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주요 부문 무역 동향
- 10월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 다시 증가-
- 코로나19로 인해 위축됐던 국제 교역 정상 궤도 진입 신호 -
12월 4일(미 현지 시간) 미 인구조사국(U.S. Census Bureau)과 경제분석국(U.S. Bureau of Economic Analysis)은 10월 미국의 무역수지가 631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9월 무역수지 적자인 621억 달러(수정)에서 1.6% 증가한 것으로, 2019년 동기 대비 9.5%인 466억 달러가 증가한 것이다.
10월 무역수지 적자 다시 상승
수출은 1820억 달러로 전월대비 2.2% 증가했으며, 수입은 2451억 달러로 전월대비 2.1% 증가했다. 상품 부문 적자는 전월대비 6억 달러가 증가한 818억 달러였으며, 서비스 부문 흑자는 전월대비 4억 달러 감소한 183억 달러였다. 무역수지 적자는 9월에 전월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10월에 다시 상승했다.
미국 무역수지 적자액
(단위: US$ 십억)
자료: U.S. Census Bureau
미 경제분석국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올해 초 수출입이 급격히 감소했지만 교역이 회복되는 추세가 10월의 수출 및 수입에 모두 반영됐다고 분석했다. 이번 10월 무역수지 통계를 발표하며, 지난 4~9월의 수치도 수정해 발표했다.
2020년 월별 미국 수출입 통계
(단위: US$ 백만)
월 |
무역수지 |
수출 |
수입 |
||||||
합계 |
상품 |
서비스 |
합계 |
상품 |
서비스 |
합계 |
상품 |
서비스 |
|
1월 |
-43,364 |
-66,127 |
22,763 |
209,270 |
137,227 |
72,043 |
252,634 |
203,354 |
49,280 |
2월 |
-37,008 |
-59,760 |
22,752 |
209,652 |
138,457 |
71,194 |
246,660 |
198,217 |
48,443 |
3월 |
-46,104 |
-65,861 |
19,757 |
186,630 |
127,848 |
58,782 |
232,734 |
193,709 |
39,025 |
4월 |
-51,887 |
-71,658 |
19,771 |
149,101 |
95,702 |
53,399 |
200,988 |
167,360 |
33,628 |
5월 |
-55,594 |
-76,089 |
20,494 |
144,001 |
89,973 |
54,029 |
199,596 |
166,061 |
33,534 |
6월 |
-51,205 |
-71,798 |
20,593 |
157,628 |
103,051 |
54,577 |
208,833 |
174,849 |
33,984 |
7월 |
-61,406 |
-80,887 |
19,481 |
170,071 |
115,525 |
54,547 |
231,477 |
196,411 |
35,066 |
8월 |
-64,918 |
-83,903 |
18,985 |
173,864 |
118,956 |
54,908 |
238,783 |
202,860 |
35,923 |
9월 |
-62,083 |
-80,775 |
18,692 |
178,045 |
122,654 |
55,391 |
240,129 |
203,430 |
36,699 |
10월 |
-63,123 |
-81,410 |
18,287 |
182,015 |
126,346 |
55,668 |
245,138 |
207,756 |
37,382 |
자료: US Census Trade Statistics,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 정리
주요 상품 수출입 동향
미국 주요 상품 수출은 전월대비 2.9% 증가했다. 소비재와 산업용 소모품 및 자재 수출이 전월대비 각각 5.9%, 4.1% 증가하며, 수출 증가의 주된 요인이 됐다. 주요 상품 수입은 전월 대비 2.3% 증가했고 식품을 제외한 산업용 소모품 및 자재, 자본재, 자동차, 소비재 부문에서 고르게 수입이 증가했다.
