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로나19 상황에서 급성장하는 몽골의 e-커머스 시장
- 몽골의 전자상거래는 10년 전에 소개되기 시작했으며 본격적으로 종합 쇼핑몰 플랫폼 형태로 발전하기 시작한 것은 2015년부터이다. 현재 e-커머스 시장 규모는 전체 유통시장의 1.5% 수준에 불과하다. 그러나 최근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국경 간 전자상거래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 소비자 보호 법규 미비로 사기 등 피해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관련 법률이 정비되면 몽골의 전자상거래 규모는 발전 가능성이 크다.
- [ 트렌드 ]
- 몽골
- 울란바토르무역관
- 2020-12-28
-
- 베트남의 2020년 주요 품목 및 2021년 유망품목
- 올 한해 베트남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비대면·집콕족 타깃 상품 판매 증가했다. 내년에도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올해와 유사한 품목들의 판매 지속이 예견되나 전 세계적 친환경, 건강 트렌드가 반영된 품목들의 수요 증가도 기대된다.
- [ 트렌드 ]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 2020-12-28
- 추천 : 3
-
- 인도네시아, ASHTA를 통해 살펴본 프리미엄 소비 문화
-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의 중심상업지구(SCBD) 한 가운데에 새로운 쇼핑몰이 개점했다. ASHTA라고 불리우는 이 쇼핑몰은 기존 몰과는 다른, 전에 없는 특별한 컨셉을 통해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생소한 브랜드 점포 입점, 아기자기한 실내 디자인, 기존과는 다른 문화행사 등을 통해 단순 구매가 아닌 ASHTA에서만 느낄 수 있는 가치를 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KOTRA 자카르타 무역관에서는 인터뷰를 통해 보다 자세히 알아봤다.
- [ 트렌드 ]
- 인도네시아
- 자카르타무역관
- 2020-12-28
- 추천 : 1
-
- 코로나19 위기 속 예상보다 빠른 회복, 인도 농업 동향과 전망
- 인도 인구 13억 7,000만 명 중 약 67%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농업 산업은 전체 GDP 중 약 15%를 차지한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세계적인 코로나19의 대유행으로 농장을 원격으로 운영하고 관리하기 위한 필요성이 늘어났으며, 인도는 토지 면적이 넓고 기후가 다양하므로 농작물 생산량에 영향을 주는 변수가 많기 때문에 농업산업에 많은 투자가 필요한 국가 중 하나이다.
- [ 트렌드 ]
- 인도
- 뉴델리무역관
- 2020-12-28
-
- 스리랑카 IT 산업 현황과 교육 분야에서의 적용 사례
- 스리랑카는 '디지털 정부'와 '디지털 경제' 라는 슬로건으로 ICT를 국가의 성장 동력 중 하나로 하고자 하며, 2020년은 코로나 사태로 실물 교실을 열 수 없게 되자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였지만, 교육의 전달 방식(IT 측면에서)/ 교육 컨텐츠/ 플랫폼에 있어 아직은 개척할 수 있는 여지가 많으므로 한국의 역량있는 IT(온라인) 기업들이 많이 진출할 수 있기를 바란다.
- [ 트렌드 ]
- 스리랑카
- 콜롬보무역관
- 2020-12-28
-
- Digital India와 인도 제조업 변화 트렌드
- 디지털 인디아는 모디정부의 취임 이후 인도 정부의 핵심정책 중의 하나로 전자 및 통신산업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의 디지털화를 구현하기 위한 포괄적인 국가정책이다. 이를 뒷받침할 3대 비전과 9대 계획을 기반으로, 발표시기인 2015년 이후 지속적으로 정책 개선 및 관련 법안 제정 추진 등을 진행 중이다.
- [ 트렌드 ]
- 인도
- 뉴델리무역관
- 2020-12-28
-
- 인도 의료산업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 원격의료에 대한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민간병원, IT분야 대기업뿐만 아니라 스타트업들의 원격의료 서비스 개발 열기도 뜨거워지고 있다. 인공지능(AI), 블록체인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기술을 적용하며 인도의 의료 과제를 극복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시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 [ 트렌드 ]
- 인도
- 벵갈루루무역관
- 2020-12-28
-
- 디지털전환(Digital Transformation)과 인도 금융시장시장의 변화
- ‘디지털 인디아’ 정책에 기반한 정부의 리딩과 UPI 구축에 따른 디지털결제 이용의 확대는 인도 금융시장의 성공적인 디지털전환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많은 산업이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침체를 겪고 있는 것과는 달리 인도 디지털결제 산업은 코로나 19로 더 번창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 [ 트렌드 ]
- 인도
- 암다바드무역관
- 2020-12-28
-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으로 발전하는 파키스탄 농업
- 파키스탄은 디지털 서비스 도입에 유리한 환경을 보유하고 있다고 평가받는다. 이에 파키스탄 정부는IT 산업 육성 및 주요 서비스 분야의 디지털화를 목적으로 2018년 디지털 파키스탄 정책(Digital Pakistan Policy)을 발표하였다. 주요 타겟으로 제시한 산업 중 농업이 가장 주목되는데, 현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적용되고 있는 농업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 트렌드 ]
- 파키스탄
- 카라치무역관
- 2020-12-28
-
- 전기자동차 도입에 적극적인 인도
- 인도 내 도시의 수는 2001년 5161개에서 10년 만에 7935개로 증가했으며, 그중 인구가 100만 명 이상인 도시는 53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도시화로 인해 역내에서뿐만 아니라 도시 간을 이동하는 유동 인구도 급증했으며, 차량 수요도 더불어 대폭 증가했다.
- [ 트렌드 ]
- 인도
- 뭄바이무역관
- 2020-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