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식품포장기계 시장 동향
- 포장식품 시장의 상승세에 따른 식품포장기계 수요 상승 기대 -
- 친환경 및 지속가능 포장 등으로 차별화 전략 필요 -
□ 상품명 및 HS 코드
◦ 상품명: 식품포장기계
◦ HS Code: 8422.40
□ 포장식품 시장규모
◦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2019년 전세계 포장식품 시장규모는 US$ 2조 3,726억에 육박
- 전세계 포장식품 시장규모는 2024년까지 약 22.3% 성장한 US$2조 9천억에 이를 것으로 전망
전세계 포장식품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품목명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포장식품 |
2,147,533 |
2,158,184 |
2,250,474 |
2,326,970 |
2,372,642 |
자료: Euromonitor
◦ 캐나다 내 포장식품 시장 규모는 2019년 기준 전년동기대비 6.4% 상승한 C$586억 100만 기록
- 포장식품 시장 규모는 최근 5년동안 연평균 2% 성장률을 보이며 꾸준한 증가세를 보임.
- 캐나다 포장식품 시장규모는 2024년까지 약 15.9% 성장해 C$679억 1천만에 이를 것으로 전망
캐나다 포장식품 시장 규모
(단위: C$ 백만)
품목명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포장식품 |
54,496 |
55,587 |
56,371 |
57,400 |
58,601 |
자료: Euromonitor
◦ 포장식품 분야별로는 육류 분야가 28%를 차지하며 포장 식품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으며 우유, 곡물 분야가 각각 15%, 11%로 뒤를 이음.
캐나다 포장식품 분야별 분포
자료: PMMI, The Association for Packaging and Processing Technologies
◦ 포장식품에 대한 수요가 지속상승하며 식품포장기계 또한 꾸준한 성장이 전망됨.
□ 캐나다 포장기계 시장규모
◦ 포장 및 공정 기술 협회(PMMI, The Association for Packaging and Processing Technologies)의 2018년도* 캐나다 포장 기계 시장 보고서(The Market for Packaging Machinery in Canada 2018)에 따르면, 캐나다 포장 기계 시장규모는 약 US$ 250억에 이르는 것으로 발표됨.
* 확인 가능한 최신자료
◦ 포장기계를 사용하는 주요 산업은 식품, 음료, 화장품, 의약품 등으로 분류됨.
- 캐나다 농업농산물부(AAFC, Agriculture and Agri-Food Canada)에 따르면, 캐나다 식품 제조 분야 기업은 7,800여개에 달하며 캐나다 내 유통되는 식품의 70% 이상을 담당함.
- 이에 따라 식품포장기계에 대한 수요가 다른 품목 포장기계보다 높음.
◦ 참고로 캐나다는 포장기계 수출보다는 포장재 수출이 더욱 두드러짐.
- 더불어 캐나다 내에서 유연 포장(Flexible Packaging)* 방식이 전체 포장 방식의 3분의 1을 차지하며 가장 선호됨.
* 유연 포장이란 플라스틱 필름, 종이, 셀로판, 합성수지포대 등 유연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해 상품을 포장하는 유형
□ 시장동향
◦ 1인가구 확산에 따른 소포장 식품 및 포장식품 산업의 꾸준한 성장세
- 2016년 캐나다 인구조사에 따르면, 1,407만 가구에 달하는 전체 가구 중 약 28.2%(397만 가구)가 1인 가구인 것으로 밝혀짐.
- 2036년까지 캐나다 내 1인 가구는 전체 가구의 30%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측됨.
- 1인가구의 점진적 증가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이 개선된 소포장 제품 수요 증가
◦ MZ세대* 소비자의 친환경 포장에 대한 관심 증가
- 밀레니얼과 Z세대를 결합해 칭하는 MZ세대는 소비결정에 있어서 윤리와 가치를 더욱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남.
