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키 수출입 동향
- 수출경쟁력 강화추세로 무역수지 적자 감소 중 –
- 한국산 중간재 지속 유입으로 대한 교역에서는 연 60억 달러 내외 적자 발생 중 -
□ 수출입 일반동향
ㅇ (수출동향) 2018년도 리라화 가치하락에 따른 수출경쟁력 강화 덕에 전년 대비 6.9% 증가한 1,678억 달러를 기록함.
- 이는 종년 역대 최대치인 1,574억 달러(2014년)를 뛰어넘은 터키 역대 최대 수출치임.
ㅇ (수입동향) 수입액의 15%를 상회하는 유류 가격이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했음에도 불구, 경기부진으로 인한 수입물품 수요 감소로 전년 대비 4.8% 하락한 2,229억 달러를 기록함.
2015-19년 터키 수출입동향
단위 : 백만 달러, %
연도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3월) |
수출 (증감률) |
143,743 (-8.7) |
142,467 (-0.9) |
157,115 (10.3) |
167,890 (6.9) |
42,214 (2.6) |
수입 (증감률) |
206,867 (-14.4) |
198,533 (-4.0) |
234,255 (18.0) |
222,960 (-4.8) |
48,965 (-21.0) |
무역수지 (증감률) |
-63,124 (-25.0) |
-56,056 (-11.2) |
-77,140 (37.6) |
-55,070 (-28.6) |
-6,751 (-67.7) |
자료 : World Trade Atlas
□ 품목별 수출입 동향
ㅇ (품목 유형별 수출) 터키는 중간재, 완성품 등 제조업 생산품 위주로 수출 중
터키 품목 유형별 수출 동향
단위 : 백만 달러, %
유형 |
2017 |
2018 |
증감율 |
||
금액 |
점유율 |
금액 |
점유율 |
||
자본재 |
18,352 |
11.7 |
19,846 |
11.8 |
8.1 |
중간재 |
73,063 |
46.5 |
79,328 |
47.2 |
8.6 |
완성품 |
64,878 |
41.3 |
68,066 |
40.5 |
4.9 |
기타 |
700 |
0.4 |
783 |
0.5 |
11.9 |
자료 : 터키 통계청
ㅇ (품목 유형별 수입) 품목 유형별 비교적 고른 금액 분포를 보이는 수출과는 달리, 수입은 완성품 생산을 위한 중간재 위주로 진행
터키 품목 유형별 수입 동향
단위 : 백만 달러, %
유형 |
2017 |
2018 |
증감율 |
||
금액 |
점유율 |
금액 |
점유율 |
||
자본재 |
33,116 |
14.2 |
29,301 |
13.1 |
-11.5 |
중간재 |
171,462 |
73.3 |
170,044 |
76.2 |
-0.8 |
완성품 |
28,488 |
12.2 |
22,876 |
10.3 |
-19.7 |
기타 |
734 |
0.3 |
817 |
0.4 |
-11.3 |
자료 : 터키 통계청
ㅇ (주요 수출품목) 자동차, 기계류, 철강, 의류 등 중간재 및 완성품 위주
- 리라화 가치 하락에 따른 수출경쟁력 강화로 상위 10개 품목 중 귀금속(금)을 제외한 모든 품목의 수출이 증가
터키의 10대 수출품목
단위 : 백만 달러, %
순위 |
HS CODE |
품목 |
2017 |
2018 |
증감율 |
1 |
87 |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
23,941 |
26,759 |
11.8 |
2 |
84 |
기계 및 기계부품 |
13,825 |
15,832 |
14.5 |
3 |
72 |
철강 |
8,230 |
11,576 |
40.6 |
4 |
61 |
의류(니트) |
8,840 |
9,054 |
12.4 |
5 |
85 |
전자기계장치 |
8,090 |
8,726 |
7.9 |
6 |
71 |
귀금속(금) |
10,879 |
7,171 |
-34.1 |
7 |
73 |
철강제품 |
5,589 |
6,547 |
16.9 |
8 |
62 |
의류(니트 제외) |
5,948 |
6,269 |
5.4 |
9 |
39 |
플라스틱류 |
5,474 |
6,045 |
10.4 |
10 |
27 |
광물성연료 |
4,327 |
4,418 |
2.1 |
자료 : 터키 통계청
ㅇ (주요 수입품목) 광물성 연료, 기계류, 철강 등 원자재 및 중간재 위주
- 상위 10개 품목 중 유가 상승으로 수입액이 15.6% 증가한 광물성연료 등 일부 품목 제외하곤 수입이 감소
터키의 10대 수입품목
단위 : 백만 달러, %
순위 |
HS CODE |
품목 |
2017 |
2018 |
증감율 |
1 |
27 |
광물성연료 |
37,205 |
42,999 |
15.6 |
2 |
84 |
기계 및 기계부품 |
27,164 |
25,767 |
-5.1 |
3 |
72 |
철강 |
16,762 |
18,401 |
-21.7 |
4 |
85 |
전자기계장치 |
21,152 |
16,569 |
9.8 |
5 |
87 |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
17,427 |
13,895 |
-20.3 |
6 |
39 |
플라스틱류 |
13,265 |
12,938 |
-2.5 |
7 |
71 |
귀금속(금) |
17,444 |
12,557 |
-28.0 |
8 |
29 |
유기화학제품 |
5,388 |
5,972 |
10.9 |
9 |
90 |
광학정밀기기 |
4,999 |
4,684 |
-6.3 |
10 |
30 |
의약품 |
4,449 |
4,363 |
-1.9 |
자료 : 터키 통계청
□ 국가별 수출입 동향
ㅇ 터키의 수출은 독일, 영국, 이탈리아 등 EU 국가 위주로 진행되고 있으며, 수입은 러시아, 중국 및 EU 국가 등 다양한 국가와 진행되고 있음.
