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베트남 웨어러블 기기 시장, 스마트 vs 액티비티
- 애플워치6의 베트남 판매 가격은 평균 약 1199만 동(518달러)으로 대학을 졸업한 직장인의 평균 월 소득보다 높다. 가격의 진입장벽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애플와치는 젊은 세대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또한 액티비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대표주자이자 가격이 저렴한 미밴드5(69만 동, 약 29.9달러)는 베트남에서 시장 점유율 2위로 동시에 높은 인기를 구가한다. 이번 해외시장뉴스에서는 베트남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향을 알아보도록 한다.
- [ 트렌드 ]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 2021-01-12
- 추천 : 5
-
- 2021년 미국 오일가스산업 관계자들이 본 산업 향방은?
- 코로나19로 인해 크게 위축됐던 오일가스 산업 회복이 기대되고 있다. 오일가스 산업의 비즈니스 활동지수가 2019년 1분기 이후 처음으로 다시 플러스로 회복됐으며, 2021년 자본 투자도 소폭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장기적인 전망이 힘든 상황이고 연방 정부의 추가 규제에 대한 우려가 높으므로 코로나19 확산 상황, 바이든 당선인의 산업 정책에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야 한다.
- [ 트렌드 ]
- 미국
- 달라스무역관
- 2021-01-12
- 추천 : 2
-
- 미국, 전기차 개발 전성시대
- 미국 자동차 업계는 전기차 시대를 기정사실로 여기고 있다. Ford의 세계 최초 대량생산 체계 도입, GM의 다품목 생산 등으로 세계 자동차 산업을 이끌어온 미국은 이제 135년 역사의 내연기관 차에 이어 전기차로 세계 1위 복귀를 향한 급속 충전 중이다.
- [ 트렌드 ]
- 미국
- 시카고무역관
- 2021-01-12
- 추천 : 4
-
- 코로나 장기화로 덴마크 실내 레저용품 시장 급성장
- 코로나로 인해 실내생활이 증가함에 따라 실내 취미 및 레저용품의 시장이 성장하고 있으며, 홈코노미 시장 확대 및 비대면 취미생활의 증가로 관련 시장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기업들은 덴마크 실내 레저용품 시장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 [ 트렌드 ]
- 덴마크
- 코펜하겐무역관
- 2021-01-07
-
- 유럽 전기차 배터리 시장동향
- 2050년까지 CO2 배출량 제로를 목표로 하는 유럽연합의 적극적인 친환경 정책으로 유럽 내 전기차 시장은 현재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아시아 시장을 따라잡기 위한 유럽의 배터리 개발 전략과 프랑스의 배터리 산업동향을 알아본다.
- [ 트렌드 ]
- 프랑스
- 파리무역관
- 2021-01-07
- 추천 : 1
-
- 코로나19가 가져온 영국의 소비행태 및 비즈니스모델 변화
- 코로나19발 경제타격으로 인해 영국 소비자는 소비지출에 한층 신중해졌으며, 새로운 브랜드 및 저렴한 제품을 구매하는 비중이 높아졌다. 영국의 다양한 산업 분야도 비대면 및 사회적 거리두기 생활방식을 반영해 비즈니스모델에 변화를 주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온라인 판매 급증과 클릭앤콜렉트(click & collect), 드라이브 스루 등이 있다.
- [ 트렌드 ]
- 영국
- 런던무역관
- 2021-01-07
-
- 세르비아 건설산업 정보
- 세르비아 건설시장은 경기 성장에 따라 최근 5년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수도 베오그라드를 중심으로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가 진행중이며, 소규모 주거용 건축 붐이 일고 있다. 이에 따라 건축 자재 및 장비 수입 역시 증가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다가오는 2021년에 건설산업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므로 우리기업이 진출 기회를 엿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
- [ 국별 주요산업 ]
- 세르비아
- 베오그라드무역관
- 2021-01-07
-
- 2020년 코로나 위기 속에 빛난 핀란드 스타트업
- 핀란드의 스타트업들은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며 코로나19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해 나가고 있다. 팬데믹 전부터 발달된 IT 인프라와 고급 개발인력들이 전통산업과의 융합을 추진해 온 핀란드 스타트업 업계는 코로나19에 따른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로 그 빛을 발하고 있다. 국내 스타트업들도 코로나 위기 속에서도 성장하는 핀란드 스타트업을 통해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고민해 본다면 위기 극복을 향해 한걸음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 [ 트렌드 ]
- 핀란드
- 헬싱키무역관
- 2021-01-07
- 추천 : 1
-
- 소비자 니즈를 직접 전달하는 C2M, 중국 유통을 뒤바꾼다
- 최근 중국에서는 소비자와 제조를 연계하는 소비자 중심의 새로운 공급사슬 ‘C2M(Customer to Manufacturer)’이 주목 받고 있다.
- [ 트렌드 ]
- 중국
- 선양무역관
- 2021-01-05
-
- 중국 젤리 시장동향
- 중국 소비자 생활 수준이 개선되고 구매력이 증가하며 비생활필수품과 고급 소비재에 대한 소비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그중 특히 젤리는 중국 전체 캔디 시장에서 갈수록 경쟁력이 높아지고 있으며, 시장 규모도 매년 성장 추세를 보이고 있어 앞으로의 대한 수입 수요 역시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 [ 상품DB ]
- 중국
- 난징무역관
- 2021-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