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석유화학제품 시장동향
- 러시아 수입대체산업 정책 기조로 현지 기업 경쟁력 강화 중 -
- 제조공장 기술투자, 디자인 설계, 공급선 확보 투자 등으로 진출 고려해야 할 것 -
□ 러시아 석유화학제품 시장 개요
ㅇ 원유 생산이 세계 1위인 러시아는 원유 및 천연가스 공정과정에서 나오는 석유화학제품을 수입 대체하고자 노력 경주 중
- 원유 및 천연가스 가공은 증류(Distillation)와 탄화수소 분리 방법이며, 분리 과정에서 올레핀(천연가스나 원유 정제 과정에서 생산되는 불포화 탄화수소)이 생성되며 이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과 같은 물질로 구분됨.
- 이러한 물질들은 페트로케미컬(석유화학제품, 원유 Petroleum의 합성어)로 불리며 주로 플라스틱 용품, 비누 및 세척용 액체, 의약품(아스피린 등), 합성섬유, 가구, 고무제품, 페인트, 절연제 등 경공품 및 공업용, 건설자재 생산 자재로 쓰임.
석유화학제품 HS코드별 정보
HS 코드 |
품목 |
사진 |
|
열가소성 수지(Thermoplastics) 일반적으로 Polymer(폴리머)로 불리며, 2개 이상 결합해 분자량이 큰 화합물을 생성하는 중합체라고 불리기도 함. 1/3의 폴리머 소재가 건축 자재로 사용됨. 러시아 폴리머 수요처 구조 |
|||
3902 10 0000 |
폴리프로필렌(PP) 매우 다양한 응용 제품들의 소재가 되는 열가소성 폴리머 폴리프로필렌은 두 번째로 많이 생산되는 플라스틱 원자재이며(폴리에틸렌 다음으로 많이 생산됨) 보통 포장재와 라벨에 사용됨. |
|
|
3901 20 9009 |
폴리에틸렌(PE) 주로 포장재로 사용됨. (비닐봉지, 플라스틱 필름, 지오멤브레인, 물병을 포함한 용기들, 기타 등등) |
|
|
3906 90 9007 |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HDPE는 플라스틱 병, 부식 방지 파이프, 지오멤브레인, 플라스틱 목재 제조에 사용됨. |
|
|
3904 22 0009 |
폴리염화비닐(PVC) 단단한 형태의 PVC는 파이프를 만들거나 문이나 창문을 만들 때 사용됨. PVC는 물병, 음식을 제외한 포장, 음식을 덮는 종이, 카드(은행 카드나 멤버쉽 카드와 같은)의 소재이기도 함. |
|
|
3903 19 0001 |
폴리스티렌(PS) 보호 포장(포장용 스티로폼, CD와 DVD 케이스), 용기, 뚜껑, 병, 쟁반, 텀블러, 식기들에 사용됨. |
|
|
3901 10 1000 |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비닐봉지와 판(LDPE와 비교했을 때 좀 더 얇은), 식품 포장용 랩, 스트레치 랩, 파우치, 장난감, 덮개, 뚜껑, 파이프, 양동이, 용기 등 주로 신축성 있는 관에 쓰임. |
|
|
합성고무(Synthetic Rubber) · 합성고무의 대표적인 사용처는 타이어로 천연고무를 대체하는 인조고무임. 아세틸렌(C2H2)을 고분자 중합한 비닐아세틸렌이 주원료가 돼 인공적으로 합성해서 얻어진 고분자 물질의 일종 |
|||
4002 20 0000 |
부타디엔 고무 주로 타이어 소재 |
|
|
4002 60 0000 |
폴리이소프렌(이소프렌 고무) 천연고무와 비슷한 특성을 갖는 고분자 물질로 천연고무를 대체하는 경우가 많음. (공업용 장갑 등) |
|
|
ㅇ 지난 20년 동안 세계 석유화학산업은 국가별, 기업별로 급격한 변화와 함께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왔고 국제수요변화로 러시아와 같이 자원생산국들은 석유화학산업 육성에 나서고 있는 상황
- 아시아 태평양 연안국가들의 수요가 커지면서 중동 자원국가들은 석유화학제품을 직접 생산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을 10년 전부터 본격화함.
