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필리핀 디지털 시티 개발 프로그램 웨비나 참관기
- 주필 유럽상공회의소(ECCP)는 필리핀 정보통신부(DICT), 필리핀 BPO협회(IBPAP), Leechiu Property Consultants(LPC) 연사를 초청해 필리핀 디지털 시티에 대해 안내하는 웨비나를 개최했다. KOTRA 마닐라무역관은 동 웨비나를 통해 필리핀 디지털 시티 개발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 현장·인터뷰 ]
- 필리핀
- 마닐라무역관
- 2020-12-21
-
- 현지 기업과의 인터뷰를 통해 본 파라과이 K-푸드의 진화
- 파라과이는 주말마다 대가족이 모인 식사를 즐기며 동창회, 회사모임, 혹은 동호회 모임 등 다양한 모임에서 주기적으로 하는 외식 문화가 깊게 자리 잡고 있다. 최근 파라과이는 요식업의 성장과 더불어 패스트푸드 부문이 외식시장의 성장을 주도 하고 있는 가운데, 주목해야 할 분야는 바로 파라과이에서 시장을 넓혀가고 있는 한식이다.
- [ 현장·인터뷰 ]
- 파라과이
- 아순시온무역관
- 2020-12-21
- 추천 : 4
-
- 실리콘밸리의 한국 대표 테크 행사 K-Global 2020 참관기(1)
- 혁신의 상징인 실리콘밸리에서 한국의 과학기술을 알리는 대표 연례행사로 제9회 K-GLOBAL이 개최됐다. 올해는 코로나19로 인해 포럼, 피칭, 전시 상담, Q&A 모두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 [ 현장·인터뷰 ]
- 미국
- 실리콘밸리무역관
- 2020-12-21
-
- [기고] 美 화장품 수출 시 주의사항(2)
- 화장품의 미국 수출 시 주목해야 할 미국 식약청(FDA)의 규제 중 하나로 ‘수입 금지령’이 꼽힌다. 수입 금지령은 FDA가 가장 자주 사용하는 행정적 조치로, 제품이 이 수입 금지령에 등재된다면 수출에 큰 지장이 있을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FDA가 시행하고 있는 화장품 관련 수입 금지령 두 가지에 관해 간략히 짚어보고자 한다.
- [ 기고 ]
- 미국
- 로스앤젤레스무역관
- 2020-12-21
-
- RCEP과 중국의 대외경제무역 新기회 세미나 참관기
-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이 협상 개시 8년 만인 지난 11월 15일 정식 서명을 완료했다. 동남아국가연합(ASEAN) 10개국, 韓‧中‧日, 호주와 뉴질랜드 등 총 15개국 참여한, 세계 인구·GDP·무역의 30%를 포괄하는 세계 최대 규모 FTA로, 시장은 RCEP의 중국 산업과 경제에 대한 영향에 주목하고 있다.
- [ 현장·인터뷰 ]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20-12-21
-
- [기고] COVID-19 상황에서의 체코 법률 및 세무 안내
- 체코 정부는 COVID19 사태로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여 기업들을 지원하고 있으며, COVID 19 상황에서 기업들로부터 자주 문의를 받은 주제들에 대하여 법률, 세무 관점에서 안내하고자 한다.
- [ 기고 ]
- 체코
- 프라하무역관
- 2020-12-21
-
- 2020 PLMA 프라이빗 라벨 박람회 참관기
- 매년 소매, 유통, 제조업체의 제품과 서비스를 홍보하고 기업 간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열리고 있는 프라이빗 라벨 박람회(PLMA)가 올해는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변모하고 있는 기업 홍보와 만남의 모습을 암스테르담 무역관에서 전해드립니다.
- [ 현장·인터뷰 ]
- 네덜란드
- 암스테르담무역관
- 2020-12-21
- 추천 : 1
-
- 2020 제7회 SIC 중국 국제 고령산업 박람회 참관기
- 중국 제7회 고령 산업 박람회를 통해 향후 중국의 실버 산업 성장성을 엿볼 수 있었다.
- [ 현장·인터뷰 ]
- 중국
- 광저우무역관
- 2020-12-21
-
- [기고] ERTE를 활용한 코로나 위기 극복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앞둔 스페인의 비즈니스 잠재력
- 스페인 정부의 임시고용해제(ERTE) 제도를 활용한 코로나19 위기 극복 사례와 다가올 포스트코로나 시대 속 스페인의 성장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자.
- [ 기고 ]
- 스페인
- 마드리드무역관
- 2020-12-21
-
- 홍콩시장 진출을 위한 화장품 위생 허가 및 라벨링 규제 바로알기
- 한국은 2016~2020년 5년 연속 홍콩 화장품 수입 상위 1위를 차지하고 있어 국내 기업들의 홍콩 시장 진출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홍콩에서 화장품은 일반 소비품으로 분류돼 수입품에 대한 위생허가를 요구하는 규정은 따로 없으나 수입 제품 간 경쟁이 치열한 홍콩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현지 화장품에 대한 위생 허가 및 라벨링 규제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 [ 통상·규제 ]
- 홍콩
- 홍콩무역관
- 2020-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