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루 2019년 교역동향 분석(2) - 수입편
-2018년 대비 2019년 수입은 자본재 부문이 증가-
-전체 수입은 전년대비 1.9% 감소-
□ (수입) 유가 하락으로 수입금액도 소폭 감소
ㅇ 연간 수입금액은 -1.9% 감소한 410억 7,000만 달러 기록
- 전체 수입에서 10%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는 원유와 디젤이 유가하락으로 수입액이 감소하면서, 전체 수출은 전년대비 7억 9,600만 달러(-1.9%) 감소하였음.
- 소비재의 수입은 전년과 거의 동일하였으나, 자본재의 수입은 5.6% 증가하였음.
- 수입가격지수는 연간으로 1.7% 감소하였으며, 이는 식품, 산업용 원부자재, 석유제품의 가격인하에 따른 것임.
경제목적에 따른 수입액
(단위 : 백만달러, %)
구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증감률('19/'18) |
---|---|---|---|---|
수입총계 |
38,704 |
41,870 |
41,074 |
-1.9 |
1. 소비재 |
9,326 |
9,591 |
9,576 |
-0.1 |
비내구성 |
5,143 |
5,305 |
5,409 |
2.0 |
기타 |
4,467 |
4,786 |
4,959 |
3.6 |
내구성 |
4,183 |
4,286 |
4,167 |
-2.8 |
2. 원자재 |
17,900 |
20,516 |
19,101 |
-6.9 |
연료, 윤활유 등 |
5,389 |
6,593 |
5,648 |
-14.3 |
농업용 원자재 |
1,467 |
1,459 |
1,449 |
-0.7 |
산업용 원자재 |
11,044 |
12,463 |
12,004 |
-3.7 |
3. 자본재 |
11,315 |
11,641 |
12,295 |
5.6 |
건축자재 |
1,061 |
1,193 |
1,304 |
8.3 |
농업용 |
143 |
150 |
152 |
1.3 |
산업용 |
7,398 |
7,373 |
7,803 |
5.8 |
운송기기 |
2,712 |
2,926 |
3,037 |
3.8 |
4. 기타 재화 |
163 |
123 |
102 |
-17.1 |
자료원 : 국세청, 페루 중앙은행
□ (소비재) 곡물, TV의 수입은 줄고, 다른 소비재는 예년 수준과 같거나 소폭 증가
ㅇ 비내구성 소비재의 수입은 연간 1억 7,200만 달러(3.6%) 증가
- 곡물을 제외한 거의 모든 소비재 품목에서 수입이 증가하였음.
- 곡물 수입의 경우는 13.1% 감소하였는데, 이는 고기류와 쌀의 수입물량을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의 품목의 가격인하와 수입량 감소에 따른 것임. 쌀의 경우, 우루과이로부터의 수입이 증가하였음.
ㅇ 내구성 소비재의 수입은 연간 1억 1,900만달러(-2.8%) 감소
- 자동차 제품 수입액은 전년과 유사
- 가전제품의 경우, 일반가전의 수입은 늘고, TV 제품의 수입은 크게 감소(-1억 2,200만달러)
소비재 수입 세부내역
(단위 : 백만달러, %)
구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증감률('19/'18) |
---|---|---|---|---|
수입총계 |
38,704 |
41,870 |
41,074 |
-1.9 |
1. 소비재 |
9,326 |
9,591 |
9,576 |
-0.1 |
비내구성 |
5,143 |
5,305 |
5,409 |
2.0 |
주요곡물 |
676 |
518 |
450 |
-13.1 |
쌀 |
211 |
144 |
149 |
3.1 |
설탕 |
258 |
113 |
82 |
-20.0 |
유제품 |
141 |
186 |
144 |
-22.5 |
육류 |
66 |
75 |
75 |
0.2 |
기타 |
4,467 |
4,786 |
4,959 |
3.6 |
의류 |
500 |
587 |
614 |
4.6 |
인체의약품 |
448 |
488 |
520 |
6.6 |
신발 |
397 |
435 |
467 |
7.3 |
향수, 화장품 |
347 |
359 |
408 |
13.6 |
음식료품 |
254 |
265 |
277 |
4.6 |
완구류 |
176 |
191 |
194 |
1.4 |
제지류 |
37 |
43 |
46 |
6.7 |
청결용품 |
174 |
179 |