- 세계 석유화학산업의 지난 20년간 연간 평균 성장률은 4.8%이며, 2008년부터 GDP 성장률을 앞서게 됨.
- 미국도 셰일혁명에 의한 자원 잉여생산으로 석유화학산업을 육성 중
- 국제원유가격이 급격히 하락했던 시기(2012-2016년) 동안 국제 석유화학산업이 크게 성장했고 이에 반해 기업 수익성 문제로 석유화학제품 생산 기업의 M&A가 가장 활발하게 이뤄짐.
세계 석유화학산업 발전 추이와 세계 GDP 성장률
자료: OJSC United Petrochemical Company
ㅇ 2012년 러시아 연방 에너지부는 ‘2030 석유가스 화학산업 발전 플랜(Plan for the development of gas and petrochemical industry 2030)’을 발표
- 이 플랜을 통해 러시아 정부는 석유화학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본격화하면서 입주 기업들은 15년 동안 법인 세금 혜택은 물론 국내 소비세(Excise Tax)를 감면하겠다는 방침
- 러시아 정부는 이 2030 석유가스 화학산업 발전 플랜을 통해 러시아 석유화학산업에 400억 달러 민간투자 유치를 기대하고 있으며,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의 석유화학산업 육성 정책을 롤 모델할 것임.
· 사우디아라비아의 석유화학산업 경제비중은 GDP의 14%임.
- 2030 플랜에 따라 석유화학산업 클러스터가 조성된 곳은 볼가, 카스피, 서시베리아, 동시베리아, 북해, 극동지역 등임.
석유화학산업 클러스터의 구조
자료: VYGON 컨설팅(The development plan for gas and petrochemical chemistry up to 2030)
□ 러시아 석유화학제품 생산성
ㅇ 현재까지 러시아의 석유화학산업은 GDP의 1.5% 비중에 불과하나 지난 15년 동안 세계 석유화학제품 생산 성장률이 연 3%인 반면 러시아는 7%를 기록
- 러시아에서 생산되는 석유화학제품은 세계 생산성의 1%이며 미국, 유럽, 대만, 태국, 브라질, 이란, 중국의 생산성보다 낮은 편이나 2010년 대비 2018년 러시아 생산성은 61% 증가
· 세계 플라스틱 생산 25%가 중국이며, 유럽이 20%, 러시아가 2% 수준
- 러시아의 폴리프로필렌 세계 생산성 비중은 2%, 폴리에틸렌은 1.5%로 전체 석유화학제품 생산성 비중보다 높은 수준
- 2010년 대비 2018년 러시아 석유화학제품 소비는 20.3% 증가
러시아 석유화학제품 생산성 및 소비 증가 추세
구분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0년 대비 연도별 생산 증가율(%) |
8.3 |
6.6 |
25 |
27.6 |
43.8 |
51.5 |
54.7 |
61 |
2010년 대비 연도별 소비 증가율(%) |
7.2 |
12 |
15.3 |
13.5 |
10.1 |
15.2 |
17.5 |
20.3 |
자료: Analytics Department, CREON groups
ㅇ 러시아가 석유화학제품을 처음으로 생산한 시기는 소비에트 시기로 2차 세계대전 중이나 직후로 보고 있음.
- 러시아 석유화학제품 생산 공장은 유기화합물 열분해 방식(Pryrolysis)공장으로 시작됐으며 Tomskneftekhim 공장이 대표적이고 25년 이전에 설립된 공장임.
- 러시아의 유기화합물 열분해 방식 공장들의 에틸렌 생산성은 연간 300만 톤 정도이며 세계 생산성 비중은 약 2% 이내임.
