌었던 기업 투자와 민간소비가 올해도 높은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돼 수입 상승에 대한 기대감을 높여줌.
- ‘07년 전망치 : 민간소비 +5.7%, 투자 +21%, 수입 +11%
- 높은 투자 의욕에 따라 기계장비 등 자본재 수입과 소득수준 상승에 따른 소비재 수입의 확대가 예측됨.
- 현지 전문가들도 폴란드인이 외국 수입제품을 더욱더 많이 구입하는 경향이 뚜렷하다고 지적하고 있음.
- 또, 도로교통, 환경, IT 등 낙후된 인프라 개선을 위한 정부의 투자와 개건 프로젝트가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
ㅇ 우리나라의 폴란드 수출은 최근 수년간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여 왔으나, 2006년 기준 수입시장에서 점유율이 2% 대에 그치는 등 아직 진출할 여지와 분야는 많은 상황임. 현지 경기가 호조이고, 소비행태가 선진형으로 변화하는데다 대형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현 시점이 진출의 호기라고 할 수 있음.
- 단순 수출입에서 벗어나 조달 및 입찰시장 참여, 현지법인 또는 물류거점 설립 등을 통해 현지화를 추구하는 전략이 요망됨.
자료원 : 폴란드 통계청, 경제부, 한국 지상사, PNB Economic Review 등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올해 폴란드 수입시장 10% 이상 확대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국내 출판업계, 도서전시회를 통한 독일시장 진출 | 독일 | 2007-02-07 |
2 | 시리아, 경제자유도 48점 | 요르단 | 2007-02-07 |
3 | 페루, 자원개발기업 8억 달러 자발적 사회기금 납부 | 페루 | 2007-02-07 |
4 | 한국산 MP3플레이어 기세 꺽이나 | 네덜란드 | 2007-02-07 |
5 | 네덜란드, 세계적 조세피난처로 다시 주목 | 네덜란드 | 2007-02-07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