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베트남, 1월 25일 13차 전당대회 개최
- 오는 1월 25일, 5년 주기로 개최되는 13차 베트남 전당대회가 하노이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베트남 차기 지도부 선출, 사회경제개발전략 등 중장기 정치·경제 관련 중대 사안을 발표할 것이며, 아직까지 유력 후보에 대한 다양한 전망이 제시되고 있으나 현임 지도부의 연임 가능성, 하마평 인사들의 성향 등 고려 시에는 現 경제정책 대비 변화는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 [ 경제·무역 ]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 2021-01-22
-
- 2021년 주목할 만한 체코 비즈니스 이슈
- 2021년에도 경제 및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코로나19 여파가 지속되는 가운데 세법 개정이 발효되고 코로나19 지원 정책도 이어지는 등 체코 내 비즈니스 관련 변화가 이뤄지고 있다. 2021년 체코 비즈니스 환경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경사항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 경제·무역 ]
- 체코
- 프라하무역관
- 2021-01-21
-
- 2021년 폴란드 경제전망
- 폴란드는 코로나19 대응 정부의 경제활동 규제로 피해가 대폭 확대되면서 2020년 마이너스 3% 이상대의 경제성장률 하락과 경제 침체기를 겪고 있다. 그러나 다행히 올해 2분기부터는 점차 경기가 회복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이 있으며, EU 기금 활용을 통해 경제 활성화 목적의 공공투자도 집중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 [ 경제·무역 ]
- 폴란드
- 바르샤바무역관
- 2021-01-21
-
- 이탈리아 2021년 경제 전망
- 2020년도 이탈리아 경제는 코로나19의 여파로 이탈리아 통계청(ISTAT) 기준 -8.9%의 경제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2021년에는 회복세로 전환될 전망이나 그 폭은 다소 완만해 경제가 예년수준으로 회복되기까지는 다소 시일이 걸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이탈리아 세부 경제지표별 전망을 확인해보고 이를 통해 수출기업의 대처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 경제·무역 ]
- 이탈리아
- 밀라노무역관
- 2021-01-21
-
- 프랑스에서 2021년에 바뀌는 것들
- 2021년 1월 1일부터 프랑스 국내에서 바뀌는 제도 및 규제들에 대해 알아봤다. 프랑스 정부는 플라스틱과 내연기관차에 대한 규제를 심화하고 코로나19 피해기업 지원에 총력을 기울일 전망이다.
- [ 경제·무역 ]
- 프랑스
- 파리무역관
- 2021-01-21
-
- 우리 진출기업이 알아야 할 2021년 새롭게 바뀌는 러시아 법령
- 2021년 1월 1일부터 러시아에는 어떤 새로운 법률들이 적용될까? 부자세 도입, 최저임금 산정방법 변경, 담뱃세, 주류세 인상 등 세제 변경, 원격 근로 규정 제정 등 노무 환경 변화 등 우리 진출 기업들이 챙겨야 할 법령 변경을 추려보았다. 한편, IT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 북극 진출 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 등에서 러시아 정부의 경제 정책도 엿볼 수 있다.
- [ 투자진출 ]
- 러시아
- 블라디보스톡무역관
- 2021-01-21
-
- 2020년 中 경제성장률 2.3%...'V'자형 반등 실현
- 코로나 팬데믹 속에서 중국경제는 'V'자형 반등을 이뤄냈다. 2020년 4분기 경제성장률은 코로나 이전 수준인 6.5%로 회복됐다. 2020년 중국 경제성장률은 2.3%로 세계에서 유일하게 플러스 성장을 실현했다.
- [ 경제·무역 ]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21-01-21
-
- 성장 기회? 주목받는 일본의 '그린 성장전략'
- 일본 정부는 2020년 말 2050년 온난화 가스 배출 제로를 위한 실행 계획 「그린 성장전략」을 발표했다. 큰 경제정책의 틀에서 아베노믹스를 계승한 스가 정권은 코로나19에 관한 재정・금융정책 또한 기존의 노선을 따르고 있는 가운데 이번 그린 성장전략은 기존의 아베노믹스와는 다른 스가 정권의 경제 정책이라는 점에서 스가노믹스의 진가가 발휘될 것인지 주목되고 있어 그린 성장 전략의 포인트 및 그에 따른 기업・전문가의 의견을 살펴보고자 한다.
- [ 경제·무역 ]
- 일본
- 도쿄무역관
- 2021-01-21
-
- 탄자니아, 2021년 경제 전망
- 세계은행의 전망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한 세계 경제 한파에도 불구하고 탄자니아는 2021년 경제성장률을 5.5%로 전망했다, 이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평균 경제성장률을 상회하는 수치이다. 지난 해 대선에서 재선에 성공한 마구풀리 정권의 안정적인 정국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주요 과제로 설정하고 굵직한 인프라 프로젝트를 필두로 국내 제조업 활성화 및 투자 환경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다.
- [ 경제·무역 ]
- 탄자니아
- 다레살람무역관
- 2021-01-21
-
- 모잠비크, 2021년 경제 전망 및 주요 정부정책 현황
- 2021년 모잠비크는 전년도 부진을 극복하고 2% 이상의 GDP 성장률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백신 보급과 함께 코로나19를 극복하고 세계경제가 회복할 것이라는 기대와 함께 모잠비크 주력 수출품인 광물 등의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점도 긍정적인 요인이다. 2021년 모잠비크 정부는 '경제 및 사회 계획 2021'을 통해 52억 달러 투자를 계획하고 있는데, 우리 기업도 이러한 부분들을 잘 활용해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 경제·무역 ]
- 모잠비크
- 마푸투무역관
- 2021-01-21
-
- 브렉시트 이후 영국 수출 시 확인해야 할 사항
- 브렉시트가 최종적으로 완료됨에 따라 영국 통관을 위해 준비해야 할 사항을 확인해야 한다. 영국 수출 시 세관 절차와 한-영 FTA를 활용하기 위해 알아야 할 내용 역시 점검해야 한다. 또한 영국의 VAT 규칙 및 절차가 일부 변경되고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에서 판매 시 의무사항이 발생하므로 우리 기업이 숙지해야 할 사항을 확인해 준비가 필요하다.