세계 주요 석유화학제품 생산국 및 자재 공급처현황
자료: VYGON Consulting
ㅇ 러시아의 석유화학제품 생산성은 폴리머 계통에 집중돼 있으며, PVC(폴리염화비닐)와 LLDPE(선형 저밀도 폴리에스틸렌)의 경우는 현지 생산성보다 소비가 높은 품목임.
- 러시아 석유화학제품 중 생산성이 높은 폴리머는 PP(폴리프로필렌) 임.
- 러시아에서 생산되는 합성고무의 70%는 수출되고 있으며, 현지에서 소비되는 합성고무의 70%는 타이어 생산에 쓰이고 있음.
러시아의 열가소성 수지(폴리머)와 합성 고무 생산 및 소비
□ 러시아 수입현황
ㅇ 석유화학제품 중 러시아의 수입의존도가 높은 품목은 폴린에스틸렌(PE), 고밀도 폴리에스틸렌(HDPE), 폴리프로필렌(PP) 등임.
- 러시아의 폴린에스틸렌(PE), 고밀도 폴리에스틸렌(HDPE) 연간 수입 규모는 3억~4억 달러 수준이며, 2018년 기준 폴리에스틸렌(PE) 수입 증가율은 16.3%이며 고밀도 폴리에스틸렌 수입 증가율은 12%임.
- 폴리프로필렌(PP)의 연간 수입 규모는 1억5000만~2억 달러 수준이며, 2018년 기준 전년대비 수입 증가율이 31% 기록
ㅇ 러시아의 석유화학제품 수입국 중 한국 순위는 매우 높은 편으로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스틸렌(PE), 폴리스티렌(PS)는 2위 순위를 지키고 있음.
- 러시아 수입국 중 한국 경쟁국은 CIS 역내 국가들(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벨라루스 등)이며, 고밀도 폴리에스틸렌과 폴리스티렌의 경우는 유럽 국가들(독일, 벨기에, 프랑스 등)임.
(단위: 백만 달러, %)
|
상위 5개국 |
수입 |
상위 5개국 |
수출 |
||||||
2017 |
2018 |
2019 (1~5월) |
증감 17 /18 |
2017 |
2018 |
2019 |
증감 |
|||
폴리프로필렌(PP)(HS코드 390 210) |
||||||||||
전 세계 |
154.5 |
202.4 |
70.9 |
31.0 |
전 세계 |
378.3 |
378.1 |
94.6 |
0.06 |
|
1 |
투르크메니스탄 |
29.1 |
45.8 |
15.3 |
56.8 |
벨라루스 |
73 |
86.5 |
35.2 |
18.5 |
2 |
대한민국 |
20.3 |
33 |
14.7 |
62.7 |
중국 |
51.2 |
54.4 |
3.2 |
5.9 |
3 |
카자흐스탄 |
16.4 |
27.7 |
10.4 |
69.0 |
우크라이나 |
36.5 |
42.2 |
4.96 |
15.6 |
4 |
독일 |
18 |
19.05 |
6.3 |
6.1 |
폴란드 |
30.9 |
39.1 |
11.83 |
26.8 |
5 |
우즈베키스탄 |
18.5 |
16.8 |
0.011 |
- 8.6 |
카자흐스탄 |
26.5 |
35.9 |
14.34 |
35.1 |
폴리에스틸렌(PE)(HS코드 390120) |
||||||||||
전 세계 |
317 |
369 |
171.3 |
16.3 |
전 세계 |
202.6 |
193.7 |
79.7 |
4.4 |
|
1 |
우즈베키스탄 |
103 |
139.4 |
71.8 |
35.4 |
카자흐스탄 |
56.4 |
78.2 |
29.4 |
38.6 |
2 |
대한민국 |
24.5 |
49.5 |
10.2 |
100.8 |
벨라루스 |
33.5 |
41 |
13.5 |
22.3 |
3 |
독일 |
27.4 |
36.4 |
8.7 |
32.7 |
중국 |
34.8 |
12 |
10.05 |
65.6 |
4 |
태국 |
28.1 |
30.4 |
10.8 |
7.9 |
우크라이나 |
29.1 |
10.1 |
1.7 |
65.3 |
5 |
아랍에미리트 연합국 |
11.2 |
17.8 |
8.6 |
