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라루스 의약품 산업
- 벨 의약품 시장규모 12억 달러, 절반 이상을 수입에 의존 –
- 제약산업은 벨 정부의 중점 투자유치 분야, 수입대체 노력중 –
ㅁ 산업개관 및 특성
ㅇ 분석기관마다 집계 수치가 다소 상이하긴 하나, Fitch Solutions과 벨라루스투자청(NAIP)의 자료에 의하면 2019년 벨라루스 의약품 시장규모는 약 25.7억 루블(약 12.3억 달러, 1인당 소비액은 130달러)을 기록하였으며, 이는 국가 전체 의료지출의 31.5%, GDP의 2.0%에 해당함.
- 2020년 시장규모는 루블 기준으로 전년 대비 9.2%가 성장해 약 28.6억 루블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나, 벨라루스 루블의 평가절하로 인해 달러 기준으로는 전년 대비 0.1%가 성장한 약 12.5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됨.
2015-2029 벨라루스 의약품 시장 규모 추이
(단위: 10억 달러, %)
자료: Fitch Solutions, 벨라루스 투자민영화청(NAIP)
ㅇ Fitch Solutions에 의하면, 2019년 벨 의약품 시장은 처방전이 필요한 약품이 61.8%(15.9억 루블, 7.6억 달러)를 차지하고 처방전없이 누구나 구매가 가능한 시판약(Over-the-Counter Medicine)은 전체 시장의 약 38.2%(9.8억 루블, 4.7억 달러)를 차지하고 있음.
- 처방전이 필요한 약품은 17%의 특허의약품(patented medicine)과 83%의 복제의약품(generic medicine)으로 구성되어 있음. 벨 정부는 지속적인 수입대체 노력 및 가격 통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에 복제의약품의 시장지배력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예측됨.
- 향후 10년간 처방전이 필요한 약품의 비중은 점차 늘어나 65%에 이를 것이고, 시판 약(OTC)의 비중은 점차 줄어들어 35%까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됨.
ㅇ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분석기관마다 분류 및 집계기준이 다소 상이하여, 분석기관 Statista 에 의하면 시판약 OTC(진통제, 감기약, 소화제, 피부연고, 비타민제, 손 세정제) 시장규모는 2019년 1.36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향후 연평균 3.0%의 성장이 지속되어 2025년에는 시장 규모가 1.52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 2020년의 경우 다소 매출액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며, 코로나19의 일상화로 인해 2025년까지 시판 약 분야 중 가장 성장세가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되는 품목은 손 세정제 분야임.
벨라루스 시판 약 OTC(Over-the-Counter) Pharmaceuticals 판매량 구조
(단위: 백만 달러)
자료: Statista
ㅇ 벨라루스 국민 1인당 시판 약 연간 구매액은 2019년 14.38달러를 기록하였으며, 2025년에는 약 16.18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됨.
- 유통구조의 경우 2020년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온라인을 통한 구매가 5%까지 성장하였으나, 향후 동 비중은 늘어나지 않고 오프라인 약국 등을 통한 구매가 95%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벨라루스 시판 약 OTC(Over-the-Counter) Pharmaceuticals 개인 구매량 구조
(단위: 달러)
자료: Statista
벨라루스 시판 약 OTC(Over-the-Counter) Pharmaceuticals 판매 채널 구조
(단위: %)
자료: Statista
ㅁ 생산 및 수출동향
ㅇ 제약 산업은 벨 정부가 수입대체를 위해 적극적으로 투자 유치를 지원하고 있는 산업으로서, 지난 6년간 생산량은 28.6% 증가함. 전체수출의 약 70% 이상이 러시아로 수출되고 있음.
- 제약분야 종사자 비율은 지난 5년간 꾸준히 증가해 1만 명 이상의 전문 인력이 근무 중이며, 2019년 제약분야 노동자 명목임금은 636.2달러로 벨라루스 평균임금 522.6달러보다 21.7% 높은 수준을 기록함.
벨라루스 제약 생산 및 수출입 추이
구분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생산(백만 달러) |
502.2 |
534.4 |
501.7 |
594.6 |
608.1 |
645.8 |
성장률(%) |
n/a |
6.4 |
-6.1 |
19.3 |
2.3 |
6.2 |
수출(백만 달러) |
162.2 |
142.7 |
157 |
205.1 |
239.6 |
287.3 |
생산 중 수출비중(%) |
32.3 |
26.7 |
31.2 |
34.5 |
39.4 |
44.5 |
수입(백만 달러) |
756 |
817 |
610 |
819.4 |
837.2 |
960.2 |
자료: 벨라루스 통계청, 벨라루스 투자민영화청(NAIP)
ㅇ 2019년 기준 벨라루스에는 101개의 제약회사가 있으며, 이중 Belmedpreparaty를 포함한 5개는 국영기업이고, 외국계 다국적 기업은 Roche, Novartis, Sanofi, Nycomed, Gedeon Richter 및 Bayer Healthcare 등 16개 사가 진출해 있으며, 80개의 현지 민간기업이 활동 중임.