- [ 통상·규제 ]
- 영국
- 런던무역관
- 2021-01-21
-
- 중남미·카리브 경제성장 3.7% 전망
- 유엔중남미카리비경제위원회(CEPAL)는 중남미·카리브 지역의 2021년 경제는 2020년 각국의 국내총생산(GDP) 감소 등 극심한 위기 상황에서 벗어나 3.7%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좀 더 노력을 기울여 대중남미·카리브 수출 회복을 추구하는 것이 요구된다.
- [ 경제·무역 ]
- 아르헨티나
- 부에노스아이레스무역관
- 2021-01-20
-
- 2021년 중국 수입관세제도 주요 변경사항
- 중국은 ‘국내 대순환 위주, 국내외 순환 상호 촉진’의 ‘쌍순환’ 구도 구축을 위해 올해도 중국 내 소비 수요가 왕성하고 산업고도화를 촉진하는 제품의 수입관세율을 인하하는 방향으로 관세제도를 운영할 방침이다. △내수 확대, △산업 고도화, △ 산업 자주화, △ 녹색성장 정책 기조에 맞춰 하이테크 설비·부품, 의료기기 등 제품의 관세를 인하하는 한편 산업자주화를 위해 일부 타이어, 광섬유용 도료 등의 관세율은 상향 조정했다.
- [ 통상·규제 ]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21-01-20
-
- [기고] 中,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금지 조치에 따른 분해성 플라스틱 선별법 알아보기
- 중국 정부는 2025년까지 플라스틱 오염을 실질적이며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2021년 1월 1일부터 주요 도시의 백화점/쇼핑몰/슈퍼/마트/약국 등의 영업장에서 일회용 플라스틱 쇼핑백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아울러 향후 분해가 용이한 분해성 플라스틱 사용을 권장하겠다는 중국정부의 의지에 따라 분해성 플라스틱에 대해 쉽게 이해(선별)하기 위한 참고사항을 작성해 전달하고자 한다.
- [ 기고 ]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21-01-19
-
- 중국, 외국인투자에 대한 안전심사방법 발표
- 중국 경제개획 총괄부서인 국가발전개혁위원회(国家发展与改革委员会)와 상무부(商务部)는 최근에 ‘외국투자 안전심사 방법’을 발표했다. 이 방법은 1월 18일부터 시행된다.
- [ 투자진출 ]
- 중국
- 선양무역관
- 2021-01-19
- 추천 : 1
-
- [CES 2021 리뷰] 완전히 새로운 ‘디지털 쇼’의 서막
- 지난 1월 11일부터 14일까지, 세계 최대 IT 및 소비자 전자제품 전시회인 ‘CES 2021’ 디지털 쇼가 성황리에 개최됐다. 코로나19 팬데믹의 여파로 완전히 새로운 ‘All Digital’ 방식으로 진행된 이번 CES 2021의 주요 내용, 기술 트렌드 전망, 다양한 글로벌 기업들의 온라인 쇼케이스 현장 등을 1·2편으로 나눠 다시 한 번 살펴본다.
- [ 현장·인터뷰 ]
- 미국
- 로스앤젤레스무역관
- 2021-01-19
- 추천 : 3
-
- 영국·베트남 FTA 발효 - 브렉시트 시대의 새로운 교역 패러다임
- 2021년부터 영국의 브렉시트가 감행되며, 영국과 기존 교역국 간의 관계 재정립이 필요하였다. 영국은 EU 정부와 미래관계 협상을 진행함과 동시에 세계 각국과 새로운 양자 FTA를 체결해왔고, 영국-베트남 FTA도 2020년 12월 31일(영국 시각)을 기점으로 발효되었다. 향후 베트남의 對영국,EU 교역은 FTA, 수출입 법률, 각종 인증규제까지 상이한 법률 환경에 놓여지고, 새로운 교역 패러다임으로 전환되는 중요한 시기에 있다.
- [ 통상·규제 ]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 2021-01-19
- 추천 : 1
-
- 美 텍사스의 실리콘힐스, 오스틴이 뜬다.
- 오스틴은 젊고 양질의 교육을 받은 풍부한 인적자원, 낮은 생활비, 적은 세금 부담, 테크 친화 환경으로 인해 더 많은 테크 기업들이 몰리고 있다. 오스틴은 특히 첨단제조, 청정기술, 생명과학이 발달했으며, 낮은 공공시설 요금과 자연재해의 우려가 적어 주요 기업들의 데이터센터 건설이 계속되고 있다. 미국 시장 진출을 고려 중인 관련 우리 기업들은 텍사스 오스틴을 첫 진출 지역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 [ 투자진출 ]
- 미국
- 달라스무역관
- 2021-01-19
-
- 통계로 살펴보는 가나 무역현황
- 가나는 아프리카 무역수지 3위 국가로 1차 산업 기반의 수출, 제조업 기반의 수입 경향성을 보인다. 본 해외시장뉴스에서는 가나의 교역 규모, 가나에 대한 국가별 수출입 동향, 수출입 품목, 대한민국과의 교역 동향을 통계로 살펴본다.
