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싱가포르, 코로나19 피해 대응에 역대 최대규모 예산 투입
- 싱가포르가 4월 7일부터 4주간 필수 산업을 제외한 모든 사업장 및 교육시설을 폐쇄하는 ‘서킷브레이커’를 실시함에 앞서 3차 예산안을 깜짝 발표했다. 코로나19 피해 대응을 위해 2020회계연도에 역대 가장 큰 규모인 약 600억 싱가포르달러가 투입됨에 따라 싱가포르 경제 동향과 주요 지원정책을 소개한다.
- 싱가포르
- 싱가포르무역관
- 2020-04-16
-
- 中 후베이성 코로나 19 동향 및 정부 지원책
- 우한에서는 지난 3월 18일 신규 확진자 0명을 기록하며, 방역 안정화 단계에 진입했다. 우한시를 제외한 후베이성 기타 도시는 3월 11일부터 조업재개를 시작했으며, 우한시는 3월 20일부터 순차적으로 조업재개를 시행했다. 코로나19 동향 및 이에 따른 영향과 기업의 애로사항을 분석했다.
- 중국
- 우한무역관
- 2020-04-16
-
- UAE, 신규 가스전 발견으로 천연가스 자급시대 열리나
- UAE 정부는 두바이(Jebel Ali)와 아부다비(Saih As Sidirah) 접경 5,000㎢ 면적의 지역에서 최대 매장량 80조 입방피트(TCF, Trillion Cubic Feet)의 대규모 가스전이 발견됐으며 샤르자 마하니 지역에서도 가스-콘덴세이트전이 발견됐다. 신규 가스전 발굴로 향후 카타르를 통해 천연가스를 수입해오던 UAE가 10년 내 천연가스 자급화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 2020-04-14
-
- 코로나19에 따른 카타르의 경제동향과 정부 대응 조치
- 카타르 정부는 코로나19 발생에 따른 국제적인 에너지 수요 감소 및 에너지 가격 하락에 따른 민간경기 침체를 극복하고자 206억 달러 규모의 경제 및 금융 지원책을 마련하고, 걸프국가 최초로 100억 달러의 국채를 발행했다. 프로젝트 시장은 당분간 다소 침체될 것으로 전망되나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 등에 따른 새로운 비즈니스 수요 발생으로 우리 기업의 신규 시장 진출이 기대되고 있다.
- 카타르
- 도하무역관
- 2020-04-13
-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코로나19 비교를 통해 살펴본 체코 경제 흐름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코로나19 사태가 체코 경제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비교해보고 사태별 대응 정책을 살펴본다. 특히 위기상황 이후 나타나는 산업별 소비트렌드의 변화를 파악해 체코에 수출하고자 하는 국내기업들에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체코
- 프라하무역관
- 2020-04-13
-
- 국제유가 하락과 환율상승으로 카자흐스탄 경제 먹구름
- OPEC+의 감산 합의 결렬로 국제유가가 폭락했다. 이로 인해 석유가스에 의존적인 카자흐스탄 경제는 기업가치 하락과 환율 급등을 겪고 있다. 텡게화 절하는 심각한 인플레이션을 초래했고 중소기업은 제품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 카자흐스탄 경제에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다.
- 카자흐스탄
- 알마티무역관
- 2020-04-13
-
- 말레이시아 정부, 70조 원 규모의 경기부양책 발표
- 무히딘 총리는 지난 3월 27일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 2020 프리하틴 경기부양책을 발표했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역대 최대 규모인 2500억 링깃(원화 약 70조 원)이 책정된 해당 정책으로 어려움을 겪고있는 말레이시아 기업과 국민에게 힘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한편 중소기업을 위한 지원이 부족하다는 경제단체의 의견을 반영한 말레이시아 정부는 4월 6일, 100억 링깃 규모의 중소기업 지원 정책을 추가로 발표했다.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무역관
- 2020-04-10
- 추천 : 5
-
- 중국의 디지털 화폐 동향
- 중국은 2020년 디지털 화폐(DCEP) 발행을 준비 중이다. 위안화의 글로벌화 및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적극적으로 발행을 추진하고 있다. 대중교역 비중이 큰 우리는 향후 DCEP가 대중거래에서 활용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이를 숙지할 필요가 있다.
- 중국
- 광저우무역관
- 2020-04-10
-
- 인도네시아 산업의 미래, ‘메이킹 인도네시아 4.0’의 현재
- 지난 2018년 인도네시아 정부가 공개한 산업 로드맵, '메이킹 인도네시아 4.0'을 재조명했다.
- 인도네시아
- 수라바야무역관
- 2020-04-09
-
- 2008년 세계 금융위기로 보는 코로나19 이후 파라과이 경제
- 2008년 경제위기와 2020년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를 비교해 향후 파라과이 경제상황을 예측해보고자 한다. 2008년 경제현황과 정부정책, 결과 그리고 2020년 현재 파라과이 경제 상황과 국가 정부 정책을 소개한다.
- 파라과이
- 아순시온무역관
- 2020-04-09
- 추천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