- 2019년 달하우지 대학교(Dalhousie University)에서 발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자연 분해가 가능한 친환경 포장의 식품을 구매할 의향에 Z세대와 밀레니얼 세대가 각각 59%, 53.2%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함.
* MZ세대란, 1980~2000년생을 칭하는 밀레니얼 세대와 1995~2004년생을 칭하는 Z세대의 결합어
친환경 포장식품 구매 의사에 대한 세대별 설문 응답
자료: Dalhousie University
□ 수입동향
◦ 2019년 기준, 캐나다 내 식품포장기계를 포함한 포장기계 수입 규모는 전년대비 21.9% 증가한 C$3억 385만 기록
- 전체 포장기계 수입 시장 중 미국산 제품이 약 29%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임.
- 그 외에도 독일, 이탈리아, 스위스 등 유럽산 제품의 수입이 두드러짐.
(단위: C$ 백만, %)
순위 |
국가 |
수입량 |
증감률 |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19/2018 |
||
1 |
미국 |
77 |
69 |
64 |
78 |
88 |
13.77 |
2 |
독일 |
41 |
42 |
34 |
56 |
79 |
41.70 |
3 |
이탈리아 |
27 |
28 |
43 |
41 |
41 |
-0.92 |
4 |
네덜란드 |
7 |
11 |
7 |
13 |
17 |
25.86 |
5 |
스위스 |
1 |
4 |
11 |
2 |
15 |
567.49 |
6 |
중국 |
6 |
12 |
6 |
8 |
13 |
67.45 |
7 |
일본 |
16 |
4 |
13 |
12 |
12 |
-1.15 |
8 |
프랑스 |
10 |
3 |
4 |
8 |
11 |
39.59 |
9 |
스페인 |
3 |
3 |
3 |
5 |
5 |
8.66 |
10 |
타이완 |
2 |
3 |
4 |
4 |
4 |
1.96 |
16 |
한국 |
0.08 |
0.31 |
0.88 |
1.08 |
1.13 |
4.74 |
전체 |
207 |
199 |
201 |
249 |
304 |
21.87 |
자료: Statistics Canada
◦ 2019년 기준, 캐나다의 한국산 식품포장기계를 포함한 포장기계 수입 규모는 C$ 113만에 이르며 16위 기록.
- 이는 2018년(C$ 107만) 대비 4.7% 상승한 수치로 최근 5년동안 지속적인 수입규모 증가세를 보임.
□ 경쟁 동향 및 유통구조
◦ 캐나다 식품포장기계 시장은 미국뿐만 아니라 다양한 국가의 식품포장기계 업체들이 진출해 있음.
- 각 기업의 본사는 미국, 독일, 호주 등 해외에 위치해 있으며 캐나다 내 지사를 보유한 형태로 캐나다 시장 공략
캐나다 내 식품포장기계 기업
기업명 |
기업 로고 |
본사 |
특징 |
Winpak |
|
캐나다 |
- 1997년 설립된 매니토바 위니펙 소재의 포장제조 및 포장기계 판매 업체 - 2,000여명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북미 내 10개의 생산공장 운영중 |
Reiser |
|
미국 |
- 1959년 설립된 매사추세츠 주 소재의 식품 공정 및 식품포장기계 판매업체 - 캐나다 온타리오 주에 지사형태로 진출 |
VC999 |
|
스위스 |
- 1970년 설립된 스위스 헤리사우 소재의 식품포장기계 판매업체 - 캐나다 토론토, 몬트리올 이외에도 미국, 독일, 호주 등 10여개 도시에 진출한 글로벌 포장기계 업체 |
Klöckner Pentaplast |
|
영국 |
- 1965년 설립된 영국 런던 소재의 식품포장 및 라벨링 기업 - 북미, 유럽, 아시아 지역에 진출한 글로벌 포장기계 업체 |
Tna Solutions |
|
호주 |
- 1982년 설립된 호주 시드니 소재의 포장 기업 - 총 120 여개 도시에 진출한 글로벌 포장기계 업체 |
자료: 각 기업 웹사이트
◦ 캐나다 식품포장기계의 유통구조는 캐나다 수입업자가 완제품 또는 원재료를 수입해 캐나다 소비자에게 판매하거나 유통업체를 통해 판매하는 구조임.