193 |
7.6 |
인쇄물 |
82 |
92 |
88 |
-4.2 |
플라스틱제품 |
92 |
103 |
113 |
9.4 |
기타 |
1,960 |
2,044 |
2,039 |
-0.2 |
내구성 |
4,183 |
4,286 |
4,167 |
-2.8 |
자동차 |
1,648 |
1,442 |
1,422 |
-1.4 |
텔레비전 |
525 |
617 |
496 |
-19.7 |
가전기기 |
233 |
246 |
275 |
11.5 |
침구용품 |
201 |
224 |
221 |
-1.3 |
오토바이 |
179 |
192 |
184 |
-4.3 |
오락기기 |
166 |
204 |
167 |
-18.4 |
플라스틱제품 |
160 |
189 |
204 |
8.0 |
가방류 |
100 |
126 |
135 |
7.1 |
가정용품 |
83 |
96 |
93 |
-3.2 |
무선수신기 |
88 |
94 |
87 |
-7.1 |
고무제품 |
59 |
61 |
65 |
6.8 |
음향기기 |
41 |
28 |
25 |
-12.0 |
잡제품 |
77 |
93 |
92 |
-0.9 |
조명기기 |
65 |
70 |
70 |
0.2 |
전기기기 |
35 |
28 |
21 |
-26.0 |
기타 |
524 |
575 |
611 |
6.3 |
자료원 : 국세청, 페루 중앙은행
□ (원자재) 석유제품과 산업용 원자재 수입이 크게 감
ㅇ 석유제품의 경우, 14.6%(9억 4,500만달러) 감소한 56억 5,000만 달러 수입
- 페루는 석유제품 수입이 전체 수입의 13.8%를 차지하고 있음.
- 석유제품 가격인하는 미중 무역분쟁 이후 세계 석유수요 감소 전망에 따른 것으로 분석
- 한편, 수입물량도 감소했는데, 이는 Petroperu(국영석유개발공사)의 재고조정에 따른 결과임.
ㅇ 식품류 원자재 수입은 대부분의 품목에서 감소
- 페루는 대표적인 농업 강국이나, 밀, 옥수수, 콩 등을 수입하고 있음.
- 2019년의 경우, 옥수수의 수입은 증가했으나, 대부분 품목의 수입이 감소하였으며, 옥수수, 대두박 등의 아르헨티나산 제품 수입은 늘고 있는 추세임.
ㅇ 산업용 원자재는 3.7%(459만 달러) 감소한 12억 달러 수입 기록
- 비료와 화학제품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품목들의 수입이 감소
원자재의 세부수입내역
(단위 : 백만달러, %)
구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증감률('19/'18) |
---|---|---|---|---|
2. 원자재 |
17,900 |
20,516 |
19,101 |
-6.9 |
연료, 윤활유 등 |
5,389 |
6,593 |
5,648 |
-14.3 |
원유 |
2,368 |
2,797 |
2,376 |
-15.1 |
디젤 |
1,473 |
2,286 |
2,068 |
-9.6 |
윤활유 |
227 |
264 |
256 |
-3.0 |
가솔린 |
535 |
694 |
492 |
-29.1 |
제트유 |
235 |
282 |
249 |
-11.4 |
농업용 원자재(주1) |
1,467 |
1,459 |
1,449 |
-0.7 |
전체 |
1,977 |
2,024 |
1,997 |
-1.3 |
밀 |
479 |
489 |
464 |
-5.2 |
옥수수 및 수수 |
553 |
600 |
659 |
9.8 |
대두(전체) |
845 |
935 |
874 |
-6.5 |
대두유 |
615 |
339 |
625 |
-3.9 |
대두 |
120 |
114 |
131 |
15.7 |
대두박 |
410 |
483 |
417 |
-13.6 |
산업용 원자재 |
11,044 |
12,463 |
12,004 |
-3.7 |
전체 |
10,747 |
12,605 |
11,513 |
-8.7 |
플라스틱 |
1,204 |
1,463 |
1,269 |
-13.3 |
철강제품 |
925 |
1,327 |
1,110 |
-16.3 |
섬유제품 |
971 |
1,084 |
1,031 |
-4.9 |
제지제품 |
497 |
649 |
569 |
-12.4 |
화학제품 |
937 |
937 |
954 |
1.8 |
유기화학제품 |
560 |
631 |
571 |
-9.5 |
비료 |
541 |
441 |
491 |
11.4 |
기타 |
5,111 |
6,073 |
5,518 |
-9.1 |
주1 : 농업용 원자재와 산업용 원자재는 소분류의 구분이 상이하여 합계가 일치하지 않음.
