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구의원 선거 이후 시위 전망 및 경제 동향
- 홍콩 구의원 선거에서 범민주파 압승(85.8%)에 따른 시위 지속 전망 -
- 홍콩 물류, 시위에 따른 영향 小 -
□ 홍콩 시위 전망
ㅇ (선거결과) 11월 24일 홍콩 구의원 선거에서 범민주파(Pro-Democracy)가 압승(85.8%)
- 시위대가 지지하는 범민주파가 전체 452석 중 388석을 차지했고 친중파(민주건항협진연맹 등) 60석(13.3%), 중도파는 4석(0
9%)에 그침.
- 행정장관 선거인단 1200명 가운데 범민주파 진영은 현재 325명에 불과하지만 이번 선거 승리로 2022년 선거에서 구의원 몫인 117석을 추가 확보함.
ㅇ (시위 전망) '20년 1분기까지 시위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
- 범민주파의 압승으로 시위대의 5대 요구사항* 지속 관철 요구 예상
주*: ① 송환법 공식 철회(완료), ② 강경 진압에 대한 독립 조사위 구성, ③ 시위대 '폭도' 규정 철회, ④ 체포된 시위 참여자 사면, ⑤ 행정장관 직선제 실시
- 중국·홍콩 정부 대응에 따라 시위 방향이 정해질 것이며, 홍콩에 대한 지배 강화와 홍콩 공무원·청년 대상 중국 역사·문화 교육 강화 예고는 시위 촉발의 불씨가 될 수 있음.(자료: SCMP, HK01 등)
□ 대홍콩 수출 영향
ㅇ (우회수출) 한국 대홍콩 수출은('19년 10월 누적) 전년대비 25.1% 감소한 232억7000만 미국 달러로 이 중 97.1%가 중국으로 재수출
· 우회수출 이유: ① 수출 초보기업의 홍콩 무역상 활용, ② 무관세 혜택 및 낮은 법인세(16.5%), ③ 중국 직접 거래 시 발생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리스크 완화
- 중국으로의 재수출은 전년대비 11.5% 감소한 226억 달러 기록
대 홍콩 수출, 재수출 규모 및 비중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1~10. |
증감률 |
|
전체 |
1~10. |
||||||
한국→홍콩(A) |
22,205 |
25,320 |
32,523 |
35,911 |
31,062 |
23,275 |
△25.1 |
한국→홍콩→중국(C) |
19,512 |
22,144 |
26,424 |
29,685 |
25,550 |
22,611 |
△11.5 |
중국향 재수출 비중(C/A) |
87.9 |
87.5 |
81.2 |
82.7 |
82.2 |
97.1 |
14.9%P |
자료: 홍콩 통계청
ㅇ (반도체 편중) '19년 1~10월 기준 대홍콩 5대 수출 품목(반도체, 컴퓨터, 석유제품, 화장품, 휴대폰)이 전체 수출의 70.3%를 차지하고 반도체 수출이 전체 수출의 61% 이상을 차지
- 대홍콩 반도체 수출은 전년 동기(1~10월) 대비 31.1% 감소한 142억 미국 달러('15~'18년 CAGR 26.6%)
- ① 메모리 반도체 가격 하락, ② 중국 수요 감소, ③ 국내 기업의 중국 현지 생산 가동 및 증설 등으로 반도체 수출 하락
ㅇ (화장품 수출 감소) 홍콩의 전체 화장품 수입은 1.9% 감소에 불과했으나 한국의 대홍콩 화장품 수출은 전년 동기(1~10월)대비 22.9% 감소(7억3000만 미국 달러)
- ① 전자상거래 통한 중국 직접 수출 증가, ② 비특수 화장품 등록관리 제도 등 규제 강화, ③ 중국인 관광객 감소* 등으로 화장품 수출 하락
주*: '19년 9월 홍콩 방문 중국인 관광객은 전월 대비 13% 급감(241만 명, '19년 9월 기준, 자료: 홍콩 관광청)
□ 홍콩 물류 동향
ㅇ (물동량) 미중 무역 분쟁 장기화에 따른 물동량 감소는 큰 폭이나 시위로 인한 물류 영향은 미미한 편
- 대학 캠퍼스 소재 지역과 시내 일부 지역 중심으로 시위가 격화됐으나 항만과 공항은 거의 정상 가동 중
- '19년 1~9월 해운 및 항운은 전년대비 각각 13.4%, 7% 감소했으나 시위 발생 이후인 6~9월은 2%, 0.8% 감소
ㅇ (업계 대응) 홍콩 수요 감소 불가피하며 해운기업 대안 마련 검토
- (항공) 6~9월 한국발 홍콩행 여객 탑승률이 34%에 그쳐 작은 기종으로 변경해 운항하고 있으나 화물 수요가 감소해 수송에는 영향이 없음.
- (물류·포워딩) 대기업, 글로벌 기업 위주로 남중국 소재 타 항구로 물류 허브를 변경하는 컨틴전시 플랜을 검토 중
□ 홍콩 경제 현황 및 전망
ㅇ (경제현황) 홍콩 '19년 3분기 GDP 전년 같은 분기 대비 2.9% 감소(2009년 이후 최초)
- 수출 7.1%, 수입 10.9%, 국내 소비수입 21.5%, 서비스 수출 13.8%, 소비 3.9%, 자본 투자 16.3% 각각 전년 같은 분기 대비 감소
- 항만 물동량 3.5%(460만 TEU), 항공물류 8.6%(120만 톤), 관광객 26% 감소
ㅇ (경제전망) 홍콩 정부 '19년 GDP -1.3%로 조정, 민간 '20년 1.7% 전망
- 홍콩 정부는 ① 미중 무역분쟁, ② 글로벌 교역 감소, ③ 홍콩 내 사회불안 등을 경제 역성장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함. 경제 성장 예상치를 기존 0~1%에서 -1.3%로 조정
- 멕킨지(Mckinsey) 등 민간 기관은 미중협상 1단계 완료 및 세계 경기 하방 요인 완화로 '20년 1.7%, '21년 2.1%, '22년 2.1% 성장 전망
- 홍콩 경유 대중 투자는 전년 동기(3분기) 대비 8.6% 증가했으며, 알리바바의 홍콩 증시 상장(11.26.) 등 홍콩의 금융 허브로서의 지위에는 큰 변동 없을 것으로 예상
□ 시사점
ㅇ 지속되는 시위 여파로 현지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전자상거래 시장 진출 방안 모색 및 현지 유망 전자상거래 시장 발굴 필요
ㅇ 홍콩 바이어-국내 기업 간 온라인 화상상담 진행 및 쇼케이스 내 기업 샘플 전시를 통한 국내 기업 제품 홍보 등 O4O(Online for Offline) 사업 기회 마련 필요
자료: 홍콩 통계청, 홍콩관광청, SCMP, HK01 등 KOTRA 홍콩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홍콩, 구의원 선거 이후 시위 전망 및 경제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美 캘리포니아 및 LA 경제 및 고용 동향 | 미국 | 2019-11-30 |
2 | 쿠바, 외화 부족 및 정책 변화로 인한 외화가치 상승 움직임 | 쿠바 | 2019-11-30 |
3 | 2019년 스리랑카 대선 결과 및 향후 전망 | 스리랑카 | 2019-11-25 |
4 | 캐나다 연방정부 새 내각 출범으로 본격적인 국정 운영 돌입 | 캐나다 | 2019-11-27 |
5 | 스페인, 11월 10일 재 총선 결과 및 향후 전망 | 스페인 | 2019-11-22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