- [ 경제·무역 ]
- 가나
- 아크라무역관
- 2021-01-18
-
- [기고] 싱가포르 기업 내 전근자 근로비자(EP) 발급지침 변경
- 싱가포르 노동부(MOM)는 자국민 일자리 확대 정책의 일환으로 외국인의 근로비자(EP) 발급 지침을 변경했다. 2020년 11월부터 EP 비자 발급 시 신청인이 기업 내 전근자(Intra-corporate Transferee; ‘현지 주재원’) 여부를 확인한다. 이에 해당하는 경우 주재원의 가족은 해당 FTA에서 특별히 정하는 바를 제외하고는 가족비자(DP) 또는 장기 방문 비자(LTVP)를 발급받을 수 없다.
- [ 기고 ]
- 싱가포르
- 싱가포르무역관
- 2021-01-18
-
- [기고] 영국의 이민법 변화에 따라 기업이 참고해야 할 규정
- 영국 취업 및 이민 관련 2020년 말 확정된 중대한 사안들 및 변동사항들에 대해 살펴보고 이번 해부터 적용된 새로운 환경들과 규정들에 대해 이민법 관점에서 알려드리겠습니다.
- [ 기고 ]
- 영국
- 런던무역관
- 2021-01-15
-
- 2021년 프랑스 경제전망
- 2020년 프랑스 경제는 코로나19로 역사적인 위기에 봉착했다. 프랑스 중앙은행은 2021년에도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쉽사리 종식되지 못하고, 백신 접종 또한 2021년 말까지는 광범위하게 이뤄지지 못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에 프랑스 경제가 정상화되는 시기는 2022년 중순쯤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 [ 경제·무역 ]
- 프랑스
- 파리무역관
- 2021-01-15
-
- 2021년 페루 경제 전망은?
- 2020년 페루 경제는 코로나19 및 정치적 불안정 등으로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2021년에는 코로나19 사태 진정 등으로 인해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20년과 2021년 페루 경제성장 동향 및 전망을 알아본다.
- [ 경제·무역 ]
- 페루
- 리마무역관
- 2021-01-15
-
- 중국, 2021년 새해부터 시행하는 정책
- 본격적으로 ‘내수 위주의 국내외 순환 상호 촉진하는 쌍순환’ 구도를 구축하기 위해 연초부터 중국 정부는 1) 시장체제 정비, 2) 녹색성장, 3) 기업·개인 부담 경감, 4) 외자 안정에 역점을 둔 정책과 조치를 시행한다.
- [ 경제·무역 ]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21-01-14
-
- 중국 집적회로와 소프트웨어 산업 발전을 위한 세금배당 정책 시행
- 2020년 12월 재정부, 국가세무총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및 공업·정보화부에서 연합 발표한 2020년 제45번 공고 국가에서 권장하는 집적회로와 소프트웨어 산업 기업소득세 우대정책을 조정하였다. 국가 집적회로와 소프트웨어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하여 중국은 각종 정기적 세금 감면 정책을 포함한 일련의 관련 산업 기업소득세 우대정책을 실시해왔다. 조건에 해당하는 기업이 15%나 10%의 세율 혜택이 적용된다.
- [ 투자진출 ]
- 중국
- 광저우무역관
- 2021-01-14
-
- 인도의 투자 촉진을 위한 생산연계 인센티브(PLI)
- 인도 정부는 자국 제조업 부흥 및 투자 유치를 위해 인센티브 및 보조금 지급, 소프트론, 세금 환급 등의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그중 생산 연계 인센티브(Production Linked Incentive)는 2020년 3월 발표된 정책으로 선정된 기업은 인도에서 제조되는 제품의 매출 증가분의 4~6%를 보조금 형태로 지급받게 된다. 인도 정부는 해당 정책을 통해 Make in India 이니셔티브에 활력을 불어넣고자 한다.
- [ 투자진출 ]
- 인도
- 뭄바이무역관
- 2021-01-13
-
- 독일, 2021년 달라지는 다양한 제도 및 조치
- 2021년에도 독일에 새로운 제도와 규제가 도입될 예정이다. 이 중 현지진출 국내기업의 판매 및 영업활동에 중요한 몇 가지 변동사항을 정리해봤다. 코로나19 소상공인 지원 강화를 비롯해 화물차에 대한 폐차보조금제 시행, 전기자동차 세금 면제 혜택 연장, 친환경 분담금 인하, 대체 가능한 일회용 플라스틱 용품 사용 및 생산 금지, 신에너지 소비효율 등급 도입, 최저임금 인상, 기초연금 도입 등 다양한 제도가 시행될 예정이다.
- [ 통상·규제 ]
- 독일
- 프랑크푸르트무역관
- 2021-01-12
-
- [기고] 방글라데시 사업 시 유의사항
- 방글라데시는 최근 우리 건설 시장으로 각광 받기 시작해 많은 국내기업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리고 현지의 이러한 건설 경기의 활황은 지속적인 경제성장으로 이어져 코로나 상황에도 불구하고 올해는 플러스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매력적으로 보이는 시장에도 많은 함정과 애로사항이 있는 만큼 사전에 철저한 조사와 대비를 통해 시행착오를 줄여야 한다.
- [ 기고 ]
- 방글라데시
- 다카무역관
- 2021-01-12
-
- [기고] 방글라데시 진출 팁
- 방글라데시는 최빈국으로 알려져 있지만 의외로 국민들은 똑똑하고 근면하고 치열한 삶을 살아가고 있다. 그리고 최근 많은 경제적 성과도 거뒀으며 이러한 경제성장에 힘입어 우리 기업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데 특히 현지 사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유의해야 할 점들이 있어 소개한다.
