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쿠웨이트 시장결산 및 2019년 경제전망
- 2019년 유가회복과New Kuwait 2035의 적극적인 추진으로, 3.5%의 경제 성장률 달성 예상
- 프로젝트 및 소비재 부문 국내기업 진출 기상도 ‘맑음’
□ 쿠웨이트 개요
자료원 : MAPS
○ 지리
- 쿠웨이트는 아라비아 반도(Arabian Peninsula)의 북동쪽 구석, 아라비안 걸프 (Arabian Gulf)의 머리에 위치
- 북쪽으로는 이라크, 남쪽으로는 사우디 아라비아를 접경하고 있으며, 아라비아 걸프만을 동쪽으로 끼고 있어 전통적으로 중동의 중요한 요충지
○ 인구
- 총 인구는 450만 명 수준이며, 약 3분의 1은 쿠웨이트인, 나머지 3분의 2는 80개국 이상에서 온 외국인 거주자들로 구성
○ 경제
- 국가 경제를 석유 관련 산업이 주도하며, 총 석유 매장규모는 약 1015억 배럴로 추정, 전세계 매장량의 약 7%를 차지
- 석유 산업이 GDP의 절반 이상, 정부 수입의 94.4%를 차지.
- 석유 정유 및 석유 화학 공정이 지배적 산업군을 형성하고 있으며, 비 석유 관련 제조 및 농업 분야는 매우 제한적
□ 2018년 쿠웨이트 시장결산
○ 2018년 쿠웨이트 경제 성장률 2.3% 달성
- 2018년 쿠웨이트의 GDP 성장률은 석유 생산량 증가 및 유가회복에 힘 입어 가속화
- 글로벌 신용도 성장과 유가회복으로 인하여 민간투자 역시 활성화 추세- 비 석유 부문 제조, 운송 및 건설 등 일부 산업은 위축, 둔화
- 2018년 물가상승률은 0.8%로 다년간 최저치로 하락하였으며, 소비자물가지수 역시 0.6%로 하락하여 안정적인 경제상황과 소비심리 회복을 반영
- 쿠웨이트 정부는 부가가치세 도입을 2021년까지 유예
쿠웨이트의 주요 경제지표
주요 지표 |
2017 |
2018 |
2019 (예상) |
GDP (10억 달러) |
120.68 |
144.54 |
152.37 |
GDP 성장률 (%) |
-3.3 |
2.3 |
4.1 |
1인당 GDP (US$) |
27,394 |
31,916 |
32,737 |
일반 정부 총 부채 (GDP의 %) |
20.6 |
18.8 |
25.4 |
물가 상승률 (%) |
1.5 |
0.8 |
3 |
실업률 (%) |
1.1 |
1.1 |
1.1 |
자료원 : IMF
○ 2018년 한국-쿠웨이트 수출입 결산
- 한국은 쿠웨이트의 수입국 중 8위(4.7%), 수출국 중 1위(18%)에 해당
- 한국의 주요 수출품은 주요 수출품은 전력용 기기, 철강판, 자동차, 주요 수입품은 원유, 석유제품, LPG
- 수출: 상위 10위 수출품 중 자동차를 제외한 9개 품목이 모두 프로젝트 관련 기자재
- 수입: 원유 수입은 전년 대비 증가, 석유제품, LPG등은 감소
한국의 쿠웨이트 주요 수출품목
(단위: 천 달러, %)
순위 |
품목명 |
2017년 |
2018년 |
수출금액(비중) |
수출금액(비중) |
||
1 |
전력용기기 |
43,015 (37.2) |
27,705 (25.6) |
2 |
철강판 |
824 (0.7) |
11,601 (10.7) |
3 |
자동차 |
14,297 (12.4) |
11,321 (10.5) |
4 |
철강관 및 철강선 |
2,763 (2.4) |
8,341 (7.7) |
5 |
기타 산업 기계 |
131 (0.1) |
6,624 (6.1) |
6 |
선박 해양 구조물 및 부품 |
225 (0.2) |
5,300 (4.9) |
7 |
레일 및 철구 조물 |
5,991 (5.2) |
4,520 (4.2) |
8 |
계측 제어 분석기 |
576 (0.5) |
3,635 (3.4) |
9 |
기계 요소 |
8,673 (7.5) |
3,549 (3.3) |
10 |
산업용 전기 기기 |
278 (0.2) |
2,504 (2.3) |
총계 |
115,569 (100) |