- 대터키 수출액 63억 달러(2018)를 기록한 대한민국은 터키 수입시장 점유율 10위를 기록 중이며, 터키로부터의 수입액은 미약해 터키 수출시장점유율 41위(2018) 기록 중
주요 국가별 터키 수출 및 수입 현황
단위 : 백만 달러, %
순위 |
수출 |
수입 |
||||||
국가명 |
2017 |
2018 |
증감율 |
국가명 |
2017 |
2018 |
증감율 |
|
전체 |
157,115 |
167,890 |
6.9 |
전체 |
234,255 |
222,960 |
-4.8 |
|
1 |
독일 |
15,128 |
16,136 |
6.7 |
러시아 |
19,573 |
21,986 |
12.3 |
2 |
영국 |
9,609 |
11,105 |
15.6 |
중국 |
23,409 |
20,708 |
-11.5 |
3 |
이탈리아 |
8,481 |
9,554 |
12.7 |
독일 |
21,329 |
20,394 |
-4.4 |
4 |
이라크 |
9,063 |
8,346 |
-7.9 |
미국 |
11,983 |
11,054 |
3.24 |
5 |
미국 |
8,656 |
8,303 |
-4.1 |
이탈리아 |
11,324 |
10,149 |
-10.4 |
6 |
스페인 |
6,304 |
7,707 |
22.2 |
인도 |
6,226 |
7,532 |
21.0 |
7 |
프랑스 |
6,588 |
7,285 |
10.6 |
영국 |
6,562 |
7,429 |
13.3 |
8 |
네덜란드 |
3,867 |
4,760 |
23.1 |
프랑스 |
8,080 |
7,413 |
-8.3 |
9 |
벨기에 |
3,143 |
3,950 |
25.2 |
이란 |
7,500 |
6,939 |
-7.5 |
10 |
이스라엘 |
3,410 |
3,894 |
8.9 |
대한민국 |
6,615 |
6,341 |
-4.1 |
자료 : World Trade Atlas
□ 대한 수출입 동향
ㅇ (일반동향) 터키는 매년 한국과의 교역에서 60억 달러 내외 무역수지 적자가 발생 중이나, 최근 대한 수출량 증가추세에 따라 무역수지 적자폭이 감소하고 있는 상황임.