- 2019년 기준 벨라루스에서 생산 중인 의약품은 1,674개(이중 1,553개가 복제의약품임)이며, 수입제품을 포함하여 총 4,266개의 제품이 벨라루스 현지에 등록되어 있음.
ㅇ 수량상으로는 현지생산 제품이 전체 시장의 약 70%를 차지하며, 수입산은 30%를 점유 중임.
- 벨라루스 현지생산 의약품의 85%는 5달러 미만의 복제의약품이며, 이러한 복제의약품은 유사한 기능을 가진 수입의약품보다 최소 3배에서 최대 28배가 저렴함.
- 벨라루스 현지생산 의약품의 60% 이상이 BelPharmProm이라는 국가지주회사연합을 통해 생산되고 있으며, Belpharmprom 산하 기업들이 생산하는 의약품의 43 % 정도가 단가가 1달러도 되지않는 저가 의약품임.
ㅇ 벨 정부는 2017년 7월 25일 대통령령 No.258호를 통해 보건부 내 제약산업과를 BelPharmProm(The Pharmaceutical Holdings Company)이라는 산하기관(국가지주회사연합)로 독립시켜 벨라루스 제약산업을 육성시키려 노력 중임.
- 동 지주회사연합에는 최대 국영제약기업인 Belmedpreparaty 등 40개의 현지 기업이 속해있음.
자료: BelPharmProm
ㅇ 벨라루스 현지 주요 제약기업 리스트는 아래와 같음.
기업명 |
홈페이지 |
기업명 |
홈페이지 |
---|---|---|---|
Belmedpreparaty |
https://belmedpreparaty.com |
Akadempharm |
https://academpharm.by |
Borisov Plant of Medical Preparations |
https://borimed.com |
Amateg |
http://www.amateg.by |
Nesvizh Plant of Medical Preparations |
http://nzmp.net |
Rubikon |
http://www.rubikon.by |
Ekzon |
https://www.ekzon.by |
Unitehprom (BSU) |
https://unitehprom.bsu.by |
Pharmtehnologiya |
http://ft.by |
MALKUT |
http://www.vitus.by |
Minskintercups |
http://www.mic.by |
Amantismed |
http://amantismed.by |
Padiss |
http://www.padiss.by |
Belalek |
http://www.belalek.by |
MED INTERPLAST |
http://med-interplast.com |
Bioterra |
http://bioterra.by |
Lekpharm |
http://lekpharm.by |
Lamyra Pharmacare |
http://lphc.by |
Traiplfarm |
http://www.triplepharm.by |
Nika Pharma |
http://nikapharm.by |
Pharmland |
https://pharmland.by |
REB Pharma |
http://www.rebpharma.by |
Nativita |
https://www.nativita.com |
Ferane |
https://ferane.by |
Biotest |
http://biotest.by |
Fortiva |
https://fortiva.by |
자료: KOTRA 민스크무역관 자체 작성
ㅁ 수입동향
ㅇ 비록 벨라루스 정부가 수입대체를 위해 현지 생산을 육성지원하고 있기는 하나, 벨라루스 의약품 시장은 아직까지 절반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수입액은 매년 증가세에 있음.
- 항암제, 항생제, 백신 등 주로 전문의약품을 수입하고 있으며, 제품별로 차이는 있으나 주요 수입국은 독일, 러시아, 프랑스, 슬로베니아, 미국, 인도, 중국 등임.
- 우리나라의 경우, 벨라루스로 직수출하는 의약품 규모는 연간 2~3백만 달러 수준이며, 2020년 1~10월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40.3% 증가한 253만 달러를 기록하였음. 의약품이 우리나라의 대벨라루스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5~7%로 5대 수출품목군 중의 하나임.
ㅇ HS 4자리 기준 주요 의약품의 벨라루스 국가별 수입 현황은 아래와 같음.
- 아래 통계는 벨라루스 통계청 자료를 근거로 한 수치이며, 벨라루스는 수입통계를 원산지 기준으로 잡고 있기 때문에 한국에서의 직수출이 아닌 우회 수출 금액도 포함되어 있음.
