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0 중국 선전 추계 선물전 참관기
- KOTRA 선전무역관에서는 중국 선전 월드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제2회 중국 선전 국제 선물 및 가정용품 전람회를 방문했다. 중국 선전 국제 선물 및 가정용품 전시회는 1993년부터 올해까지 총 28년째 개최되고 있는 중국 최대 선물전시회 중 하나다. 올해는 코로나 19 국면에도 불구하고 규모가 전년보다 더 커진 것이 특징이다.
- [ 현장·인터뷰 ]
- 중국
- 선전무역관
- 2020-12-28
-
- (폴란드) 유럽지역 특화 경제외교 화상상담회 현장 스케치
- 바르샤바무역관은 2020.11.2~12.11 기간 ‘유럽지역 특화 경제외교 화상상담회’를 개최했다. 동 상담회는 코로나19 장기화 및 오프라인 사업여건 악화로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바르샤바무역관은 국내기업 8개사를 지원하여 총 30건의 화상상담을 진행하였으며, 우리 기업들이 폴란드 수출확대를 위한 마케팅 방식의 다각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 [ 현장·인터뷰 ]
- 폴란드
- 바르샤바무역관
- 2020-12-28
-
- 이집트 Mactech 2020 전시회 참관기
- 1,000개 이상의 브랜드가 모여 공작 기계, 산업 도구, 용접 및 절단 장비 및 관련 제조 공정을 전시하는 국제 전시회 Mactech 2020을 알아본다.
- [ 현장·인터뷰 ]
- 이집트
- 카이로무역관
- 2020-12-28
-
- [기고] 베를린에서 스타트업을 시작할 7가지 이유
- 보통 '스타트업'이라 하면 미국 샌프란시스코 실리콘밸리를 떠올리게 된다. 하지만 독일 베를린 또한 스타트업 입지로서 초기 창업자들에게 다양한 매력을 제공하고 있다. 독일 베를린에서 아시아 밀키트(Mealkit) 스타트업을 운영 중인 이민철 대표를 통해 '베를린에서 스타트업을 시작할 7가지 이유'를 살펴보자.
- [ 기고 ]
- 독일
- 함부르크무역관
- 2020-12-28
- 추천 : 1
-
- 2021년 사우디 예산안 주요 내용
- 사우디 재무부는 2020년 재정적자를 795억 달러로 추정했다. 코로나로 인한 글로벌 경기침체 및 국제유가 하락으로 지난해 말 예상치인 499억 달러보다 59.3% 증가한 수치이다. 2020년 경제성장률은 -3.7%로 예상했으나 2021년에는 플러스 성장으로 전환해 3.2%를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 경제·무역 ]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 2020-12-28
-
- [기고]中, 인수합병시 행정등기 유의사항
- 저자는 2018년에 천진시와 광동성 두 지역에 걸친 한국기업 인수합병을 추진하고 행정등기를 대행한 바 있다. 몇년 전에도 해본 경험이 있긴 하나 그때보다 절차가 많이 달라져 있었고 예상치 못한 상황에도 많이 부딪쳤다. 그래서 재중 한국기업의 M&A시 시행착오를 줄이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가하여 피합병 절차상의 애로사항을 정리해 보았다.
- [ 기고 ]
- 중국
- 칭다오무역관
- 2020-12-28
-
- 아르헨티나, 남미공동시장(Mercosur) 의장국 수임
- 아르헨티나는 2020년 12월16일(화) 남미공동시장(Mercosur) 의장국을 수임했다. 아르헨티나가 의장국가 지위를 갖는 2021년 상반기 메르코수르는 볼리비아의 정회원 편입, 농업 및 디지털서비스 중점 포럼 개최, 대외 무역협정 협상 지속 추진 등이 계획된 것으로 알려진다. 단, 아르헨티나는 유럽연합(EU)-남미공동시장(Mercosur) 간 무역협정 체결에는 아직 유보적이거나 회의적인 시각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 [ 통상·규제 ]
- 아르헨티나
- 부에노스아이레스무역관
- 2020-12-28
-
- Comex Solutions 웨비나, 브라질 물류전문가가 말하는 2021년 시장 전망
- Comex Solutions 2020 웨비나를 통해 내년 브라질 시장에 대한 물류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보았다. 코로나19 창궐 이후 사회적 격리, 연초 대비 35% 상승한 환율로 인해 수입이 감소했으나 컴퓨터 및 관련 부품 등 일부 품목에 대한 수입은 크게 증가했다. 브라질의 경제 회복 관련 정부의 코로나19 대응 정책, 백신 공급, 그리고 현재 추진 중인 세금 개혁 성공 여부에 따라 회복 시기가 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 [ 현장·인터뷰 ]
- 브라질
- 상파울루무역관
- 2020-12-28
-
- 포트 수단의 멈춰 선 해상 물류
- 코로나19 상황과 포트 수단 항구에서의 컨테이너 크레인 고장의 장기화, 운영상의 문제 등은 수단의 해상 물류 운송에 치명타를 주고 있다. 특히, 주요 각 국 정부의 물동량 수급과 함께 미국의 블랙 프라이데이(추수 감사절 연휴), 중국의 쌍십자절(11월 11일), 각 국의 크리스마스와 새해에 이르기 까지 코로나19로 상반기에 멈췄던 물류 수요가 대폭 증가하고 있다. 이는 아프리카 수단처럼 물동량이 많지 않은 곳에서는 꽤 심각한 상황이다.
- [ 경제·무역 ]
- 수단
- 카르툼무역관
- 2020-12-28
-
- [기고] 러시아 성장 플랫폼의 변화에서 비즈니스를 발굴하자
- 러시아에서 수 년째 사업을 하고 있는 외부 전문가가 바라보는 러시아 시장의 잠재력에 대해 다같이 알아보고 국내 기업의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 [ 기고 ]
- 러시아
- 상트페테르부르크무역관
- 2020-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