미국 주요 상품 수출액
(단위: US$ 백만, %)
구분 |
2020년 10월 |
2020년 9월 |
전월대비 증감액 |
전월대비 증감률 |
식품 |
12,368 |
12,867 |
-499 |
-3.8 |
산업용 소모품 및 자재 |
40,964 |
39,342 |
1,621 |
4.1 |
자본재(자동차 제외) |
39,142 |
37,672 |
1,471 |
3.9 |
자동차(자동차부품, 엔진 등) |
12,674 |
12,515 |
158 |
1.2 |
소비재 |
16,196 |
15,292 |
904 |
5.9 |
기타 상품 |
4,822 |
4,847 |
-25 |
-0.5 |
총계 |
126,165 |
122,536 |
3,630 |
2.9 |
자료: U.S. Department of Commerce,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 자료 정리
미국 주요 상품 수입액
(단위: US$ 백만, %)
구분 |
2020년 10월 |
2020년 9월 |
전월대비 증감액 |
전월대비 증감률 |
식품 |
13,350 |
13,529 |
-180 |
-1.3 |
산업용 소모품 및 자재 |
38,214 |
36,887 |
1,327 |
3.5 |
자본재(자동차 제외) |
56,884 |
55,509 |
1,375 |
2.4 |
자동차(자동차부품, 엔진등) |
32,203 |
31,191 |
1,012 |
3.2 |
소비재 |
57,186 |
55,776 |
1,411 |
2.5 |
기타 상품 |
8,746 |
9,006 |
-260 |
-2.8 |
총계 |
206,583 |
201,897 |
4,685 |
2.3 |
자료: U.S. Department of Commerce,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 자료 정리
주요 서비스 수출입 동향
10월의 서비스 무역수지는 수출이 수입을 상회하며, 여전히 흑자를 기록했다. 미국은 통상적으로 서비스 부문에서는 꾸준히 흑자를 유지해왔다. 10월 서비스 수출액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미 대부분의 지역에서 봉쇄령이나 자택대비명령이 내려진 3월 이후 최고액을 기록했다.
2020년 미국 서비스 수출입 현황
(단위: US$ 백만)
|
수입 |
수출 |
1월 |
49,280 |
72,043 |
2월 |
48,443 |
71,194 |
3월 |
39,025 |
58,782 |
4월 |
33,628 |
53,399 |
5월 |
33,534 |
54,029 |
6월 |
33,984 |
54,577 |
7월 |
35,066 |
54,547 |
8월 |
35,923 |
54,908 |
9월 |
36,699 |
55,391 |
10월 |
37,382 |
55,668 |
자료: U.S. Department of Commerce,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 자료 정리
주요 서비스 수출 부문에서는 코로나19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수송 및 운송 서비스, 여행 서비스가 전월 대비 수출이 증가하며 전반적인 서비스 수출 흑자를 견인했다. 금융 서비스(114억 달러), 지적재산 운용 서비스(101억 달러)와 같이 미국이 전통적으로 수출 강세를 보이는 서비스 품목은 전월 대비 수출이 감소했지만 여전히 전체 수출액 중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미국 주요 서비스 수출 실적
(단위: US$ 백만, %)
구분 |
2020년 10월 |
2020년 9월 |
전월대비 증감액 |
전월대비 증감률 |
정비 및 수리 서비스 |
1,202 |
1,254 |
-52 |
-4.1 |
수송 및 운송 서비스 |
4,197 |
4,023 |
174 |
4.3 |
여행 서비스 |
4,066 |
3,847 |
219 |
5.6 |
건설 서비스 |
204 |
216 |
-12 |
-5.5 |
보험 서비스 |
1,195 |
1,205 |
-10 |
-0.8 |
금융 서비스 |
11,391 |
11,465 |
-74 |
-0.6 |
지적재산 운용 서비스 |
10,101 |
10,183 |
-82 |
-0.8 |
전기통신, 컴퓨터, 정보 서비스 |
4,530 |
4,487 |
43 |
0.9 |
기타 비즈니스 서비스 |
15,247 |
15,171 |
76 |
0.5 |
개인, 문화 서비스 |
1,538 |
1,518 |
20 |
1.3 |
정부 상품 및 서비스 |
1,996 |
2,023 |
-27 |
-1.3 |
총계 |
55,668 |
55,391 |
277 |
0.5 |
자료: U.S. Department of Commerce,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 자료 정리
주요 서비스 수입 부문에서는 여행 서비스가 전월 대비 수입이 18.9%로 크게 증가했다. 수송 및 운송 서비스(58억 달러), 보험 서비스(53억 달러), 지적재산 운용 서비스(40억 달러) 등으로 집계되며 전체 수입액 중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미국 주요 서비스 수입 실적
