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크로아티아, 2019년 EU 이사회 의장국 수행에 따른 기대효과
- 크로아티아는 2020년 1월부터 6월까지 처음으로 EU 이사회 의장국을 역임한다. 크로아티아 정부는 이번 기회를 EU 역내 입지 제고 및 영향력 확대의 장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특히 크로아티아 정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하고 있는 유로존과 솅겐 협약 가입에 대한 추진동력을 얻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밖에도 EU 결속기금 배정, 프로젝트 및 정책 입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크로아티아의 이익을 대변하는 기회가 될 전망이다.
- 크로아티아
- 자그레브무역관
- 2019-12-06
-
- 흑룡강성 자유무역시범구 활용 대외개방 확대
- 이번 자유무역시범구 설치를 계기로 흑룡강성은 러시아 및 동북아에 중점을 두고 정부 기능 전환, 투자 체재 개혁, 신영역 무역 육성 등 조치를 통해 대외개방 확대
- 중국
- 하얼빈무역관
- 2019-12-06
-
- 홍콩 행정 장관 캐리 람 2019시정연설
- 홍콩 행정장관 캐리 람은 10월 16일에 시정연설을 발표했다. 이번 시정연설은 시위로 인한 흔들리는 민심을 달래기 위해 주택 문제 위주로 정책을 내세웠다. 또한, 홍콩의 중소기업을 돕기 위해 다양한 지원금을 확보했지만, 홍콩 시민의 65% 시정연설에 불만이라고 했다.
- 홍콩
- 홍콩무역관
- 2019-12-06
-
- 존슨 英 총리 “크리스마스 전에 브렉시트 재추진”, 정당별 총선공약
- 브렉시트 교착상태를 풀기 위한 조기총선이 2주 앞으로 다가왔다. 설문조사기관 유고브(YouGov)에 따르면 집권 보수당이 하원 650석 가운데 359석을 차지해 총선에서 대승을 거둘 확률이 높은 상황이다. 현재 보수당은 이번 총선에서 승리하면 크리스마스 전에 브렉시트 합의안의 의회 통과를 재추진하여 내년 1월까지 브렉시트를 반드시 마무리 짓겠다는 입장이다.
- 영국
- 런던무역관
- 2019-12-06
-
- 2020년 베트남의 주요 이슈는?
- 베트남은 외국인 투자유치와 제조산업을 바탕으로 매년 6~7%대의 높은 경제성장률을 달성하며, 보다 지속가능한 경제개발을 위해 양적 성장뿐만 아니라 질적 성장의 변화를 꾀하고 있다. 아세안의 의장국을 맡게 되는 2020년은 베트남에게 있어 대외적으로 중요한 시기임과 동시에 내부적으로는 지난 5년간의 개발계획과 관련한 ‘거시경제 성적표’를 받게 되는 중요한 해로 총리의 진두지휘 아래 사회경제지표의 부족한 점을 보완해 나갈 전망이다.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 2019-12-06
- 추천 : 1
-
- 한눈에 알아보는 다낭시 경제동향
- 베트남 다낭시 통계청은 지난 6월 DANANG CITY STATISTICAL YEARBOOK 2018을 발간했다. 책에 따르면 2018년 다낭시 인구는 약 108만 명으로 높은 출산율 및 순유입으로 증가세를 보인다. 지역 내 총생산은 관광업을 중심으로 견조한 성장세가 유지되고 있으며, 투자부문에서는 민간 및 외국인직접투자가 증가해 역대 최대 투자액을 달성했다. 산업부문에서는 관광업을 중심으로 하이테크 산업 유치에도 노력하고 있다.
- 베트남
- 다낭무역관
- 2019-12-05
- 추천 : 1
-
- 중국 광둥성 스포츠 경제
- 중국 광둥성은 2018년 기준 스포츠 유관 산업 규모가 전 중국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해당 규모의 증가율 또한 전국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렇게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는 스포츠 산업 동향을 면밀히 확인하고 관련된 상품, 서비스의 진출을 통해 한국 기업 또한 과실을 함께 누리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 중국
- 광저우무역관
- 2019-12-04
-
- 美 캘리포니아 및 LA 경제 및 고용 동향
- 최근 미국 전체 실업률이 50년 이래 최저치를 기록하며, 경제 회복과 안정화가 지속되고 있다. 캘리포니아와 LA 지역에서도 고용시장 활성과 개인소득 증가가 이어지며, 이는 한국 기업들의 미국 시장진출과 수출 증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된다.
- 미국
- 로스앤젤레스무역관
- 2019-12-03
-
- 쿠바, 외화 부족 및 정책 변화로 인한 외화가치 상승 움직임
- 쿠바 고위당국자들의 자국내 외화를 충분히 확보해두기 위한 잇따른 정책 발표로 인해 쿠바내에서는 암환전 거래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는 자국 내 미국 달러 거래 일부 허용에 따라 쿠바 태환페소(CUC)의 가치가 하락할 것이라는 우려로 인한 것으로 앞으로 달러 가치의 상승 조짐이 유추되는 부분이다. 쿠바 정부의 외화 관련 정책은 진행형이며, 해당 정책으로 인한 변수는 많을 것으로 전망되니 귀추가 주목된다.
- 쿠바
- 아바나무역관
- 2019-12-02
-
- 2019년 스리랑카 대선 결과 및 향후 전망
- Rajapaksa 가문에서 다시 대통령이 되면서 스리랑카는 새로울 것이 없을 수도 있지만 강한 리더십과 포괄적 성장을 위한 노력으로 국가를 재 정비할 것으로 보인다.
- 스리랑카
- 콜롬보무역관
- 2019-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