59.1 |
세르비아 |
11.04 |
9.04 |
7.8 |
18.1 |
고밀도 폴리에스틸렌(HDPE)(HS코드390690) |
||||||||||
전 세계 |
355.7 |
398.5 |
170.9 |
12.0 |
전 세계 |
22.8 |
32.2 |
17.5 |
41.5 |
|
1 |
독일 |
77.3 |
76.5 |
30.4 |
1.1 |
카자흐스탄 |
11.2 |
1.7 |
10.2 |
49.4 |
2 |
프랑스 |
47.3 |
63.7 |
20.4 |
34.6 |
벨라루스 |
6.3 |
8 |
3.2 |
26.2 |
3 |
일본 |
28.1 |
41.1 |
5.4 |
46.2 |
독일 |
0.23 |
1.5 |
1.1 |
538 |
4 |
중국 |
51.7 |
33 |
25.5 |
36.1 |
우크라이나 |
1.3 |
1.4 |
0.7 |
7.1 |
5 |
대한민국 |
14 |
27.7 |
19.02 |
97.7 |
우즈베키스탄 |
10 |
1.4 |
0.7 |
29.8 |
폴리스티렌(PS)(HS코드390319) |
||||||||||
전 세계 |
59.2 |
57 |
23 |
3.7 |
전 세계 |
84 |
93.5 |
39.4 |
11.3 |
|
1 |
벨기에 |
12.5 |
16.6 |
6.4 |
32.8 |
벨라루스 |
37.4 |
38.7 |
15.4 |
3.4 |
2 |
대한민국 |
21.09 |
11.3 |
6.5 |
46.6 |
우크라이나 |
16.4 |
15.8 |
3.7 |
3.7 |
3 |
헝가리 |
8.8 |
10.01 |
2.5 |
13.7 |
카자흐스탄 |
13 |
13.9 |
3.8 |
6.8 |
4 |
이탈리아 |
5 |
5.8 |
1.7 |
16.9 |
스위스 |
2.5 |
8.9 |
9 |
253 |
5 |
이란 |
0.4 |
5.08 |
4 |
1199 |
핀란드 |
0.7 |
6.5 |
1.3 |
820 |
선형 저밀도 폴리에스티렌(LLPE)(HS코드390110) |
||||||||||
전 세계 |
315.8 |
268 |
100.4 |
15.1 |
전 세계 |
265.5 |
213 |
78.5 |
19.7 |
|
1 |
벨라루스 |
87.6 |
62.4 |
23.8 |
28.7 |
중국 |
113.1 |
72.8 |
19.3 |
35.7 |
2 |
핀란드 |
55.3 |
45.9 |
18.1 |
17.0 |
우크라이나 |
38.4 |
35.1 |
15.5 |
8.6 |
3 |
독일 |
46 |
45.1 |
16.03 |
1.9 |
벨라루스 |
28.5 |
28.7 |
10.6 |
0.7 |
4 |
대한민국 |
24.2 |
31.4 |
14.5 |
29.8 |
카자흐스탄 |
26.6 |
23 |
12 |
13.8 |
5 |
사우디아라비아 |
27 |
15 |
4.4 |
44.7 |
우즈베키스탄 |
9.1 |
17.5 |
5.4 |
92.6 |
부타디엔(Butadiene Rubber)(HS코드400220) |
||||||||||
전 세계 |
39.4 |
37.1 |
13.9 |
5.6 |
전 세계 |
428 |
411.6 |
171.5 |
3.8 |
|
1 |
독일 |
26.5 |
25.5 |
9.4 |
- 4.63 |
헝가리 |
59.7 |
63.9 |
22.3 |
7.0 |
2 |
일본 |
3.3 |
3.4 |
1.6 |
3.26 |
멕시코 |
35.9 |
38.2 |
20.2 |
6.5 |
3 |
대한민국 |
3.4 |
3.2 |
1.2 |
- 6.23 |
루마니아 |
33.06 |
34.05 |
15.1 |
3.0 |
4 |
체코 공화국 |
2.6 |
3.1 |
1.3 |
18.57 |
슬로바키아 공화국 |
27.3 |
27.7 |
11.5 |
1.6 |
5 |
폴란드 |
1.5 |
0.9 |
0 |
- 36.71 |
체코 공화국 |
24.6 |