- [ 기고 ]
- 방글라데시
- 다카무역관
- 2021-01-12
-
- [기고] 日 규슈지역의 여행 억압수요를 대체할 콘텐츠에 주목해야할 때
- 코로나로 인적 왕래가 힘들어진 지금 일본 내에서는 관광 수요가 한국 콘텐츠에 대한 수요로 변화하고 있다. 지금까지 한국의 유명 드라마에서 삼겹살을 굽고 소주를 마시고 맥주 한잔에 치킨을 뜯는 장면을 봤을 때 한국행 티켓을 끊으면 그만이었지만 지금은 그럴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의사관광 콘텐츠(Dummy Tourism Contents)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 [ 기고 ]
- 일본
- 후쿠오카무역관
- 2021-01-12
-
- 2020년 인도 경제 요약 및 2021년 전망
- 코로나19발 위기로 인도는 생산연계 인센티브를 포함한 다양한 FDI 유치정책 및 자주인도 정책을 내놓으며, 세계의 제조업 중심기지가 되려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그 결과 글로벌 기업을 중심으로 한 인도로의 생산기지 이전이 가시화되고 있으며, 견조한 내수시장을 바탕으로 빠르게 경기 회복 단계에 들어서고 있다. 2021년 인도의 제조업 경쟁력 강화 및 글로벌 공급망의 중심으로의 재편 여부가 주목되는 시점이다.
- [ 경제·무역 ]
- 인도
- 뉴델리무역관
- 2021-01-12
- 추천 : 3
-
- 2021년 대만 경제, 3%대 성장 전망
- 2020년 대만 경제는 코로나19로 세계 경제가 위축된 상황 속에도 안정적인 방역 관리, 전자업 수출·투자 호황에 힘입어 상대적으로 호조를 보였다. 코로나19로 불확실성이 여전한 상황이지만 사태가 진정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바탕으로 2021년 대만 경제는 3%대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 [ 경제·무역 ]
- 대만
- 타이베이무역관
- 2021-01-11
- 추천 : 2
-
- 일본, 긴급사태선언 재발령
- 일본 정부는 최근 도쿄도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급증하고 있는 코로나19 의 감염억제를 위해 1월 8일부터 긴급사태를 선언했다. 이에 따라 상업시설의 영업시간은 20시까지로 단축됐으며, 기업은 재택근무를 확대하는 등 대응하고 있다.
- [ 경제·무역 ]
- 일본
- 도쿄무역관
- 2021-01-08
- 추천 : 1
-
- 베트남 국가 디지털 기업 개발 포럼 2020
- 지난 2020년 12월 23일 베트남 정보통신부 주최로 하노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베트남 디지털 기업 개발 포럼에서 ICT관련 기업 대표들은 디지털 기술과 성과에 대해 2020년 리뷰를 하고 2021년을 전망하는 시간을 가졌다. KOTRA 하노이 무역관에서는 포럼에 직접 참관해 베트남 대표 ICT 기업가들의 연설 주요 내용과 디지털 우수 기업 시상 내역을 정리해봤다.
- [ 현장·인터뷰 ]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 2021-01-07
- 추천 : 5
-
- 중국판 GDPR 온다...中 개인정보보호 규정 강화 움직임
- 중국이 개인정보보호법 입법을 빠르게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21일 초안 발표 후 약 한달 간 의견을 공개수렴하고 현재 후속작업을 진행 중이다. 법안 통과 및 실제 집행 시기는 정해지지 않았으나 전문가들은 빠른 시일 내에 시행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개인정보보호법은 총 8장 70조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인정보 처리 및 해외제공 규칙, 개인정보 처리시 개인권리 및 처리자 의무, 관련 수행부처 및 법적 책임 등을 담고 있다.
- [ 통상·규제 ]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21-01-07
- 추천 : 2
-
- 중국 新 외국인투자장려산업목록, 1월 27일부 시행
- 2020년 12월 28일 중국 국가발개위(國家發改委)와 상무부는 2020년 판 ‘외상투자산업장려목록’(鼓励外商投资产业目录 2020年版)을 발표하고 오는 1월 27일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중국 정부의 자립형 공급망 구축, 녹색 성장 및 경제 체질 개선 등 정책 기조에 맞춰 핵심소재, 부품, 첨단 제조업, 현대 서비스업과 친환경 산업이 추가됐다.
- [ 투자진출 ]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21-01-07
- 추천 : 1
-
- 2021년부터 영국 내 화장품을 유통하기 위해 알아야 할 규정
- 영국 정부는 브렉시트 이행기간 종료일(2020년 12년 31일) 이후 공공보건 보호 및 경쟁시장 구축을 위해 화장품 규정(Regulation 2009/1223 and the Cosmetic Products Enforcement Regulations 2013:Great Britain)을 마련해 운영할 예정이다. 해당 규정은 2021년부터 화장품 제품을 GB(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즈) 시장에 출시하기 위해 충족해야 하는 요건을 명시한다.
- [ 통상·규제 ]
- 영국
- 런던무역관
- 2021-01-07
-
- 스타벅스, 중국에 매장 600개 더 늘린다
- 세계 최대 커피 프랜차이즈 스타벅스가 향후 1년간 중국에서 600개의 점포를 늘리겠다고 밝혔다.
- [ 투자진출 ]
- 중국
- 선양무역관
- 2021-01-05
-
- 2020년 미국 무역 및 통상 관련 FAQ
- 2020년 한해 동안 미국 소재 7개 무역관에 접수된 무역, 통상, 투자 관련 문의와 답변을 소개한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문의가 잦았던 개인보호장비(PPE) 관련 수출 절차를 비롯한 현지 법인 설립, 현지 기업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어 미국 시장에 진출을 희망하는 우리 기업에 기초 정보를 제공할 전망이다.