벨라루스 항생제/항생물질(HS코드 2941) 국가별 수입 현황
Products: 2941 (Antibiotics)
(단위: 달러, %)
구분 |
2019 |
2020.1-9 |
||||||
---|---|---|---|---|---|---|---|---|
순위 |
국가명 |
금액 |
점유율 |
증감률 |
국가명 |
금액 |
점유율 |
증감률 |
World |
48,305,800 |
100 |
22.85 |
World |
48,173,400 |
100 |
4.22 |
|
1 |
China |
37,898,200 |
78.45 |
20.58 |
China |
36,435,000 |
75.63 |
-4.25 |
2 |
Russia |
4,120,200 |
8.53 |
44.07 |
Russia |
4,937,800 |
10.25 |
67.36 |
3 |
India |
2,932,000 |
6.07 |
159.06 |
India |
1,978,700 |
4.11 |
-6.18 |
4 |
Czech Republic |
1,221,200 |
2.53 |
-1.66 |
Czech Republic |
1,267,400 |
2.63 |
56.39 |
5 |
Korea, South |
1,170,600 |
2.42 |
-28.56 |
Italy |
1,226,600 |
2.55 |
1384.99 |
6 |
Denmark |
352,700 |
0.73 |
-27.98 |
Korea, South |
1,023,400 |
2.12 |
-20.84 |
7 |
Italy |
189,500 |
0.39 |
171.88 |
Denmark |
685,000 |
1.42 |
35.43 |
8 |
Ukraine |
122,800 |
0.25 |
-16.69 |
Spain |
270,600 |
0.56 |
973.81 |
9 |
Bulgaria |
95,900 |
0.2 |
99.79 |
France |
76,000 |
0.16 |
53.23 |
10 |
Germany |
59,800 |
0.12 |
18.89 |
Ukraine |
68,500 |
0.14 |
-33.24 |
자료: Global Trade Atlas, 벨라루스 통계청
벨라루스 의약품(HS코드 3002) 국가별 수입 현황
Products: 3002 (Human And Animal Blood, Prepared; Antisera Other Blood Frctns Immunological Prod; Vaccines, Txns, Cultures Of Micro-Organisms (Exc Yeasts) & Like Prod)
(단위: 달러, %)
구분 |
2019 |
2020.1-9 |
||||||
---|---|---|---|---|---|---|---|---|
순위 |
국가명 |
금액 |
점유율 |
증감률 |
국가명 |
금액 |
점유율 |
증감률 |
World |
188,831,700 |
100 |
7.62 |
World |
299,650,300 |
100 |
63.18 |
|
1 |
Russia |
37,823,000 |
20.03 |
10.39 |
Poland |
66,310,800 |
22.13 |
14701.52 |
2 |
Germany |
29,876,200 |
15.82 |
68.54 |
Russia |
37,770,800 |
12.6 |
-6.54 |
3 |
United States |
23,568,200 |
12.48 |
-16.36 |
Estonia |
31,506,500 |
10.51 |
338679.57 |
4 |
Netherlands |
16,477,000 |
8.73 |
9.12 |
Germany |
29,254,800 |
9.76 |
5.06 |
5 |
Italy |
14,485,400 |
7.67 |
10.84 |
United States |
23,092,000 |
7.71 |
-10.16 |
6 |
France |
12,274,800 |
6.5 |
26.24 |
Netherlands |
16,985,400 |
5.67 |
14.16 |
7 |
Denmark |
7,924,300 |
4.2 |
-5.55 |
Italy |
15,722,100 |
5.25 |
38.36 |
8 |
Austria |
7,895,900 |
4.18 |
-29.32 |
France |
11,216,000 |
3.74 |
-1.22 |
9 |
Switzerland |
4,205,100 |
2.23 |
-42.07 |
Austria |
8,309,400 |
2.77 |
6.91 |
10 |
Ukraine |
3,576,500 |
1.89 |
100.87 |
Denmark |
8,148,500 |
2.72 |
3.2 |
|
Korea, South (22위) |
1,099,700 |
0.58 |
167.24 |
Korea, South (22위) |
2,090,400 |
0.7 |
275.9 |
자료: Global Trade Atlas, 벨라루스 통계청
벨라루스 의약품(HS코드 3003) 국가별 수입 현황
Products: 3003 (Medicaments (Except Vaccines Etc., Bandages Or Pharmaceuticals), Consisting Of Mixtures For Therapeutic Etc. Uses, Not In Dosage Or Retail Sale Form)