27.2 |
8.6 |
10.6 |
2013~2018년 러시아의 석유화학제품 주요 수입국
주*: 6년간 수입 규모(297억 달러) 기준
자료: Analytics Department, CREON groups
□ 러시아 석유화학제품 경쟁동향
ㅇ 러시아 Top5 석유화학 제조사는 Sibur, Taif, Rosneft, Lukoil, Gazprom임.
- Lukoil, Gazprom, Rosneft사는 석유가스 개발사이기도 해 석유화학제품 자재를 직접 공급해왔으나 러시아 연방정부의 독점방지법에 따라 Kazanorgsintez, Bashkir Soda 등으로 자재 공급선을 확장함.
- Sibur의 경우는 석유화학품 제조사로 특화된 대기업으로 다양한 공급선을 보유하고 있음.
러시아 현지 벤더
회사 |
로고 웹사이트 |
직원 수 |
매출액 (달러) |
중요 사항 |
PJSC SIBUR 보유 |
|
26,000명 |
91억 |
· 1995년 모스크바에 설립 · 주요 제조품: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폴리프로필렌(PP), 합성 고무(3개 이상),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특수 고무 · 플라스틱, 유기합성 제품 제조 공장 13개 보유 |
PJSC Nizhnekamskneftekhim (TAIF Group of 100% subsidiary of LUKOIL Companies의 자회사) |
|
17,000명 이상 |
30.1억 |
· 니즈네캄스크(타타르스탄)에1967년 설립 · NKNK로도 알려져 있으며, 러시아 최대 합성 고무와 플라스틱 제조사
|
Poliom LLC |
|
251-500명 |
2억3870만 |
· 옴스크에 2005년 설립 · GK Titan, SIBUR, Gazprom Neft의 합작 투자 회사이며, Basell (Netherlands) 회사 기술로 건설 · 기술 및 엔지니어링 장비 공급 업체는MaireTecnimont S.p.A사(이탈리아) · 프로젝트 총 비용은 110억 루블 이상 |
LLC Stavrolen (LUKOIL의 100% 자회사) |
|
501-1,000명 |
5억5000만 |
· 스타브로폴에 1975년 설립 · 석유화학 공장이며, Lukoil-Neftekhim Group의 계열사 · 주요 제조품: 아크릴로 니트릴, 합성 나이트론 섬유, 페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등 |
Gazprom Neftekhim Salavat (PJSC Gazprom의 100% 자회사) |
|
7,000명 |
28억 |
· 살라바트(바시키르 공화국)에 1948년 설립 · 제조과정: 탄화수소 처리 과정 전 주기 수행 · 제조품: 경유, 연료유, 폴리스티렌, 고압 플리에틸렌 등 · 중국, 브라질, 영국, 서유럽 및 발트해 연안국을 포함해 30개 국가로 수출 · 정유 공장, 가스 화학 공장, 단량체 공장 보유 |
JSC Angarsk Polymer Plant (Rosneft의 100% 자회사) |
|
1,000명 이상 |
1억1,100만 |
· 이르쿠츠크 지역의 앙가르스크에 1974년 설립 · JSC 앙가르스크 중합체 공장은 매년 2억 톤의 에틸렌, 1만 톤의 프로필렌 및 6만 톤의 벤젠을 생산함. 생산된 에틸렌의 일부는 공장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스티렌 및 폴리스티렌 생산에 사용됨. · 원재료 주요 공급사는 LPG를 공급하는 앙가르스크 석유화학 회사와 Achinsky 정유 JSC |
PJSC Kazanorgsintez (TAIF Group of Companies의 자회사) |
|
5,000명 이상 |
13억 |
