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新중산층을 잡아라
- 자녀교육, 자기계발, 여가생활 ‘고고싱’ -
- 이성적 소비, 정신적 풍요로움 추구 -
□ 新중산층, 그들은 누구?
ㅇ 요즘 중국에서는 기존 중산층과는 다른 새로운 성격의 중산층, 즉 新중산층이 주목받고 있음.
- 신중산층은 1개 이상의 주택과 300만 위안 이상의 순자산을 보유하고 높은 교육수준과 안정적인 직업을 가진 부유계층을 가리킴.
- 후룬연구원(胡润研究院)에서 발표한 ‘2018년 중국 신중산층백서(2018年中国新中产圈层白皮书)’에 따르면 중국의 신중산층은 약 2000만~30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됨.
ㅇ 후룬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중국의 신중산층은 평균 연령이 35세로 비교적 젊은 편이며, 대부분이 기업 중간관리자까지 오르고 평균 연수입이 65만 위안에 달한 것으로 나타남.
신중산층의 특징
평균 연령 |
35세 |
직업 |
63% 기업 중간 관리자 18% 기업 고위 임원 |
연간 평균 수입 |
65만 위안 |
자료: 후룬연구원
ㅇ 신중산층은 90% 이상이 대학 본과 이상의 교육을 이수하고 주로 하이테크·언론·통신·제조·금융 등 업종에 종사함.
신중산층 학력별 분포 현황
자료: 후룬연구원 |
신중산층 업종별 분포 현황
자료: 후룬연구원 |
ㅇ 신중산층 중 94%가 기혼인 것으로 조사되며, 기혼자 중 2명 이상의 자녀를 가진 비율이 약 1/5에 육박함.
□ 新중산층, 어디에 돈을 쓸까?
ㅇ 보고서에 따르면 신중산층 가정의 80% 이상이 이미 취학 연령 자녀를 둔 것으로 조사됐으며, 그들의 최대 관심사 역시 자녀 교육인 것으로 나타났음.
- 자녀교육에 관심이 높은 신중산층은 지난 2017년 한 해 동안 자녀 교육비로만 평균 9만 위안을 지출한 것으로 드러났음.
- 무려 93%의 신중산층 부모들은 자녀의 해외유학 등 장래 교육에 관한 준비를 하고 있거나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음.
|
|
ㅇ 신중산층은 자기계발을 중요시해 이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음.
- 보고서에 따르면 신중산층이 자기계발을 위해 지출하는 비용은 연평균 1억9000만 위안으로 조사됐음.
- 그들은 예측 불가능한 변화에 대응해 위기를 기회로 만들기 위해서 독서, 유료 지식 서비스, 포럼·강의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자기능력계발을 진행하며, 약 48%의 신중산층이 하루에 1~2시간씩 독서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음.
선호하는 자기계발 방법
자료: 후룬연구원
- 신중산층이 선호하는 여가 생활은 여행(53%), 운동(40%), 야외나들이(29%), 친구모임(25%) 순으로 나타났음.
- 지난 2년 동안 신중산층들 중 3~5차례 여행을 가는 비율이 45%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음.
신중산층 여가 선용방식
자료: 후룬연구원
ㅇ 신중산층은 삶의 질 향상과 합리적인 소비를 추구하며, 품위있는 생활을 향유하고자 함.
- 소비행위 방면에서 이성적이고 실속이 있으며, 구매요인으로 제품의 브랜드와 인지도뿐만 아니라 품질과 가성비도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 특히 의류 구매에 있어 고가의 사치품 브랜드보다 품질이 보장되고 가격이 합리적인 중고급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의류 브랜드 선호 현황
자료: 후룬연구원
ㅇ 한편 신흥중산층의 기호는 물질적인 향유에서 정신적인 풍요로움을 추구하는 쪽으로 변화하고 있음.
- 신중산층은 취향에 맞는 레저생활을 즐기며, 정신적 소비가 전체 지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음.
- 상품 구매에 있어 단순히 물건을 사는 것이 아니라 물건을 통해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나 삶의 의미를 표현하고자 하는 경향이 나타남.
□ 시사점
ㅇ 중국에서 젊은 세대를 주축으로 한 신중산층이 새로운 소비 주역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그들은 높은 구매력으로 소비 시장의 변화를 일으키고 있음.
- 신중산층은 기존 중산층과 달리 자녀교육, 자기계발, 여가생활 등에 관련 소비를 아끼지 않고 있으며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소비와 함께 정신적인 풍요로움을 추구함.
- 루자오칭 진위안투자그룹(金原投资集团) 이사장은 ‘중국의 경제성장과 주민소득 증가로 신중산층의 규모와 범위가 점차 깊고 넓으며 빠르게 확산돼 갈 추세’이라고 하며, ‘신중산층의 부상으로 소비시장의 판도 또한 바뀔 것"이라고 전망했음.
ㅇ 한국 기업은 중국 내수시장 진출 확대와 관련해 중국 신중산층의 부상과 소비형태가 시사하는 바를 면밀히 들여다보고 대책을 수립해 나가야 함.
- 신중산층을 타깃으로 제품의 품질뿐만 아니라 그들의 문화적 배경 및 추구하는 정신적 가치 등에 대한 정교한 조사와 분석을 통해 브랜드와 제품의 재포지셔닝을 추진해야 함.
자료: 胡润研究院, 新浪财经, KOTRA 선양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중국의 新중산층을 잡아라)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대만 경제, 2019년 실적과 2020년 전망 | 대만 | 2019-12-23 |
2 | 몽골 수입통계로 보는 주요 수입품목은? | 몽골 | 2019-12-14 |
3 | [기고] 인도에 오기를 망설이는 이들에게 | 인도 | 2019-12-23 |
4 | 필리핀 제2차 세제개혁 개정안 | 필리핀 | 2019-10-31 |
5 | 2020년 中 경제정책 미리보기 | 중국 | 2019-12-17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