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루 2019년 교역동향 분석(1) - 수출편
- 구리가격 하락으로 물량은 증가했으나 수출액은 감소 -
- 2019년 수출액은 전년대비 2.8% 감소 -
□ (교역수지) 2019년 연간 흑자규모는 66억달러 기록
ㅇ 연간 수출액은 476억 8,800만 달러로, 2018년에 비해 2.8% 감소
ㅇ 연간 수입액은 470억 7,400만 달러를 기록하여, 전년대비 1.9% 감소함. 자본재, 특히 산업용 목적의 제품 수입이 증가하였음.
2017~2019년 페루 무역수지
(단위 : 백만달러, %)
구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증감률('19/'18) |
---|---|---|---|---|
1. 수출 |
45,275 |
49,066 |
47,688 |
-2.8 |
전통품목 |
33,446 |
35,638 |
33,751 |
-5.3 |
비전통품목 |
11,699 |
13,240 |
13,783 |
4.1 |
기타 |
130 |
189 |
154 |
-18.5 |
2. 수입 |
38,704 |
41,870 |
41,074 |
-1.9 |
소비재 |
9,326 |
9,591 |
9,576 |
-0.1 |
중간재 |
17,900 |
20,516 |
19,101 |
-6.9 |
자본재 |
11,315 |
11,641 |
12,295 |
5.6 |
기타 |
163 |
123 |
102 |
-17.1 |
3. 무역수지 |
6,571 |
7,197 |
6,614 |
|
자료원 : 국세청 및 페루 중앙은행
□ (수출) 2019년 페루 수출액은 전년대비 2.8% 감소
ㅇ 2019년 수출은 476억 9,000만 달러로, 2018년 대비 2.8% 감소
ㅇ 전통수출품목 중 석유와 천연가스 제품의 수출이 크게 감소하였음.
품목 그룹별 수출액
(단위 : 백만달러, %)
|
2017년 |
2018년 |
2019년 |
증감률('19/'18) |
1. 전통품목 |
33,446 |
35,638 |
33,751 |
-5.3 |
수산물 |
1,788 |
1,938 |
1,929 |
-0.5 |
농산물 |
823 |
762 |
774 |
1.5 |
광물 |
27,477 |
28,899 |
28,074 |
-2.9 |
석유/천연가스 |
3,358 |
4,039 |
2,974 |
-26.4 |
2. 비전통품목 |
11,699 |
13,240 |
13,783 |
4.1 |
농산물 |
5,128 |
5,913 |
6,341 |
7.2 |
수산물 |
1,047 |
1,329 |
1,564 |
17.7 |
섬유 |
1,272 |
1,402 |
1,354 |
-3.4 |
목재/종이제품 |
342 |
339 |
321 |
-5.3 |
화학 |
1,384 |
1,562 |
1,600 |
2.4 |
비철금속 |
587 |
629 |
604 |
-4.0 |
철/귀금속 |
1,272 |
1,325 |
1,310 |
-1.1 |
금속기계 |
516 |
591 |
558 |
-5.5 |
기타(주1) |
152 |
150 |
131 |
-12.8 |
3. 기타(주2) |
130 |
189 |
154 |
-18.5 |
전체수출 |
45,275 |
49,066 |
47,688 |
-2.8 |
주1 : 주로 가죽제품, 공예품이 포함됨
주2 : 외국선박에 대한 연료 및 식료품 판매와 자본재 수리 등
자료원 : 국세청 및 페루 중앙은행
□ (품목별) 농산물, 수산물의 수출은 증가하고, 원유 수출은 감소
ㅇ 비전통수출품목의 수출 증가
- 2018년의 경우, 농산물(12.7%), 수산물(14.8%), 석유제품(19.9%) 등의 수출이 2017년 대비 8.1% 증가하였음.
- 2019년의 경우, 농산물(7.7%), 수산물(6.7%)의 증가추세는 유지되었으나, 석유와 광물 등 전통수출품목의 가격 하락으로 광물(-2.6%), 석유제품(-26.4%)의 수출이 감소하면서, 2018년 대비 -2.8% 감소하였음.
ㅇ (전통수출품목) 구리와 원유가격 하락으로 수출감소
- 최대수출품목인 구리의 경우, 수출물량은 249만 톤에서 253만 6,000톤으로 1.9% 증가했으나, 가격하락으로 수출금액은 7.0% 감소함. 전체 수출제품 중 정제제품(refined)은 10%를 조금 넘는 수준이며, 대부분 정광형태(concentrate)로 수출되고 있음. 업체별로는 최대 생산 업체인 Cerro Verde의 생산은 -6.3%로 감소했으며, Antamina, Chinalco사의 수출은 증가하였음.
- 두번째로 큰 수출품목인 금의 경우, 프로젝트 노후화와 공정 조정 등으로 생산량(609만 7,000온스)이 -6.4% 감소하였으나, 가격상승으로 수출금액은 2.7% 증가하였음.