· 타타르스탄의 카잔에 1958년 설립 · 제조품: 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PE 파이프, 비스페놀, 페놀, 아세톤, 에틸렌 글리콜, 에탄올 아민 및 기타 유기 합성 제품 · 전 세계 23개국에 수출 |
PJSC "Ufaorgsintez" |
|
1,000명 이상 |
4억6,100만 |
· 바시키르 공화국의 우파에 1956년 설립 · Bashneft사와 합병(Bashneft사는 Rosneft사 소유) · 주요 제조품: 고분자 재료(고압 폴리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케이블산업을 위한 폴리에틸렌 구성물), 폴리에틸렌 필름을 포함한 소재 · 핀란드, 터키, 동유럽 및 서유럽, 발트해 연안국, 중국, CIS 등 20개국으로 수출 |
Bashkir Soda Company JSC(BSK JSC) |
|
약 5,000명 |
7억1,600만 |
· 2013년 OJSC Soda와 OJSC Kaustik이 합병되며 설립 · 주요 제조품: 가성소다, 염소 및 염화비닐수지 |
자료: Spark, 각 회사 사이트
ㅇ 러시아는 석유화학제품 수출국이나 정밀도가 높거나 특수 소재 석유화학제품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전통적으로 다국적 석유화학제조사들과의 관계가 밀접함.
- 장기간 러시아 수출 또는 기술 이전, 투자 등으로 관계가 밀착된 다국적 기업들은 BASF, ARKEMA, DOW 등임.
- 프랑스 기업 Arkema는 신소재 폴리머 개발로 러시아와 기술 협력을 다각화하고 있는 기업임.
러시아 내 외국 벤더
국가 |
회사 |
직원 수 |
매출액(달러) |
주요 사항 |
독일 |
BASF |
342명(러시아 사무소) 115,490명(세계) |
3억5000만(러시아 사무소) 727억(세계) |
· 1865년 설립 · 주요 제조품: 수지, 접착제, 전자 등급 화학 물질, 산업용 가스, 기본 석유화학 물질 및 무기 화학 물질, 폴리 아미드 전구체, 폴리 아미드 및 생분해성 플라스틱 · BASF 자회사 Wintershall Holding AG는 석유 가스 탐사 담당(Wintershall은 중부 및 동유럽에서 러시아 Gazprom과 협업 중) |
프랑스 |
Arkema S.A |
해당 없음.(러시아 사무소) 20,000명(세계) |
해당 없음.(러시아 사무소) 99억(세계) |
· 2004년 설립 · Arkema는 55개국 지사를 두고 있고 전 세계에 13개의 연구소를 두고 있으며 유럽, 북미, 아시아 및 기타 국가에 총 136개의 공장을 보유 · 주요 사업 분야: 감광액, 공업용 화학물질 등 |
미국 |
The Dow Chemical Company
|
해당 없음.(러시아 사무소) 56,000명(세계) |
해당 없음.(러시아 사무소) 481.5억(세계) |
· 1897년 설립 · 약 160개국에 지사를 두고 있음. · 주요 제조품: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합성고무 등 |
네덜란드 |
Lyondell Basell Industries N.V. |
-(러시아 사무소) 19,450명(세계) |
해당 없음.(러시아 사무소) 380억(세계) |
· 미국 화학 회사인 Lyondell Chemical이 네덜란드 회사인 Basell Polyolefins를 인수하며 2007년에 설립 · 제조품: 에틸렌, 프로필렌, 프로필렌 옥사이드, 에틸렌 옥사이드, 메탄올, 아세트산 및 그 유도체를 포함한 기본 합성 제품 · 모스크바에 공식 대표 사무소 보유 |
벨기에 |
Solvay |
35명(러시아 사무소) 24,500명(세계) |
3,180만(러시아 사무소) 116억(세계) |