- [ 통상·규제 ]
- 미국
- 워싱톤무역관
- 2021-01-05
-
- 슬로바키아에 화장품을 수출하려면 필요한 인증 절차
- EEA의 화장품 수입 규제는 다른 경제권역보다 엄격하고 복잡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일차적으로 화장품 알림포털(CPNP)의 책임자(RP)가 되어줄 현지 파트너를 찾는 일부터 개별 제품 하나하나를 모두 성분 검사 및 규제 준수에 맞춰 등록하는 데에 시간과 노력이 많이 투입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제품이 이 과정을 거치고 나면 구매제품을 쉽사리 바꾸지 않는 세계3대 화장품 시장을 지속적으로 공략할 수 있다.
- [ 통상·규제 ]
- 슬로바키아
- 브라티슬라바무역관
- 2021-01-05
-
- 체코, 주에너지원 석탄 종료 다가온다
- 전 세계적인 탈탄소화 추세속에 석탄 의존도가 높은 체코에서도 석탄 비중 감축 노력을 이어가고 있으며, 지난 12월 체코 석탄위원회는 2038년까지 석탄 발전 종료를 정부에 권고해 체코의 탈석탄 시기를 구체화하고 있다.
- [ 통상·규제 ]
- 체코
- 프라하무역관
- 2021-01-05
-
- 러시아 지적재산권 및 상품 등록에 대한 모든 것
- 러시아 IP 환경은 아직도 국제 수준을 도달하지 못했으나 출원 건수로는 세계 7위라고 한다. 그러나 실용 신안 출원은 유럽 수준보다 10배로 뒤쳐져 있으며 중국 수준보다는 40배가 앞서 있다고 한다. 한편, 러시아 디지털 경제 실현을 위한 산업 프로그램으로, 첨단 혁신 기술 IP 출원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 통상·규제 ]
- 러시아
- 모스크바무역관
- 2021-01-05
- 추천 : 1
-
- 수단, 27년 만에 국제사회 속으로
- 수단이 마침내 2020년 12월 14일부로 미국의 테러지원국 대상 국가에서 공식 제외됐다. 미국에서 지정한 테러지원국이었던 수단은 지금까지는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orld Bank)과 같은 국제금융기관의 재정자원의 혜택을 받지 못했고 인도주의적인 물자도 매우 부족했다. 전문가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앞으로의 전망을 알아봤다.
- [ 현장·인터뷰 ]
- 수단
- 카르툼무역관
- 2021-01-05
-
- 모로코 의료기기 수입업체 인터뷰
- 모로코는 전반적인 의료 인프라 및 서비스가 열악한 것으로 평가되며 최근에는 현지 코로나 급증에 따라 정부 예산 및 수요가 코로나 관련기기 및 용품에 집중되었으나 정부 차원에서 '20-21년 예산안을 비롯 의료서비스 개선에 우선순위를 두고 의료장비 현대화 등을 추진하고 있어 의료기기 수입은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이에 무역관에서는 올해 하반기 코트라에서 개최한 온라인 상담회 참가 현지 의료기기 수입업체 2개사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
- [ 현장·인터뷰 ]
- 모로코
- 카사블랑카무역관
- 2021-01-04
-
- 현지 변호사가 짚어주는 대만 노무관리 가이드
- KOTRA 타이베이 무역관은 현지 노동법 전문 변호사를 초청해 온라인 노무설명회를 개최했다. 현지 진출 한국 기업과 한인(韓人)기업이 참가한 가운데 고용계약 체결, 해고, 임금/초과근무수당, 출퇴근기록 등 현지 노무관리 시 주의가 필요한 사항에 대해 짚어봤다.
- [ 현장·인터뷰 ]
- 대만
- 타이베이무역관
- 2021-01-04
- 추천 : 1
-
- 중국 지식재산권 침해 및 분쟁 대응 관련 상담사례(1)
- KOTRA 상하이 무역관은 중국 내 우리 기업의 지식재산권 출원과 등록을 지원하고 침해에 대응하고자 IP 데스크를 운영하고 있다. 2019년부터 2020년 상반기까지 상하이 IP 데스크에서 상담한 주요 내용 중 우리 기업과 관련이 비교적 큰 지식재산권 침해 및 분쟁 대응의 주요 상담사례 15개 문항을 Q&A 형식으로 구성하여 전달하고자 한다.
- [ 투자진출 ]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21-01-04
-
- 아르헨티나, 2021년부터 지식경제 개발 박차
- 아르헨티나는 2021년부터는 전통산업보다는 지식경제 개발에 박차를 가해 수출을 적극 증대해 나아갈 계획이다. 중소기업 기술발전을 위해 민관협력을 강력히 추진하면서 경쟁력을 기른다는 계획이다. 우리도 이러한 아르헨티나의 사례를 볼 때 더욱 기술개발에 집중해 경쟁력을 기르고 서로에게 이익이 되는 한도에서는 같은 산업 내에서의 협력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 경제·무역 ]
- 아르헨티나
- 부에노스아이레스무역관
- 2021-01-04
-
- 아르헨티나 외환규제 강화, 해결방법은?
- 기존 악화되고 있었던 경기상황 및 코로나19 사태로 아르헨티나는 외환위기가 심화되었고, 이로인해 외환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아르헨티나 현지 상황에 대한 정보 제공을 위해 현지 전문가와 수입업계 종사자에게 아르헨티나의 외환규제 상황과 향후 전망에 대한 의견을 들어보았다.