ㅇ (비전통수출품목) 블루베리, 대왕오징어, 망고 등의 수출이 크게 증가 추세
- 비전통품목의 연간 수출은 137억 8,300만 달러로 4.1% 증가하였음. 금액순으로는 포도, 블루베리, 아보카도, 대왕오징어, 아스파라거스 순이며, 증가율로는 은 합금(208%), 대왕오징어(60%), 블루베리(50%) 등이 크게 증가하였음.
- 수출대상국 별로는 미국(포도 등), 네덜란드(블루베리 등), 칠레(차체 등), 중국(냉동대왕오징어 등)에 대한 수출이 증가하였고, 에콰도르(새우 등)에 대한 수출은 감소하였음.
- 섬유제품은 미국에 대한 면티제품 수출이 증가하였음.
- 화학제품은 콜롬비아에 대한 프로필렌 판, 칠레에 대한 황산제품 수출이 증가하였음.
페루의 품목별 수출액
(단위 : 백만달러, %)
분야 |
2017년 |
2018년 |
2019년 |
증감('19-'18) |
변동률('19/'18) |
---|---|---|---|---|---|
1. 농산물 |
5,230 |
5,907 |
6,359 |
452 |
7.7 |
아보카도 |
581 |
723 |
752 |
28 |
3.9 |
보존과일채소 |
752 |
837 |
831 |
-5 |
-0.6 |
포도 |
653 |
820 |
875 |
55 |
6.7 |
블루베리 |
362 |
548 |
825 |
277 |
50.5 |
커피* |
710 |
682 |
637 |
-45 |
-6.6 |
아스파라거스 |
410 |
384 |
400 |
15 |
4.0 |
곡물류 |
260 |
285 |
308 |
22 |
7.8 |
망고 |
192 |
258 |
262 |
4 |
1.5 |
귤 |
158 |
169 |
170 |
1 |
0.4 |
기타 구근류 |
133 |
146 |
161 |
15 |
10.3 |
바나나 |
149 |
167 |
152 |
-14 |
-8.7 |
카카오콩 |
132 |
139 |
138 |
-1 |
-0.4 |
목재 |
122 |
125 |
125 |
0 |
0.1 |
파프리카 |
76 |
82 |
92 |
10 |
11.7 |
카카오버터 |
50 |
66 |
88 |
22 |
33.9 |
기타 신선과일 |
58 |
68 |
66 |
-2 |
-2.9 |
생강 |
51 |
42 |
41 |
-1 |
-3.0 |
설탕 |
18 |
14 |
41 |
26 |
187.6 |
양모 |
30 |
46 |
38 |
-8 |
-18.4 |
브라질넛 |
47 |
65 |
34 |
-31 |
-47.6 |
탄젤로(귤) |
18 |
15 |
14 |
-1 |
-6.6 |
기타 |
268 |
226 |
311 |
85 |
37.7 |
2. 수산물 |
2866 |
3,296 |
3,515 |
219 |
6.7 |
어분* |
1,458 |
1,564 |
1,509 |
-55 |
-3.5 |
대왕오징어 |
412 |
640 |
884 |
244 |
38.1 |
어유(魚油) |
330 |
375 |
420 |
45 |
12.1 |
어육(魚育) 냉동공장 |
238 |
233 |
223 |
-9 |
-4.1 |
새우꼬리 |
165 |
146 |
139 |
-7 |
-4.8 |
생선가공보존식품 |
76 |
113 |
102 |
-11 |
-9.9 |
냉동새우 |
50 |
59 |
91 |
32 |
53.9 |
냉동가리비 |
25 |
42 |
61 |
19 |
46.0 |
기타 |
110 |
125 |
86 |
-38 |
-30.8 |
3. 광물 |
28,331 |
29,814 |
29,039 |
-775 |
-2.6 |
구리* |
13,846 |
14,939 |
13,893 |
-1,046 |
-7.0 |
금* |
8,181 |
8,259 |
8,482 |
244 |
2.7 |
아연* |
2,392 |
2,574 |
2,103 |
-471 |
-18.3 |
납 |
1,722 |
1,545 |
1,530 |
-15 |
-1.0 |
몰리브덴 |
368 |
612 |
638 |
26 |
4.2 |
철 |
435 |
484 |
979 |
495 |
102.1 |
주석 |
370 |
352 |
381 |
19 |
5.5 |
정제 은 |
118 |
123 |
76 |
-47 |
-38.4 |
아연 제품 |
403 |
422 |
315 |
-107 |
-25.4 |
인산화칼슘 |
207 |
231 |
242 |
11 |
4.6 |
기타 |
289 |
273 |
441 |
138 |
50.5 |
4. 탄화수소 |
3,358 |
4,039 |
2,974 |
-1,064 |
-26.4 |
원유와 부산물* |
2,586 |
2,997 |
2,351 |
-646 |
-21.5 |
천연가스 |
772 |
1,042 |
623 |
-419 |
-40.2 |
5. 비주력제조업 |
5,490 |
6,011 |
5,800 |
-211 |
-3.5 |
제지/화학 |
1,604 |
1,777 |
1,797 |
20 |
1.1 |
섬유 |
1,272 |
1,402 |
1,354 |
-48 |
-3.4 |
구리제품 |