· 1863년에 설립 · 53개 국가에 145개 생산 공장 보유 · 본사: 벨기에 브뤼셀 · 제조품: 폴리아미드(석유 및 가스 탐사 및 제조부터 플라스틱 제작 공정에 이르기까지 폴리아미드 풀 공정 과정 보유) · 모스크바에 공식 대표 사무소 설립 |
대한민국 |
Korea Engineering Plastics (KEP) |
- |
- |
· 1987년 설립 · 세계에서 네 번째로 큰 폴리옥시메틸렌 제조사 · 제조품: 폴리옥시메틸렌(POM, Kepital브랜드 네임), 폴리아미드(PA, kepamide 브랜드 네임) · 러시아 유통사: Rusplast |
중국 |
Xiamen LFT composite plastic Co.,Ltd |
- |
- |
· 2009년 설립 · 2009년 Alibaba 플랫폼을 통해 수출 시작(러시아 포함) |
□ 현지 기업 반응
ㅇ Sibur 그룹의 Dmitry Konov 대표에 따르면 2014년 이전의 높은 국제원부자재 가격이 현재 많이 낮아져서 Sibur사 수익성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나 서방 경제제재와 미국발 국제 무역 악화로 수출 수익이 낮아졌음.
- 다만 러시아 시장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정부의 수입대체산업 정책이 향후 러시아 석유화학제품 현지 제조 다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
□ 유용정보
ㅇ 폴리프로펠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의 수입 관세는 6.5%이고 부타디엔 고무는 5%임.
- 나머지 주요 석유화학제품은 영세율 적용이나 부가가치세가 2019년 1월부터 20% 적용 중
HS 코드 |
품목 |
부가가치세 |
세금 |
인증 |
390210 |
폴리프로필렌 (PP) |
20%
|
6.5% |
"개인 보호 장비의 안전" (TR CU 019/2011) "
|
390120 |
폴리에틸렌(PE) |
6.5% |
||
390690 |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
0% |
||
390422 |
폴리염화비닐(PVC) |
6.5% |
||
390319 |
폴리스티렌 (PS) |
0% |
||
390110 |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
0% |
||
400220 |
부타디엔 고무 |
5% |
유용한 전시회 정보
전시회명 |
KHIMIA '2019 화학산업 및 과학 국제 전시회 |
아이템 |
· 석유화학 산업 · 화학 및 석유화학 원료, 보조 재료 · 분석 장비 및 실험실 장비 · 플라스틱 산업 재활용 |
도시와 장소 |
모스코바, Expo Centre |
날짜 |
2019년 9월 16-19일 |
주최자 |
Expocentre JSC Directorate of Chemical Technology Exhibitions |
웹사이트 |
전시회명 |
NEFTEGAZ 2020 석유 및 가스 산업 장비와 기술 20주년 국제 전시회 |
아이템 |
· 석유 및 가스 탐사 · LNG: 생산, 운송, 유통과 이용, 투자 · 석유 제품 운송을 위한 전문화된 운송 수단 · 석유 및 가스 처리, 석유화학 · 석유, 가스, 석유 제품의 납품 및 유통 |
도시와 장소 |
모스코바, Expo Centre |
날짜 |
2020년 4월 13-16일 |
주최자 |
Messe Düsseldorf GmbH |
웹사이트 |
https://www.neftegaz-expo.ru/en/ |
□ 시사점
ㅇ 대러시아 한국 석유화학제품 수출 유망 품목은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PE) 등임.