(단위: US$ 백만, %)
구분 |
2020년 10월 |
2020년 9월 |
전월대비 증감액 |
전월대비 증감률 |
정비 및 수리 서비스 |
461 |
446 |
15 |
3.3 |
수송 및 운송 서비스 |
5,891 |
5,604 |
287 |
5.1 |
여행 서비스 |
2,125 |
1,787 |
338 |
18.9 |
건설 서비스 |
60 |
61 |
-1 |
-1.6 |
보험 서비스 |
5,314 |
5,254 |
60 |
1.1 |
금융 서비스 |
3,290 |
3,260 |
30 |
0.9 |
지적재산 운용 서비스 |
4,050 |
4,095 |
-45 |
-1.0 |
전기통신, 컴퓨터, 정보 서비스 |
2,716 |
2,769 |
-53 |
1.9 |
기타 비즈니스 서비스 |
9,294 |
9,280 |
14 |
0.1 |
개인, 문화 서비스 |
2,113 |
2,078 |
35 |
1.6 |
정부 상품 및 서비스 |
2,067 |
2,065 |
2 |
0.09 |
총계 |
37,382 |
36,699 |
683 |
1.8 |
자료: U.S. Department of Commerce,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 자료 정리
첨단 기술품 수출입 동향
미국의 첨단 기술품 수출은 코로나19의 확산세로 대부분의 지역에 자택대피명령이 내려졌던 지난 3~5월에 감소했지만 전반적으로 다시 회복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참고로 항공기산업과 관련된 특정 상품 분류에 대한 수출 통계는 기밀 정보로, 수치에는 반영되지 않았다. 첨단 기술품 수입은 4월 이후 증가세를 보이며 10월에는 가장 많은 수입액을 기록했다.
2020년 월별 미국 첨단 기술품 수출입 통계
(단위: US$ 백만)
|
수출 |
수입 |
무역수지 |
1월 |
27,575 |
39,130 |
-11,555 |
2월 |
27,549 |
32,678 |
-5,128 |
3월 |
29,648 |
39,946 |
-10,299 |
4월 |
21,257 |
35,035 |
-13,778 |
5월 |
20,234 |
37,349 |
-17,115 |
6월 |
23,414 |
42,551 |
-19,137 |
7월 |
24,402 |
41,470 |
-17,067 |
8월 |
23,129 |
42,201 |
-19,072 |
9월 |
24,250 |
43,026 |
-18,777 |
10월 |
26,853 |
46,324 |
-19,470 |
총계 |
248,311 |
399,709 |
-151,397 |
자료: U.S. Department of Commerce,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 자료 정리
첨단 기술 부문별로 살펴보면 생명공학 분야, 정보통신 분야, 생명과학 분야, 핵공학 분야, 광학 분야의 수입이 수출을 상회하면서 무역수지 적자를 이끌었다. 특히 정보통신 분야의 수입액은 가장 높았으며 생명공학 분야, 생명과학 분야의 경우 수입액이 2019년 해당 기간 대비 증가 비율이 높았다.
미국 첨단 기술 부문별 수출입 통계
(단위: US$ 백만, %)
자료: U.S. Census Bureau
시사점
전문가들은 최근 미국의 무역적자가 확대되는 현상을 국제 무역 체계인 글로벌 공급망의 회복력과 안정성을 보여주는 현상으로 이해하고 있다. 세계 최대 소비시장인 미국의 무역적자 확대는 재난지원금, 추가 실업급여, PPP 대출 등 미국 정부의 적극적인 경기부양책에 힘입어 민간부문의 소비가 증가하면서 소비재를 중심으로 수입이 빠르게 증가했고 코로나19로 인해 위축됐던 국제 교역이 수출과 수입이 활발히 일어나면서 글로벌 공급망이 원활하게 작동해 점진적으로 정상 궤도에 오르고 있음을 시사하기 때문이다. 미국의 무역수지 동향은 수출의존도가 높은 한국의 경제 흐름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기에, 우리 기업들도 중장기적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미국의 무역수지 동향을 관찰하고 비즈니스 활동에 참고해야 할 것이다.
자료: U.S. Census Bureau, U.S. Department of Commerce, U.S. Bureau of Economic Analysis, 한국은행,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美 주요 부문 무역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핀테크의 미래’ 웨비나 현장 스케치 | 미국 | 2020-12-18 |
2 | 베트남 단기출장자 특별입국 절차 | 베트남 | 2020-12-22 |
3 | 2021년, 캐나다 투자진출의 기회를 잡아라! | 캐나다 | 2020-12-19 |
4 | 시베리아 바이어들의 온라인 무역사절단 참가 후기 | 러시아 | 2020-12-23 |
5 | 미리보는 2021년 미국 소비시장 트렌드 | 미국 | 2020-12-19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