335 |
355 |
326 |
-30 |
-8.3 |
동물사료 |
244 |
253 |
210 |
-43 |
-17.1 |
제분/제빵 |
189 |
196 |
216 |
20 |
10.0 |
철제품 |
151 |
181 |
173 |
-8 |
-4.2 |
귀금속 |
122 |
129 |
118 |
-11 |
-8.5 |
유제품 |
106 |
121 |
93 |
-28 |
-23.2 |
세라믹바닥재 |
101 |
113 |
97 |
-16 |
-14.3 |
일반금속제품 |
105 |
97 |
82 |
-15 |
-15.5 |
유리/유리제품 |
119 |
91 |
97 |
6 |
6.0 |
기타 식료품 |
73 |
78 |
82 |
13 |
17.1 |
식용유/지방 |
72 |
85 |
94 |
9 |
10.6 |
과일주스 |
57 |
55 |
63 |
7 |
12.8 |
시멘트 |
51 |
54 |
40 |
-13 |
-24.5 |
음료제품 |
46 |
45 |
59 |
14 |
30.4 |
초콜릿 |
25 |
30 |
32 |
3 |
9.5 |
건축자재 |
14 |
15 |
12 |
-3 |
-21.6 |
도자기제품 |
6 |
4 |
4 |
0 |
7.4 |
기타 |
798 |
929 |
843 |
-86 |
-9.3 |
총계 |
45,275 |
49,066 |
47,688 |
-1,378 |
-2.8 |
주 : * - 전통수출품목
자료원 : 구세청 및 페루 중앙은행
□ (국가별) 중국+미국에 대한 비중이 40.2% 차지
ㅇ 볼리비아, 캐나다에 대한 수출이 크게 증가
- 페루의 최대수출상대국은 중국으로, 구리, 철 등 원자재와 수산물의 수출이 증가하였음.
- 미국에 대해서는 디젤과 금의 수출 감소로 수출액이 크게 감소하였음.
- 2019년의 경우, 볼리비아(금 제품), 캐나다(금, 은, 과일 등)에 대한 수출이 크게 증가하면서, 한국은 수출대상국 순위가 4위에서 6위로 낮아졌음.
주요 수출국별 수출액
(단위 : 백만달러, %)
국가 |
2017년 |
2018년 |
2019년 |
증감률 |
---|---|---|---|---|
중국 |
11,626 |
13,238 |
13,503 |
2.0 |
미국 |
6,877 |
7,939 |
5,671 |
-28.6 |
볼리비아 |
1,667 |
1,837 |
2,413 |
31.3 |
캐나다 |
- |
923 |
2,408 |
160.8 |
스위스 |
2,349 |
2,086 |
2,266 |
8.6 |
한국 |
2,137 |
2,462 |
2,228 |
-9.5 |
일본 |
1,880 |
2,178 |
1,974 |
-9.3 |
인도 |
1,964 |
2,481 |
1,787 |
-28.0 |
브라질 |
1,591 |
1,720 |
1,441 |
-16.2 |
네덜란드 |
1,081 |
1,382 |
1,429 |
3.4 |
그 외 |
- |
12,821 |
12,568 |
-2.0 |
전체합계 |
45,275 |
49,066 |
47,688 |
-2.8 |
권역별 |
||||
중국 |
11,626 |
13,238 |
13,503 |
2.0 |
중남미 |
- |
7,655 |
8,297 |
8.4 |
미국 |
6,877 |
7,939 |
5,671 |
-28.6 |
아시아(중국 외) |
7,939 |
8,736 |
8,165 |
-6.5 |
EU |
6,512 |
7,249 |
6,157 |
-15.1 |
그 외 |
- |
4,249 |
5,896 |
38.7 |
자료원 : 국세청
□ 시사점
ㅇ 악화된 2019년 페루 수출, 2020년 대비책 수립 필요
- 관련 전문가에 의하면, 2019년은 2018년에 비해 수출이 감소하였고, 2020년 전망은 밝아보였으나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다시 감소할 것으로 예측함.
- 현재 국제경제의 가장 큰 현안인 미중 무역분쟁과 코로나19의 세계 경제에의 영향을 잘 지켜보아 대페루 수출시 적절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함.
자료원 : 페루 국세청, 페루 중앙은행 및 KOTRA 리마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페루 2019년 교역동향 분석(1) - 수출편)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페루 2019년 교역동향 분석(2) - 수입편 | 페루 | 2020-03-04 |
2 | 코로나19, 페루에 미치는 영향 | 페루 | 2020-02-27 |
3 | 확진자 없는 미얀마, 코로나19에 홍역 | 미얀마 | 2020-03-06 |
4 | 중국 절강성, 코로나 19 대응을 위한 기업 지원 정책안 발표 | 중국 | 2020-03-03 |
5 | 코로나19로 달라진 中 소비패턴 | 중국 | 2020-03-09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