- 다만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의 경우는 현지 생산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높은 관세 부과중이고 품질 경쟁력을 갖춰야 하는 상황임.
대러시아 석유화학제품별 한국 수출 경쟁력
HS 코드 |
품목 |
주요 내용 |
러시아 수입의 한국 순위 |
390210 |
폴리프로필렌(PP) |
수출 유망 - 폴리프로필렌(PP)의 한국 수입 규모는 다소 낮은 편이나 PE(390120)과 HDPE(390690) 대비 수입 성장률이 안정적으로 증가 - 해당 품목들 한해서 러시아 수입의 한국 순위는 상위 5위를 견고하게 지키고 있는 상황 |
2 |
390120 |
폴리에틸렌(PE) |
2 |
|
390690
|
고밀도폴리에틸렌 (HDPE) |
5 |
|
390422 |
폴리염화비닐(PVC) |
비 유망 2018년 기준 한국으로부터 수입 규모는 4,801만 달러 수준으로 한국산 경쟁력이 다소 낮은 수준 |
11 |
390319 |
폴리스티렌(PS) |
다소 유망 이 품목의 러시아 수입 의존도는 낮은 편으로 수입국 중 한국 순위가 높은 편이나 규모가 작은 편 |
2 |
390110 |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LLDPE) |
수출 유망 PE(390120)와 HDPE(390690) 대비 한국 수입 규모는 작으나 러시아 소비가 현지 생산성보다 높기 때문에 한국산 선호 가능성 높음. |
4 |
400220 |
부타디엔 고무 |
다소 유망 - 러시아의 수출 지향 품목으로 수입의존도가 낮은 품목 - 한국 수입 순위는 3위로 품질 경쟁력은 있는 편 |
3 |
400260 |
폴리이소프렌 (이소프렌 고무) |
비 유망 현지 생산성이 소비 규모 이상으로 높음. |
- |
자료: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분석
ㅇ BASF사의 현지 자원개발탐사 투자를 통한 자재 공급선 확보 방법으로 장기적 투자진출을 고려해보거나 이탈리아MaireTecnimont S.p.A사와 같이 석유화학 제조공장 디자인 및 엔지니어 수주를 통한 진출을 고려해 볼 만한 상황임.
- 러시아 제조업 육성 및 수입대체산업 정책이 본격화 된 지 수 년이 되가면서 러시아 현지 제조사들의 자생력 및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 상황
- 러시아 정책 기조 하에 생산공장 확장 및 해외진출, 수출 확대를 위한 생산성 제고를 목표로 두고 있는 기업과의 기술 협력을 크게 고려해 볼 만한 상황
자료: 러시아 석유화학제품 관련뉴스(https://www.marketresearch.com/Business-Monitor-International-v304/Russia-Petrochemicals-Q2-12317532/, https://www.hydrocarbonprocessing.com/magazine/2019/march-2019/columns/europe-russian-petrochemicals-industry-on-the-verge-of-large-scale-growth, http://interplastica.ru/sites/default/files/fields/node.present.field_file),VYGON 컨설팅(https://vygon.consulting/products/issue-1142/), IEA(https://chemicalconvention.org/wp-content/uploads/2018/11/IEA-vision-of-Petrochemicals-in-today%E2%80%99s-and-future-global-energy-world-by-International-Energy-Agency.pdf_), 러시아 연방 통계청, 러시아 연방 에너지부,GTA,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러시아 석유화학제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한-헝가리 수교 30주년, 바이어에게 듣는 유망 품목 | 헝가리 | 2019-08-16 |
2 | 필리핀 자동차 시장 동향 | 필리핀 | 2020-10-02 |
3 | 2018년 아프리카로 가장 많이 수출된 품목은 뭘까? | 남아프리카공화국 | 2019-05-02 |
4 | 중국 맥주 시장동향 | 중국 | 2019-08-19 |
5 | 필리핀 관광산업 | 필리핀 | 2019-07-28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