2015-19년 터키의 대한 수출입동향
단위 : 백만 달러, %
연도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3월) |
수출 (증감률) |
568 (20.9) |
519 (-8.7) |
585 (12.7) |
929 (58.9) |
202 (-0.3) |
수입 (증감률) |
7,049 (-9.4) |
6,386 (-9.4) |
6,615 (3.6) |
6,341 (-4.1) |
1,538 (-12.1) |
무역수지 (증감률) |
-6,481 (-8.3) |
-5,867 (-9.5) |
6,030 (2.8) |
5,412 (-9.0) |
1,336 (-13.6) |
자료 : World Trade Atlas
ㅇ (주요 수출품목) 의약품이 전체 수출액의 20% 이상을 점유 중이며, 기계 및 기계부품,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수목 및 식물류 등이 터키에서 한국으로 수출 중
- 의약품은 2012년 최초로 터키의 한국향 수출품목 1위를 기록한 이후 수출액이 지속 증가하며 한국향 수출품목 1위 유지 중
터키의 대한 10대 수출품목
단위 : 백만 달러, %
순위 |
HS CODE |
품목 |
2017 |
2018 |
증감율 |
1 |
30 |
의약품 |
137 |
355 |
159.3 |
2 |
84 |
기계 및 기계부품 |
69 |
85 |
23.5 |
3 |
87 |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
27 |
71 |
165.3 |
4 |
26 |
수목 및 식물류 |
89 |
66 |
-25.7 |
5 |
27 |
광물성 연료 |
24 |
33 |
37.5 |
6 |
74 |
동과 그 제품 |
6 |
26 |
336.7 |
7 |
43 |
모피, 인조모피 |
9 |
23 |
159.1 |
8 |
03 |
수산물류 |
10 |
23 |
137.0 |
9 |
28 |
무기화합물 |
15 |
20 |
35.6 |
10 |
85 |
전자기계장치 |
22 |
18 |
-17.7 |
자료 : World Trade Atlas
ㅇ (주요 수입품목) 플라스틱류, 철강, 기계 및 기계부품,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유기화학 제품 등 산업재가 주종
- 수입 상위 10개 품목 대다수의 수입액이 감소하였으나, 의약품류(115.5%↑), 유기화학 제품(17.7%↑), 인조필라멘트(15.5%↑) 등 일부 제품 수입액이 큰 폭으로 증가
터키의 대한 10대 수입품목
단위 : 백만 달러, %
순위 |
HS CODE |
품목 |
2017 |
2018 |
증감율 |
1 |
39 |
플라스틱류 |
1,226 |
1,185 |
-3.4 |
2 |
72 |
철강 |
908 |
915 |
0.8 |
3 |
85 |
전자기기 |
790 |
735 |
-7.0 |
4 |
84 |
기계 및 기계부품 |
766 |
608 |
-20.5 |
5 |
87 |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
705 |
571 |
-19.0 |
6 |
29 |
유기화학제품 |
357 |
420 |
17.7 |
7 |
30 |
의약품류 |
175 |
377 |
115.5 |
8 |
54 |
인조필라멘트 |
190 |
220 |
15.5 |
9 |
40 |
고무류 |
207 |
183 |
-11.4 |
10 |
89 |
선박류 |
289 |
158 |
-45.6 |
자료 : World Trade Atlas
□ 시사점
ㅇ 터키는 매년 600억 달러 내외 무역수지 적자가 발생 중이나, 최근 경기부진으로 인한 수입물품 수입 감소 및 제품 수출경쟁력 강화에 따른 수출 증가로 무역수지 적자가 큰 폭으로 감소
- 특히, 완성품의 유럽향 수출 호조에 따라 수출량이 증가 중으로, 2018년에는 사상 최대 수출액 1,678억 달러를 기록함.
ㅇ 터키의 교역구조는 원자재 및 중간재를 수입해 완성품을 만들어 수출하는 구조로, 중간재 산업에 강점을 보유하고 있는 한국과 교역관계에서 매년 60억 달러 내외 무역수지 적자 발생 중
ㅇ 터키 정부는 지속되는 무역수지 적자에 대한 대책으로 중간재 산업을 육성을 추진하고 있으며, 터키로 주 수출품목이 중간재 위주인 우리나라를 터키 정부정책 방향에 맞춰 수출품목 다변화 필요함.
- 현지 컨설팅 업체 관계자 A씨는 “터키 정부가 투자인센티브 확대, 수입규제 조치 등 중간재 제조업 육성을 위한 정책을 시행 중으로, 중간재 제조를 위한 제조설비 수요가 지속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한국업체는 중간재 뿐만 아니라 중간재 제조설비 판매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음.” 이라 한국기업들의 수출품목 다변화에 대한 의견을 밝힘.
자료원: World Trade Atlas, 터키통계청, 무역관 자체 자료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터키 수출입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2019 유럽의회 선거로 본 독일의 EU 경제정책 향방 | 독일 | 2019-05-31 |
2 | 대만, 2019년 경제성장률 2.19% 전망 | 대만 | 2019-05-28 |
3 | 쉬코노미 전성시대 미국, 주목받는 여성 스타트업은? | 미국 | 2019-05-25 |
4 | 알제리, 장기화되는 정치사회적 갈등, 경제활성화 난항 전망 | 알제리 | 2019-05-24 |
5 | 중미 경제통합을 향한 진전, 중미단일세관신고서(DUCA) 출범 | 과테말라 | 2019-05-24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