(단위: 달러, %)
구분 |
2019 |
2020.1-9 |
||||||
---|---|---|---|---|---|---|---|---|
순위 |
국가명 |
금액 |
점유율 |
증감률 |
국가명 |
금액 |
점유율 |
증감률 |
World |
32,237,300 |
100 |
18.79 |
World |
34,266,800 |
100 |
2.81 |
|
1 |
Russia |
17,245,600 |
53.5 |
24.16 |
Russia |
17,951,900 |
52.39 |
-2.31 |
2 |
India |
12,926,000 |
40.1 |
19.4 |
India |
13,699,800 |
39.98 |
5.53 |
3 |
China |
1,369,600 |
4.25 |
35.59 |
China |
2,279,400 |
6.65 |
103.26 |
4 |
Mexico |
326,500 |
1.01 |
-55.07 |
Korea, South |
218,800 |
0.64 |
- |
5 |
Algeria |
159,800 |
0.5 |
-67.06 |
Ukraine |
83,400 |
0.24 |
-38.22 |
6 |
Ukraine |
142,100 |
0.44 |
65.81 |
Belgium |
16,900 |
0.05 |
-80.71 |
7 |
Belgium |
50,300 |
0.16 |
-34.33 |
Germany |
14,600 |
0.04 |
- |
8 |
Germany |
14,600 |
0.05 |
-5.81 |
Japan |
2,000 |
0.01 |
- |
9 |
Italy |
2,800 |
0.01 |
- |
|
|
|
|
자료: Global Trade Atlas, 벨라루스 통계청
벨라루스 의약품(HS코드 3004) 국가별 수입 현황
Products: 3004 (Medicaments (Except Vaccines Etc., Bandages Or Pharmaceuticals), Of Products (Mixed Or Not) For Therapeutic Etc. Uses, In Dosage Or Retail Sale Form)
(단위: 달러, %)
구분 |
2019 |
2020.1-9 |
||||||
---|---|---|---|---|---|---|---|---|
순위 |
국가명 |
금액 |
점유율 |
증감률 |
국가명 |
금액 |
점유율 |
증감률 |
World |
564,041,200 |
100 |
19.33 |
World |
579,563,300 |
100 |
11.51 |
|
1 |
Germany |
80,999,900 |
14.36 |
30.15 |
Germany |
94,286,200 |
16.27 |
15.38 |
2 |
Russia |
73,266,300 |
12.99 |
32.14 |
Russia |
64,805,700 |
11.18 |
-3.33 |
3 |
France |
39,044,100 |
6.92 |
1.99 |
France |
35,812,300 |
6.18 |
-5.89 |
4 |
Slovenia |
34,208,200 |
6.06 |
31.95 |
Slovenia |
34,608,800 |
5.97 |
11.65 |
5 |
Ireland |
32,224,400 |
5.71 |
232.49 |
India |
33,761,700 |
5.83 |
17.43 |
6 |
India |
31,916,500 |
5.66 |
-6.33 |
Ireland |
33,575,100 |
5.79 |
422.2 |
7 |
Poland |
29,310,300 |
5.2 |
21.27 |
Hungary |
27,180,000 |
4.69 |
4.71 |
8 |
Hungary |
28,296,000 |
5.02 |
8.74 |
Italy |
26,246,400 |
4.53 |
43.2 |
9 |
Ukraine |
22,388,600 |
3.97 |
21.33 |
Poland |
26,018,900 |
4.49 |
-11.1 |
10 |
Italy |
21,543,800 |
3.82 |
21.44 |
Ukraine |
22,513,200 |
3.88 |
4.7 |
|
Korea, South (35위) |
1,162,100 |
0.21 |
-29.13 |
Korea, South (33위) |
1,719,700 |
0.3 |
46.42 |
자료: Global Trade Atlas, 벨라루스 통계청
ㅁ 인증제도
ㅇ 외국기업이 벨라루스에 의약품을 수출하기 위해서는 현지 인증 등록이 필수임.
- 벨라루스에서는 유럽의 CE 인증이나 미국의 FDA 인증 등 외국의 인증은 제품의 품질을 이해하는 데 참고는 되지만 이를 보유하고 있더라도 벨라루스 시장에서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별도로 현지 의약품 인증등록을 제조업체 명의로 받아야 함.
- 벨라루스 의약품 현지 인증등록을 관할하는 현지 기관은 Center for Examinations and Tests in Health Service (https://rceth.by/en)이며, 벨라루스 인증등록을 위해 제출하는 국제공통기술문서(CTD, Common Technical Document) 수준은 유럽(EU)의 수준을 따라야 함.