- 직접 판매의 경우, 캐나다 내 자회사를 개설하여 진출하는 경우가 다수
□ 관세율 및 인증
◦ 한-캐나다 FTA에 의거하여 한국의 식품포장기계를 포함한 포장기계는 무관세가 적용됨.
캐나다 내 식품포장기계를 포함한 포장기계 관세율
(단위: %)
품목명 (HS Code) |
한국1 (KRT) |
개발도상국2 (GPT) |
최혜국3 (MFN) |
미국∙멕시코4 (UST, MXT) |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회원국(CPTPP)5 |
식품포장기계를 포함한 포장기계 (8422.40) |
무관세 |
주1) 한-캐나다 FTA(Canada-Korea FTA) 특혜관세: 원산지가 한국인 제품에 대해 적용되는 세율(한-캐나다 FTA는 2015.1.1. 발효되었으며, 2020년에는 한-캐 FTA 6년차 관세율이 적용됨.)
주2) 일반특혜관세(General Preferential Tariff): 원산지가 개발도상국인 제품에 대해 적용되는 세율
주3) 최혜국(Most Favored Nation) 관세: 캐나다와 FTA를 체결하지 않은 일반 국가들의 제품에 적용되는 세율
주4)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T, MXT) 특혜관세: 미국 및 멕시코산 제품에 적용되는 세율
주5)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Comprehensive and Progressive Agreement for Trans-Pacific Partnership) 관세: 회원국(일본, 뉴질랜드, 칠레, 싱가포르, 브루나이, 호주, 페루, 베트남, 말레이시아, 멕시코) 중 CPTPP를 비준한 국가에 적용되는 세율
자료: 캐나다 국경관리청(CBSA)
◦ 캐나다 내에서 식품포장기계를 판매하기 위해선 캐나다 표준위원회(SCC, Standard Council of Canada)에서 지정한 공인 인증기관을 통해 인증 발급이 필요함.
- 캐나다 내 대표적인 인증으로는 CSA와 ULC가 있음.
- CSA(Canadian Standard Association)는 캐나다 내 가장 대표적인 인증기관으로써 캐나다 전 지역에서 유효한 전자제품 및 기계 인증으로 활용되고 있음.
- ULC(Underwriters Laboratories of Canada)는 미국 안전 인증기관 UL의 캐나다 지사로서 CSA인증과 상호 호환 취득이 가능함.
캐나다 전자기기 및 기계 인증
인증명 |
CSA |
ULC |
인증마크 |
|
|
웹사이트 |
www.csagroup.org |
www.canada.ul.com |
자료: CSA, ULC 웹사이트
◦ 이 외에도 다양한 기계 인증이 있으며, 주별로 인정하는 인증이 상이하므로 수출 전 바이어와의 협의를 통한 인증 발급이 필요함.
◦ 참고로 캐나다는 공용어 법령(Official Language Act)으로 인해 식품포장기계의 사용방법, 보증서, 조립 지침서 등을 영어와 불어 모두 기재해야 함.
□ 시사점
◦ 식품포장기계 현지업체 C사는 캐나다 식품포장기계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선 캐나다 식품기업들의 구매결정 요소를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함.
- 현지 업체 담당자에 따르면, 식품포장기계를 구입하는 기업들 대부분이 가격보다 성능과 안정성을 우선시한다고 강조함.