- [ 현장·인터뷰 ]
- 아르헨티나
- 부에노스아이레스무역관
- 2020-12-31
-
- 영국과 EU, 미래관계 협상 타결로 완전한 브렉시트 돌입
- 지난 12월 24일 영국과 EU는 오랜 여정 끝에 미래관계 협상 타결을 발표했다. 당초 협상 난항으로 노딜 브렉시트의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으나 전환기간 종료를 일주일 앞두고 극적 합의에 성공했다. 협상의 핵심 쟁점이었던 어업권, 공정경쟁, 거버넌스 등에서 상호 양보한 것이다. 이로써 영-EU 간 상품교역에서 무관세, 무쿼터를 유지할 전망이며 다만, 신규 도입되는 통관 절차로 인해 당분간 초기 혼란이 예상된다.
- [ 통상·규제 ]
- 영국
- 런던무역관
- 2020-12-30
- 추천 : 2
-
- 오스트리아 경제의 코로나19 대응 및 전망
- 오스트리아는 타유럽국가와 같이 코로나19로 큰 경제적 타격을 입었다. 올해 경제현황을 검토하고 정부 대응정책을 살피며 내년도 전망치 및 유망 프로젝트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핫이슈인 백신접종현황도 조사해 현지에서 내년 여름까지 경제가 진정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는 점도 확인된다.
- [ 경제·무역 ]
- 오스트리아
- 빈무역관
- 2020-12-30
-
- 고통의 1년을 보낸 페루 광산업, 향후 전망은?
- 광업은 페루에서 GDP의 10%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한 산업이나 2020년 한 해 동안에는 코로나19로 인해 저조한 성적을 거두었다. 그러나 지난 최근 위기에서 벗어나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1년에는 다시 성장세로 돌아설 전망이다. 이러한 페루 광업의 동향과 향후 전망을 알아본다.
- [ 경제·무역 ]
- 페루
- 리마무역관
- 2020-12-30
-
- 아르헨티나 윤활유 유통업체 인터뷰
- 코로나19 사태로 현지 경기가 악화되고 있으나 윤활유 시장은 이후 안정적으로 회복할 시 성장가능성 있는 시장 중 하나이다. 아르헨티나 윤활유 시장의 기본적인 상황확인과 우리 기업의 진출 방안 모색을 위해 현지 관계자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 [ 현장·인터뷰 ]
- 아르헨티나
- 부에노스아이레스무역관
- 2020-12-30
-
- '전자상거래 시리즈: 기술 활용으로 거래 비용 최소화' 웨비나 참관기
- 코로나19 이후로 기업들은 바이어와 직접 수출 상담을 하며, 온라인 결제를 하는 기회가 많아지고 있다. 중소기업은 FinTech를 통해 휴대폰 어플이나 온라인 플랫폼에서 즉시 결제할 수 있으므로 무역 거래의 비용을 최소화하며 거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 [ 현장·인터뷰 ]
- 홍콩
- 홍콩무역관
- 2020-12-29
-
- 전문가에게 듣는 中 개인정보보호법 초안 주요 내용 및 대응방안
- KOTRA 베이징 IT지원센터는 지난 12월 17일 새로운 중국 법제도에 맞춘 우리 기업 운영 지원을 위해 KISA 한중인터넷협력센터와 공동으로 재중 한국 기업 대상 현안 세미나를 개최했다. 주제는 최근 핫이슈인 중국 <개인정보보호법> 초안의 주요 내용과 우리 기업의 대응방안이다.
- [ 현장·인터뷰 ]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20-12-29
-
- 에콰도르 원단 수입사(KANGTEX) 대표 인터뷰
- 에콰도르 원단 시장의 중심지라고 할 수 있는 키토(Quito) 시 구시가지(Centro Histórico)에서 한국 원단을 수입하고 있는 KANGTEX사의 강성구 대표를 만나 에콰도르 원단 시장의 현 주소를 알아보았다.
- [ 현장·인터뷰 ]
- 에콰도르
- 키토무역관
- 2020-12-29
-
- 한-사우디 언택트 비즈니스 파트너십 웨비나 참관기
- 대한상공회의소(KCCI), 사우디 상공회의소(SCS)와 KOTRA는 지난 12월 23일 한-사우디 언택트 비즈니스 파트너십 웨비나를 개최했다.
- [ 현장·인터뷰 ]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 2020-12-29
-
- 한-러 극동포럼으로 엿보는 극동러시아 경제협력 화두
- 지난 12월 18일 제10회 한-러 극동포럼이 개최됐다. 10년간의 포럼 성과를 돌아보고 미래상을 그려보는 자리였다. 포럼에서 가장 중점이 된 협력 이슈는 조선분야였다. 극동러시아조선선박수리센터는 볼쇼이카멘 조선해양클러스터 조성 계획을 밝혔다. 그 밖에도 각 지방 정부가 생각하는 유망 협력분야도 소개했다.
- [ 경제·무역 ]
- 러시아
- 블라디보스톡무역관
- 2020-12-29
-
- 2021년 브라질 경제 전망
- 2020년 브라질 경제는 코로나19로 인해 마이너스 성장이 예상된다. 최근 브라질 GDP대비 정부 부채가 94%까지 상승하였고 실업률은 14.6%를 기록했다. 정부 지출 한도를 준수해 재정 건정성을 확보하는게 향후 브라질 경제성장에 중요할 전망이다.