자료원 : 국세청, 페루 중앙은행
□ (자본재) 산업용 자본재의 수입이 4.3억달러의 큰 폭으로 증가
ㅇ 자본재의 경우, 광산업, 금융업, 운송업 분야에서 수입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
□ (국가별) 중국,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전체 수입의 44.8% 차지
ㅇ 국가별로는 중국과 미국, 권역별로는 중남미와 아시아 지역이 주요 수입선임.
-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은 1억 6,000만 달러 증가하였고,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은 2억 9,000만 달러가 감소하였음. 미국으로부터의 수입감소는 연료제품과 기본식료품의 수입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며, 중국의 경우는 건축자재, 비내구성 소비재 등의 수입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됨.
- 주요 수입대상국 중 에콰도르로부터의 연간 -33.5%(6억 3,200만달러)로 가장 크게 감소했는데, 이는 주로 원유의 구매가 감소했기 때문임.
국가별 수입액
(단위 : 백만달러, %)
국가 |
2017년 |
2018년 |
2019년 |
증감률('19/'18) |
---|---|---|---|---|
중국 |
8,566 |
9,775 |
9,935 |
1.6 |
미국 |
7,689 |
8,757 |
8,467 |
-3.3 |
브라질 |
2,346 |
2,304 |
2,309 |
0.2 |
에콰도르 |
1,531 |
1,889 |
1,257 |
-33.5 |
멕시코 |
1,728 |
1,889 |
1,802 |
-5.1 |
칠레 |
1,328 |
1,457 |
1,503 |
3.2 |
콜롬비아 |
1,444 |
1,549 |
1,297 |
-16.3 |
아르헨티나 |
1,109 |
1,153 |
1,616 |
40.2 |
독일 |
1,030 |
1,057 |
1,099 |
4.0 |
일본 |
984 |
1,011 |
1,023 |
1.2 |
기타 |
10,951 |
11,020 |
10,766 |
-2.3 |
합계 |
38,705 |
41,870 |
41,074 |
-1.9 |
(참고) 한국 |
1,030 |
972 |
962 |
-1.0 |
권역별 |
||||
중국 |
8,566 |
9,775 |
9,935 |
1.6 |
중남미 |
- |
11,107 |
10,600 |
-4.6 |
미국 |
7,689 |
8,757 |
8,467 |
-3.3 |
아시아(중국 외) |
5,115 |
5,242 |
5,219 |
-0.4 |
EU |
4,709 |
4,572 |
4,584 |
0.2 |
기타 |
- |
2,418 |
2,270 |
-6.1 |
자료원 : 국세청, 페루 중앙은행
□ 시사점
ㅇ 2019년 유망품목은 건설 관련 자본재, 2020년 페루 수출 대비책은?
- 관련 전문가에 의하면, 2019년 페루 내 가장 큰 폭으로 성장한 부문은 건설용 자본재이며, 이는 광산 및 프로젝트 확대 예측에 따른 수요 증가로 분석됨.
- 2019년 수입 역시 수출과 함께 감소하였으며, 2020년 페루 경제 역시 미중 무역분쟁과 코로나19 사태로 불투명해보이므로, 우리 기업 진출 전략 수립시 니치 마켓을 공략하여 페루 수출을 꾀해야할 것으로 보임.
자료원 : 페루 국세청, 중앙은행 및 KOTRA 리마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페루 2019년 교역동향 분석(2) - 수입편)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코로나19, 페루에 미치는 영향 | 페루 | 2020-02-27 |
2 | 확진자 없는 미얀마, 코로나19에 홍역 | 미얀마 | 2020-03-06 |
3 | 중국 절강성, 코로나 19 대응을 위한 기업 지원 정책안 발표 | 중국 | 2020-03-03 |
4 | 코로나19로 달라진 中 소비패턴 | 중국 | 2020-03-09 |
5 | [기고] 코로나19, 중국 진출기업이 알아둬야 할 몇 가지 사항 | 중국 | 2020-03-05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