◦ 식품포장기계는 1회 구매 시 약 5년정도 지속 사용함에 따라, 애프터 서비스(A/S) 요청 혹은 기계 사용 문의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기업 선호
- 이러한 이유로 캐나다와 지리적으로 가깝고 같은 시차에 존재하는 점이 미국산 식품포장기계 업체에게 큰 강점으로 작용
- 또한 캐나다에 진출한 미국 소재의 식품기업들이 본사에서 이용하는 미국산 식품포장기계를 동일하게 도입하는 사례가 많음.
- 우리기업들은 고객의 문의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현지진출 혹은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북미 진출에 유리
◦ 빠른 전환이 가능한 다기능 식품포장기계를 통해 효율성과 합리성 제고
- 같은 북미권이지만 미국과 달리 캐나다 시장은 생산 라인과 공장에서 다양한 물건을 적은 양에 생산 및 포장하는 경향이 있음.
- 따라서 전환 가능한 다기능 식품포장기계를 통해 합리성의 측면을 강조한다면 캐나다 진출 시 유리할 것으로 담당자는 조언함.
◦ 지속가능 포장(Sustainable Packaging) 및 친환경 포장 등과 같은 차별화 된 제품 경쟁력 확보가 관건
- 미국과 독일산 제품이 캐나다 시장에서 구축한 신뢰관계와 경쟁하기 위해선 우리기업만의 차별화된 전략으로 시장 접근이 필요함.
- 편의성과 더불어 지속 가능한 친환경 포장을 제공하는 식품포장기계를 통해 다양화 되는 소비자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임.
◦ 특히 식품 산업 내에서 친환경 및 지속가능 포장에 관한 소비자의 관심이 지속 상승할 것으로 예상됨.
- 가치 소비를 중시하는 소비자가 증가하며 제품을 넘어 제품을 포장하는 방식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음.
- 토론토 라이얼슨 대학교(Ryerson University)에서 지속가능 포장에 관해 연구를 진행중인 Jay Park 교수는 무역관과의 인터뷰를 통해, 상품이 소비자의 건강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을 고려할 때, 식품 산업이 향후 친환경 및 지속가능 포장이 가장 활발히 적용될 분야로 꼽음.
◦ 캐나다 식품포장기계 시장 진출을 위해 포장 및 포장기계 최신 트렌드를 파악하고 현지 바이어, 에이전시들을 만날 수 있는 박람회 적극 활용 필요
캐나다 포장 산업 관련 박람회
전시회명 |
PACKEX Toronto |
Design & Manufacturing Canada |
전시품목 |
포장 시장 최신동향 및 포장재, 제조 기술 관련 |
포장, 자동 제조 기술 관련 |
개최장소 |
토론토, 몬트리올(개별개최) |
토론토 |
개최일 |
2021년 5월 11일 – 13일 |
2021년 5월 11일 – 13일 |
참가업체 수 |
600개 |
200개 |
기타 |
|
|
자료: KOTRA 토론토 무역관 자체조사
◦ 포장은 기능의 측면을 넘어 소비자가 가장 처음 제품과 만나는 터치 포인트로 여겨지며 브랜드 가치 창출의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음.
- 지속적인 성장이 예고되는 북미 포장식품과 식품포장기계 시장으로의 확대 진출을 위해서 우리 식품포장기계 기업들이 캐나다 시장을 적극 활용하길 권장
자료: Euromonitor, PMMI, The Association for Packaging and Processing Technologies, 각 기업 웹사이트, Dalhousie University, Statistics Canada, CSA웹사이트, ULC 웹사이트, KOTRA 토론토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캐나다 식품포장기계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캐나다 친환경 스토어, 뭐가 다르지? | 캐나다 | 2019-07-06 |
2 | [캐나다] 이런 친환경상품이 팔린다 | 캐나다 | 2008-03-27 |
3 | 태국 건강보조제 시장동향 | 태국 | 2020-09-25 |
4 | 뉴질랜드 헤어케어 용품 시장동향 | 뉴질랜드 | 2020-09-25 |
5 | 일본 플라스틱용기 시장 동향 | 일본 | 2020-09-28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