108,051 (100) |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 (MTI 3단위 기준)
한국의 쿠웨이트 주요 수입품목
(단위: 천 달러, %)
순위 |
품목명 |
2017년 |
2018년 |
수입금액(비중) |
수입금액(비중) |
||
1 |
원유 |
744,218 (86.6) |
978,055 (95.8) |
2 |
석유제품 |
79,515 (9.3) |
37,966 (3.7) |
3 |
LPG |
34,190 (4.0) |
3,797 (0.4) |
4 |
동제품 |
329 (0.04) |
555 (0.05) |
5 |
알루미늄 |
406 (0.05) |
131 (0.01) |
6 |
운반 하역기계 |
0 (0) |
18 (0) |
7 |
전기부품 |
0 (0) |
12 (0) |
8 |
주단조품 |
0 (0) |
7 (0) |
9 |
기계 요소 |
0 (0) |
5 (0) |
10 |
조명 기기 |
0 (0) |
3 (0) |
총계 |
858,886 (100) |
1,020,554 (100) |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 (MTI 3단위 기준)
□ 2019년 쿠웨이트 경제 전망
○ (대내여건) 유가 회복으로 인하여 대내 경제여건 및 소비심리는 양호할 것으로 예상
- 4.1% 수준의 경제성장률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부동산가격 및 인플레이션 역시 완만하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
- NEW KUWAIT 2035 국가 비전사업으로3,500개 이상의 중소기업 육성 및 청년창업 지원 예정으로 비 석유 부문 시장 확대 및 성장 촉진 예상
- KUWAITIZATION 정책 확산으로, 쿠웨이트 내 자국민 의무고용률 증가예정
○ (대외여건) 석유 생산량 증가와 소비심리 완화로 수출과 수입 모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신보호주의 및 자국산업육성 기조는 유지될 것으로 전망
- 석유 생산량이 2019년 최소 3.5% 성장할 것으로 예상
- 신 보호주의 현지화 요건 강화, 프로젝트 기자재 30% 이상 현지제품 의무사용화
○ (프로젝트) 유가 회복으로 중동 내 취소 및 지연 된 기존 프로젝트 재개 예상
- 특히 건설, 교통 등 인프라 관련 프로젝트와 ICT 분야 프로젝트들의 증가 예상
GCC 국가별/산업별 프로젝트 발주금액 규모 (2019-2020)
(단위: 백만 달러)
구분 |
화학 |
건설 |
오일-가스 |
산업 |
발전소 |
교통 |
수력 |
총계 |
바레인 |
1,500 |
8,020 |
600 |
200 |
1,311 |
30,486 |
844 |
42,961 |
쿠웨이트 |
10,000 |
19,938 |
12,161 |
13,207 |
1,500 |
35,016 |
5,462 |
97,284 |
오만 |
4,826 |
33,752 |
7,050 |
7,660 |
2,589 |
11,821 |
2,706 |
70,404 |
카타르 |
5,232 |
34,308 |
4,600 |
3,850 |
266 |
37,289 |
925 |
86,470 |
사우디 |
53,273 |
52,240 |
3,770 |
6,000 |
279 |
2,650 |
533 |
118,745 |
UAE |
10,165 |
142,713 |
31,590 |
11,489 |
1,219 |
55,260 |
12,937 |
265,373 |
총계 |
84,996 |
290,971 |
59,771 |
42,406 |
7,164 |
172,522 |
23,407 |
681,237 |
자료원: Meed Project
□ 2019년 쿠웨이트 한국 기업 진출 유망 분야
