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본에서도 ‘차박’은 코로나 시대에 대박
- 한국과 마찬가지로 일본에서도 ‘차박’(車泊)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자동차로 이동과 숙박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차박을 통해 접촉을 최소화한 여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자동차 여행 클럽’의 회원 수는 긴급사태 선언 이후 급증하여 7월에는 1만 명을 돌파하기도 했다. 일본 차박 시장이 본격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최신 트렌드와 성장 유망 분야를 소개해 보고자 한다.
- [ 트렌드 ]
- 일본
- 나고야무역관
- 2020-12-28
- 추천 : 1
-
- 일본 구강청결제 시장 동향
- 구취 이티켓에 관심이 많은 사회인, 구강 관리에 관심이 많아지는 40대 이상의 소비자를 중심으로 구강 청결제 시장은 꾸준히 확대 중
- [ 상품DB ]
- 일본
- 오사카무역관
- 2020-12-28
-
- 2020년 연말연시, 일본 소비자는 무엇을 살까?
- 최근 일본에서 코로나19가 재확산되면서 송년모임, 이벤트 등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차분한 연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래는 고향에 내려가거나 국내외 여행을 즐기던 연말연시 연휴임에도 올해에는 집에서만 보내겠다는 사람들이 약 90%에 달했다. 이에, 일본의 연말연시 풍경에 어떠한 변화가 생길지 소비 트렌드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 [ 트렌드 ]
- 일본
- 나고야무역관
- 2020-12-28
- 추천 : 1
-
- 일본 스마트워치 시장동향
- 코로나19로 재택근무가 늘고 외출은 줄면서 '스마트워치' 수요가 늘고 있다. 지난 10월에는 아이폰이 5G 대응 모델을 출시해 기존 대비 통신속도가 빨라진다는 호재도 있다. 2019년 79만 대 규모에서 2020년에는 90만 대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최근에는 제조, 건설 등 산업현장에서의 활용이 늘고 있어 새로운 수요에 맞는 제품 제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 [ 상품DB ]
- 일본
- 도쿄무역관
- 2020-12-28
-
- 2020년 스위스 소비 트렌드 결산
- 스위스 연방 정부는 늘어나는 확진자로 2차 록다운을 검토 중에 있다. 스위스에 이미 진출했거나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들은 2020년 스위스 트렌드를 분석해 2021년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홈코노미나 캠핑과 같은 야외활동 관련 제품들은 수요가 늘어난 반면에 의류, 화장품과 같은 파티관련 제품 및 종이 책 매출이 감소했다.
- [ 트렌드 ]
- 스위스
- 취리히무역관
- 2020-12-28
-
- 대만, 에너지 전환 시대의 에너지 '저장' 본격화 기대
-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기후변화 대응에는 온실가스 저감과 에너지전환 과제가 긴밀한 연관성을 맺고 있으며 이는 다시 전력수급 안정성·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으로 이어진다. 2021년은 에너지저장의 원년이 될 것이라고 내다본 대만 업체의 말처럼 향후 대만 에너지저장시장의 확대가 기대된다.
- [ 트렌드 ]
- 대만
- 타이베이무역관
- 2020-12-28
-
- 코로나19 시대 미얀마 노동시장 변화와 대응방안
- 미얀마는 2020년 3월 23일 최초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8월에 인도-방글라데스 국경의 라카인(Rakhine)주에서 코로나19 재확산이 시작되었으며, 양곤, 만달레이 등 대도시 확진자가 폭증하면서 전국적으로 감염이 확대되었다. 2020년 9월 조업중단 조치 권고 이후 많은 공장과 노동자들이 조업을 중단하거나 조업량이 감소하고 있다. 조업중단 조치 이후 이미 100개 이상의 공장이 문을 닫았으며, 5,000명 이상의 노동자가 직업을 잃었다.
- [ 트렌드 ]
- 미얀마
- 양곤무역관
- 2020-12-28
-
- 홍콩 섬유 및 의류 산업
- 홍콩 현지 의류산업 시장은 지속 성장하고 있으며, 타 선진국에 비해 시장 규모는 작지만 고령화 인구 추세에 따른 실버마켓도 유망하다. 또한, 건강을 중요시하는 홍콩인들의 성향에 따라 운동복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어 전반적인 시장 유망성이 돋보인다.
- [ 국별 주요산업 ]
- 홍콩
- 홍콩무역관
- 2020-12-28
-
- UAE 손 소독제 시장동향
- 2020년 기준, 손 소독제 제품이 포함된 UAE 퍼스너케어 시장 매출액은 5.13억 달러로 전년 대비 52.2% 이상 증가한 것으로 추정되며 코로나 사태의 확산 및 장기화 속 개인위생/방역제품이 특수를 누리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 [ 상품DB ]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 2020-12-28
-
- 중국 레저식품 산업
- 레저식품(休闲食品, Leisure food)은 일상 소비재로, 여가와 함께 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식품을 지칭함. 레저식품의 속성에 따라 베이킹식품, 견과류, 초콜릿, 팽화식품(膨化食品_스낵류) 및 기타 식품으로 구분되며 식품 가공기술의 향상의 따라 레저식품의 종류도 점차 다양해지고 있음.
- [ 국별 주요산업 ]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20-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