- [ 경제·무역 ]
- 브라질
- 상파울루무역관
- 2020-12-29
- 추천 : 1
-
- 중앙경제공작회의로 본 2021년 중국경제 운영 방향
- 2021년 중국의 경제운영 방향을 결정하는 중앙경제공작회의가 12월 16일부터 18일까지 베이징에서 열렸다. 2020년 중앙경제공작회의 역시 내년도 대내외 불안정성 및 불확실성, 이로부터 파생된 리스크에 대한 인식이 녹아져 있다. 위험부담이 확실히 해소될 때까지 정책방향의 급선회는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 [ 경제·무역 ]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20-12-28
- 추천 : 2
-
- 파키스탄, 한국산 황색무기크롬안료에 반덤핑관세 부과 최종 결정
- 파키스탄 국가관세위원회는 2020년 12월 17일 황색무기크롬안료 품목에 대한 반덤핑 최종 판정 결과를 발표했다. 인도 및 한국산 제품의 수입으로 인한 현지 산업 피해가 인정돼 2020년 8월 25일부터 5년간 인도 및 한국산 황색무기크롬안료 제품에 대해 각각 51.59%와 26.59%의 반덤핑 관세가 부과된다. 2020/21회계연도 기간(2020.7.1.~2021.6.30.) 중에는 15%의 규제 관세가 추가로 부과되기도 한다.
- [ 통상·규제 ]
- 파키스탄
- 카라치무역관
- 2020-12-28
-
- 2021 베트남 주요 경제 정책은?
- 대부분의 주요 경제 기관에서 2021년 베트남은 2019년 수준의 95% 회복을 전망했다. 오는 2021년 1월 전당대회 개최 이후 향후 10년 사회경제개발전략 발표를 앞두고 있는 바 베트남 경제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무역 및 투자 유치 내실화, 디지털 경제, 상위 중소득국으로의 진입과 관련된 경제 정책이 기대된다.
- [ 경제·무역 ]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 2020-12-28
- 추천 : 8
-
- [기고] 인도 건설/부동산 시장 - 파트너십과 현지화에 대한 고찰
- 내가 본 인도는 상호 호혜적인 파트너십을 위해서 수없이 많은 대상을 찾음과 동시에 그 대상과 대등한 협상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현지인 채용, 즉 리쿠르팅(recruiting)의 성공에 해답이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소위 글로벌 기업이라고 부르는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LG전자와 같은 기업들은 기술력 뿐만 아니라 HR팀의 능력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고 있으리라고 확신한다. 훌륭한 현지인 인재를 채용하는 일 역시 매우 고된 노력과 오랜 시간이 …
- [ 기고 ]
- 인도
- 뭄바이무역관
- 2020-12-28
-
- 인도의 외화대출제도 개정 내용 및 차입방안
- 인도의 누적 코로나 확진자가 12월에 들어서며 950만명에 달하고 있다. 전국 기준 백만명당 확진자는 7천명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코로나 발생시 테스트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대도시 중 우리 교민이 주로 활동하고 있는 Delhi, Pune, Mumbai, Chennai의 확진자는 백만명당 3만명을 상회하고 있고 실제 길거리에는 마스크를 쓰지 않는 현지인이 절반을 넘어서고 있어 지난 상반기의 Lock Down 때보다 우려스러운 …
- [ 기고 ]
- 인도
- 뭄바이무역관
- 2020-12-28
-
- 코로나19 이후 대인도 투자 트렌드 살펴보기
- 2020년 코로나19 대유행으로 4~6월 FDI 유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60% 감소한 6.6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나, 봉쇄 조치가 완화된 6월 이후부터는 개선 양상을 보이고 있다. 2020년 4~8월 구글, 페이스북 등 미 주요 기업들이 인도 전자상거래 및 통신 분야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집행하며 인도 시장에 대한 기대감을 표출하고 있다.
- [ 투자진출 ]
- 인도
- 뉴델리무역관
- 2020-12-28
- 추천 : 1
-
- 일본 혼다-이스즈, 수소 트럭 공동개발 착수
- 일본 대표 승용차 메이커인 혼다자동차와 트럭 등 상용차 메이커인 이스즈자동차는 수소를 연료로 하는 연료전지자동차(FCV, Fuel Cell Vehicle) 공동 연구개발을 위해 업무 제휴를 추진하고 있다. 현지 반응을 간략히 소개하고, 이스즈자동차 애널리스트 H 씨와의 인터뷰를 통해 향후 과제와 방향성 등에 대해 알아본다.
- [ 현장·인터뷰 ]
- 일본
- 도쿄무역관
- 2020-12-28
- 추천 : 1
-
- 일본 특허를 쉽고 빠르게, ‘특허심사 하이웨이’ 제도 소개
- 세계 각국 특허청에서는 ‘특허심사 하이웨이(PPH, Patent Prosecution Highway)’ 제도를 도입하여, 복수의 국가에서 특허권을 각각 취득하려는 출원인이 보다 신속하고 간단한 수속으로 심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도 2007년 4월 1일부로 ‘특허심사 하이웨이’ 제도를 도입했다. 또한 양국 특허심사 실무자 간 회합을 통해 특허심사 관련 수속 통일에도 힘쓰고 있다.
- [ 투자진출 ]
- 일본
- 도쿄무역관
- 2020-12-28
-
- 2020 한국 스타트업 대일 진출 교육캠프 개최
- 국내 스타트업 22개사가 참가한 한국 스타트업 대일진출 교육 캠프가 오사카에서 개최됐다. 교세라, 무라타제작소 등 관서 대표기업의 경영 방식 및 상습관과 스타트업 투자 환경에 대한 교육 세미나를 실시했다. 참가자들의 인터뷰를 통해서 내용을 알아봤다.
- [ 현장·인터뷰 ]
- 일본
- 오사카무역관
- 2020-12-28
-
- [기고] 도미니카공화국 원격근로에 관한 노동부 규칙 주요 내용
-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무자가 증가하면서 노동부는 관련 시행규칙을 제정하여 공표했다. 해당 규칙 제정으로 관련 규정이 미비해 모호했던 사항들에 대한 기준을 수립했다는 점에서 고용주 및 근로자의 불확실성을 상당부분 해소해줬었다고 볼 수 있다. 주요 내용을 공유한다.