○ (건설프로젝트) 유가 회복과 NEW KUWAIT 2035 추진으로 건설 및 프로젝트 분야 수요 증가 예상
- 2019-20년 총 1천억 달러 규모의 프로젝트 발주가 예정
- 특히 2019년 완공예정인 Sheikh Jaber Causeway교량 완공 후 대륙과 연결되는 부비얀섬의 각종 기반시설의 건설 프로젝트들이 순차적으로 입찰등록 예정
- 병원정보시스템(HIS), 지능형교통체계(ITS), 보안시스템, 스마트시티 등 타 프로젝트에 연계되는 융복합형 ICT 프로젝트 수요 역시 증가 예상
○ (화장품) 한류에 힘입어, 매년 평균 50% 이상의 가파른 성장세
- 중동 내 한류 열풍으로 젊은 소비계층과 여성 소비자들 사이에서 빠르게 확산
- 스킨푸드, 에뛰드하우스 등 한국 화장품브랜드 3개가 쿠웨이트 쇼핑몰에 입점해 있으며, 한국산 피부관리 기기 및 화장품을 사용하는 피부관리샵도 다수
- 2018년도 화장품 분야 총 수출액은 240만 달러 규모이며(MTI Code 227320), 최근 3년간 매년 평균 50% 이상 가파른 성장세 지속
○ (보건의료) 한국 의약품, 의료소비재 및 의료서비스 분야의 쿠웨이트 진출 가속화
- 2018년도 의약품 분야 총 수출액은 200만 달러 규모이며(MTI Code 226200), 최근 3년간 매년 평균 25% 이상 성장 지속
- 의료서비스 분야의 쿠웨이트 진출 가속화에 따라 한국산 보건의료 품목들의 쿠웨이트 수출 역시 탄력을 받을수 있을것으로 전망
□ 시사점 및 진출 전략
○ 유가의 회복세와 소비심리 회복, 한국-쿠웨이트 수교 40주년 기념식, 한류, 부가세 도입 유예 등 여러 호재들로 인하여 한국기업들의 쿠웨이트 진출 여건은 매우 양호
○ 소비재분야 진출 희망 기업의 경우 각종 인증 및 현지 정보 확인이 필수
- 국내 기업의 쿠웨이트 현지 트렌드 및 시장 진출 성공사례 분석이 필요
- 쿠웨이트 등 중동 국가에서는 외국기업 단독으로 법인설립 및 사업추진이 사실상 어렵기때문에, 중동에서 열리는 전시회 등을 통하여 신뢰할만한 현지 파트너(에이전트)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
○ 쿠웨이트 프로젝트 참여를 위한 사전 벤더리스트 등록 및 에이전트 선정 필요
- 쿠웨이트의 경우 프로젝트 참여를 위해서는 반드시 발주처의 벤더리스트 등록과 쿠웨이트 에이전트 선임이 선행되어야 함
- KOC(국영석유공사)의 PQ 담당자는 "벤더리스트 등록의 경우 최소 6개월 이상의 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참여하고 싶은 프로젝트가 있을 경우 반드시 입찰 예상시기를 미리 파악하고, 그 시기 이전에 해당 발주처의 벤더리스트 등록 절차를 마무리 해야 한다"고 조언
- 입찰에 직접 참여를 희망할 경우, 경쟁력 있는 기업들과 컨소시엄 형태를 통한 참여 방식 또한 고려 가능
자료원 : IMF, IHS Markit, MAPS, MEED Project, 한국무역협회, Arab Times, Kuwait Times 등 언론자료, KOTRA 자체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2018년 쿠웨이트 시장결산 및 2019년 경제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파나마, 다가오는 5월 대통령 선거 후보별 공약 | 파나마 | 2019-02-21 |
2 | 2019년 멕시코 경제전망 및 AMLO 정부 주요 경제정책 | 멕시코 | 2019-02-19 |
3 | 불가리아, 2단계 EU 기금 집행실적 현황 | 불가리아 | 2019-02-20 |
4 | 나이지리아 대선에 따른 경제정책 전망 | 나이지리아 | 2019-02-19 |
5 | 2019년 그리스 경제 2%대 성장 지속 전망 | 그리스 | 2019-02-15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