ㅇ 의료기기 인증 등록의 경우 여타 화장품, 일반소비재, 기계류, 전자제품 등의 EAC 인증과 달리 각 회원국 간의 이해관계가 다르고 첨예해서 EAEU(유라시아경제연합) 5개국(러시아,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아르메니아)의 인증시장이 완전히 통합되어 있지 않고 2020년 12월 31일까지는 국가별 인증등록과 EAEU 통합 인증이 혼재해 있는 과도기에 있음.
- 2020년 12월 31일까지는 각 국가별 인증만을 취득해도 되고 EAEU 통합인증등록을 취득해도 되나, 2021년부터는 완전히 통합되어 EAEU 인증등록만을 해야 하는 것으로 되어 있음. 그러나 2020년의 경우 코로나19 영향으로 완전한 인증통합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더 유예될 수도 있음.
- 한편 의약품 인증등록을 위해서는 인스펙터 실사단이 생산국 제조기업을 실사를 하게 되어있으나, 벨라루스 보건부 담당자에 의하면 현재 벨라루스 인증등록의 경우 코로나19 로 인해 해당국으로 직접 가는 실사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여 제반 서류가 갖춰진 경우 우선 인증등록을 허용하고, 취득 이후 1년 이내에 사후 실사를 가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인증서를 발급 중이라 함.
ㅁ 진출전략
ㅇ 벨라루스 제약산업 SWOT분석은 아래와 같음.
Strength | Weakness |
---|---|
* 최근 몇 년간 시장 성장 및 생산 증가 * 벨 정부의 강력한 투자유치 의지 및 관심 * 풍부한 제약산업 기반, 저렴한 노동력 |
* 80% 이상 공공조달을 통해서만 구매 * EAEU 역외 기업의 조달입찰 제한 및 차별 * 고부가가치 의약품은 수입에 의존 |
Opportunities |
Threats |
* 외국기업의 투자진출이 확대중인 상황 * 기존 시설 현대화로 관련 기자재 교체수요 * 1억 8천만 EAEU 시장 진출확대 가능성 |
* 낮은 소득수준, 인플레, 현지화 평가절하 * 러시아에 대한 광범위한 경제 의존도 * 인증등록, 언어장벽, 규제 및 관료주의 |
ㅇ 대부분의 의약품은 벨 보건부 산하 공공조달 대행기관인 국영약국체인 Belpharmatsiya(https://pharma.by)를 통한 공공조달로 구매가 이루어지며, 현지 파트너가 있을 경우에는 파트너를 통해 입찰에 참여 가능함.
- 소비재나 일반 기계류 등에 비해 의약품은 초기 진입장벽이 까다로운 반면에, 엄격한 품질을 요구하는 품목인 관계로 우리 제품의 경쟁력이 비교적 우수한 편이며, 벨 정부는 예산을 최대한 절감하고 우수한 의약품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뚜렷하여 한국산 의약품에 대한 관심이 높음.
ㅇ 한편 반드시 의약완제품을 수출하려 하기보다는 원료를 수출하는 방안도 고려 필요하며, 벨라루스 제약산업 현대화 움직임으로 기존 노후 시설이나 기자재 교체 수요를 고려하여, 의약품 제조기계나 의약품 포장기계, 약품포장필름 등 관련 기자재의 현지시장 진출도 가능함.
ㅇ 의약품 및 의료기기 관련 현지 전시회인 Healthcare of Belarus(BelarusMedica) 참가/참관 등을 통한 현지 파트너 발굴도 고려 가능하며, KOTRA 민스크무역관은 2021년에 한국 홍보관으로 해당 전시회를 참가하여 우리 기업들을 홍보하려고 계획 중임.
- 일시 및 장소: 2021.3.23~26, 벨라루스 민스크 Arena 전시장
자료: http://www.tc.by
자료: 벨라루스 보건부, 벨라루스 통계청, 벨라루스 투자민영화청(NAIP), Fitch Solutions, Statista, Global Trade Atlas, http://www.tc.by, http://www.eurasiancommission.org, https://yandex.by, https://www.belta.by, https://www.sb.by, https://revera.by, http://www.rceth.by, BelPharmProm, Belpharmatsiya(https://pharma.by), KOTRA 민스크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벨라루스 의약품 산업)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베트남 스킨케어, 미백 다음은? | 베트남 | 2019-04-24 |
2 | 베트남, 화장품 파우치 속 '잇템'은? | 베트남 | 2019-01-31 |
3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인도 소비재 수입동향 | 인도 | 2020-12-04 |
4 | 베트남 손 소독제 시장 동향 | 베트남 | 2020-12-04 |
5 | 독일, 코로나19로 앞당겨진 제조업의 디지털화 미래 | 독일 | 2020-12-08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