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고] 작은나라, 큰 시장
- 키르기스스탄은 인구 660만명의 작은 나라이다. 하지만 수도 비쉬켁의 '도르도이' 시장은 외국수입품이 거래되고 CIS 국가의 도매상들이 모여드는 중앙아시아의 가장 큰 국제시장이다. 한류를 통해 키르기스스탄 내 대한민국의 위상이 높아진 상황 속에서, 우리 기업은 새로운 진출 기회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 기고 ]
- 카자흐스탄
- 알마티무역관
- 2020-12-28
-
- [기고] UAE 내 미회수 채권(미수금) 회수제도 및 절차
- 코로나-19로 인한 장기적인 불확실성 속 UAE 시장상황이 악화됨에 따라 현금 유동성과 높아진 연체율이 현지 주요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는 UAE 내 채권 및 채무 불이행과 관련해 문제를 겪고 있는 한국 수출업자들에도 특히 우려될 수 있는 사안입니다. Trowers & Hamlins LLP에서는 본 기고문을 통해 UAE 내 채권회수 지원제도에 대해 간략히 다루고 시기적절하고 비용 효율이 높은 현지 제도 및 절차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 [ 기고 ]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 2020-12-28
-
- [기고] UAE 상업 에이전트법 : 주요 위험 및 문제들
- 본 기고에서는 상업 에이전트 제도에 초첨을 두고, UAE 현지 에이전트들에 제공되는 보호 장치들로 인해 해외기업들이 직면한 문제들에 대해 간략히 다루겠습니다.
- [ 기고 ]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 2020-12-28
-
- 홍콩의 혁신기술 스타트업 발전 및 투자 현황
- 2020년 디지털 경쟁력이 세계 5위로 홍콩의 혁신 및 과학기술 산업은 향후 발전 핵심 산업일 것이라고 홍콩 정부가 발표하였다. 홍콩에서 사무소를 설립하는 외국 기업이 많아지는 반면에 홍콩 혁신 및 과학기술 스타트업 기업들은 자금 부족, 창업 비용 부담, 인재 유출 등 어려움을 겪고 있어 외국인 투자 및 해외 기업과의 합작 개발 기회를 기대하고 있다.
- [ 투자진출 ]
- 홍콩
- 홍콩무역관
- 2020-12-24
-
- 칠레 농식품업 개혁 웨비나 참관기
- 칠레 투자청 Invest Chile는 11월 24일 칠레 농수산업 개혁을 주제로 토론 웨비나(칠레, 전통산업에서 개혁산업으로: 친환경성과 수익성 관점에서의 농수산업/Chile, from Traditional to Pioneering: Foodtech and Agritech as Ecofriendly & Profitable Sectors)를 개최했다.
- [ 현장·인터뷰 ]
- 칠레
- 산티아고무역관
- 2020-12-24
-
- 美 주요 부문 무역 동향
- 12월 4일 미 인구조사국(U.S. Census Bureau)과 경제분석국(U.S. Bureau of Economic Analysis)은 10월 미국의 무역수지가 631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미국의 무역수지 동향은 수출의존도가 높은 한국의 경제 흐름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기에, 우리 기업들도 중장기적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미국의 무역수지 동향을 관찰하고 비즈니스 활동에 참고할 것이 요망된다.
- [ 경제·무역 ]
- 미국
- 실리콘밸리무역관
- 2020-12-24
-
- 시베리아 바이어들의 온라인 무역사절단 참가 후기
- 2020년 1년간 지속된 코로나 확산상황으로 인해 KOTRA 노보시비르스크 무역관에서는 기존 형태의 오프라인 무역사절단 수행이 불가능해진 상황에서 화상상담만으로 진행하는 무역사절단을 11월 2회 수행하게 됐다. 이 사절단에 참가했던 바이어들 대상으로 화상상담으로만 진행하는 무역사절단 참가 소감을 인터뷰했다.
- [ 현장·인터뷰 ]
- 러시아
- 노보시비르스크무역관
- 2020-12-24
-
- 베트남 단기출장자 특별입국 절차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 상황에서 한국 기업인의 필수적인 이동지원을 위한 '한·베트남 특별 입국 절차'가 12월 4일 합의됨에 따라 이 제도의 활용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는 2021년 1월부터 시행돼 14일 격리 없이 베트남에 입국할 수 있는 제도이다. 제도가 시행되더라도 실질적인 제도 활용에는 많은 시행착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지만 베트남 정부와의 협업 등을 통해 입국사례를 만들어나간다면 제도의 조기 정착도 가능할
- [ 경제·무역 ]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 2020-12-24
- 추천 : 3
-
- [기고] 중국에서는 연봉제보다 월봉제가 유리한 이유
- 중국의 한국법인에서 한국식 연봉제를 실시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 그러나 계약제고용, 변동 임금제, 단기 업적평가 등이 보편화된 중국에서는 매월 임금액이 변동되는 '월봉제' 채용이 상식화되어 있다. 인사관리, 그 중에서도 직원의 이익과 직결되는 임금제도의 경우 주재국의 보편적인 관행과 직장풍토를 참고하여 가급적 현지에 맞는 시스템으로
- [ 기고 ]
- 중국
- 칭다오무역관
- 2020-12-23
-
- RCEP 체결에 따른 인도네시아 경제 전망
- 세계 최대 자유무역협정인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이 11월 15일 최종 서명됐다. 인도네시아는 RCEP 체결 주도국 중 하나로, RCEP 체결이 경제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이번 RCEP 체결이 인도네시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주요 전문가들의 의견을 토대로 살펴봤다.
- [ 통상·규제 ]
- 인도네시아
- 자카르타무역관
- 2020-12-23
- 추천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