- [ 기고 ]
- 도미니카공화국
- 산토도밍고무역관
- 2020-12-28
-
- [기고] 코로나 시대 몽골 물류현황과 포스트 코로나 물류 대응 방안
- 전세계 물류 산업은 물동량 감소에 따른 운송지연, 각국 검역에 따른 시간과 비용상승, 글로벌 공급망 변화, 온라인 쇼핑 증가에 따른 유통망 온라인 집중 등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와 관련해 2009년 현지 진출한 KYL 로지스틱스사(국제운송(포워더) 업체)의 윤홍철 지사장의 기고문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 [ 기고 ]
- 몽골
- 울란바토르무역관
- 2020-12-28
-
- [기고] 미국 반덤핑 관세 대응 전략
- 미 유명 법무법인 Crowell & Morning의 통상 전문 변호사 Pierce Lee는 주 조사 대상국인 우리 나라의 기업에 미 반덤핑 관세 대응 전략을 소개한다. 차기 대통령인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하게되는 경우에도, 반덤핑 등의 수입규제에 대한 완화는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우리 기업이 숙지해두면 유용할 것이다.
- [ 기고 ]
- 미국
- 워싱톤무역관
- 2020-12-28
-
- 2020 중국 선전 추계 선물전 참관기
- KOTRA 선전무역관에서는 중국 선전 월드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제2회 중국 선전 국제 선물 및 가정용품 전람회를 방문했다. 중국 선전 국제 선물 및 가정용품 전시회는 1993년부터 올해까지 총 28년째 개최되고 있는 중국 최대 선물전시회 중 하나다. 올해는 코로나 19 국면에도 불구하고 규모가 전년보다 더 커진 것이 특징이다.
- [ 현장·인터뷰 ]
- 중국
- 선전무역관
- 2020-12-28
-
- (폴란드) 유럽지역 특화 경제외교 화상상담회 현장 스케치
- 바르샤바무역관은 2020.11.2~12.11 기간 ‘유럽지역 특화 경제외교 화상상담회’를 개최했다. 동 상담회는 코로나19 장기화 및 오프라인 사업여건 악화로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바르샤바무역관은 국내기업 8개사를 지원하여 총 30건의 화상상담을 진행하였으며, 우리 기업들이 폴란드 수출확대를 위한 마케팅 방식의 다각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 [ 현장·인터뷰 ]
- 폴란드
- 바르샤바무역관
- 2020-12-28
-
- 이집트 Mactech 2020 전시회 참관기
- 1,000개 이상의 브랜드가 모여 공작 기계, 산업 도구, 용접 및 절단 장비 및 관련 제조 공정을 전시하는 국제 전시회 Mactech 2020을 알아본다.
- [ 현장·인터뷰 ]
- 이집트
- 카이로무역관
- 2020-12-28
-
- [기고] 베를린에서 스타트업을 시작할 7가지 이유
- 보통 '스타트업'이라 하면 미국 샌프란시스코 실리콘밸리를 떠올리게 된다. 하지만 독일 베를린 또한 스타트업 입지로서 초기 창업자들에게 다양한 매력을 제공하고 있다. 독일 베를린에서 아시아 밀키트(Mealkit) 스타트업을 운영 중인 이민철 대표를 통해 '베를린에서 스타트업을 시작할 7가지 이유'를 살펴보자.
- [ 기고 ]
- 독일
- 함부르크무역관
- 2020-12-28
-
- 2021년 사우디 예산안 주요 내용
- 사우디 재무부는 2020년 재정적자를 795억 달러로 추정했다. 코로나로 인한 글로벌 경기침체 및 국제유가 하락으로 지난해 말 예상치인 499억 달러보다 59.3% 증가한 수치이다. 2020년 경제성장률은 -3.7%로 예상했으나 2021년에는 플러스 성장으로 전환해 3.2%를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 경제·무역 ]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 2020-12-28
-
- [기고]中, 인수합병시 행정등기 유의사항
- 저자는 2018년에 천진시와 광동성 두 지역에 걸친 한국기업 인수합병을 추진하고 행정등기를 대행한 바 있다. 몇년 전에도 해본 경험이 있긴 하나 그때보다 절차가 많이 달라져 있었고 예상치 못한 상황에도 많이 부딪쳤다. 그래서 재중 한국기업의 M&A시 시행착오를 줄이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가하여 피합병 절차상의 애로사항을 정리해 보았다.
- [ 기고 ]
- 중국
- 칭다오무역관
- 2020-12-28
-
- 아르헨티나, 남미공동시장(Mercosur) 의장국 수임
- 아르헨티나는 2020년 12월16일(화) 남미공동시장(Mercosur) 의장국을 수임했다. 아르헨티나가 의장국가 지위를 갖는 2021년 상반기 메르코수르는 볼리비아의 정회원 편입, 농업 및 디지털서비스 중점 포럼 개최, 대외 무역협정 협상 지속 추진 등이 계획된 것으로 알려진다. 단, 아르헨티나는 유럽연합(EU)-남미공동시장(Mercosur) 간 무역협정 체결에는 아직 유보적이거나 회의적인 시각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 [ 통상·규제 ]
- 아르헨티나
- 부에노스아이레스무역관
- 2020-12-28
-
- Comex Solutions 웨비나, 브라질 물류전문가가 말하는 2021년 시장 전망
- Comex Solutions 2020 웨비나를 통해 내년 브라질 시장에 대한 물류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보았다. 코로나19 창궐 이후 사회적 격리, 연초 대비 35% 상승한 환율로 인해 수입이 감소했으나 컴퓨터 및 관련 부품 등 일부 품목에 대한 수입은 크게 증가했다. 브라질의 경제 회복 관련 정부의 코로나19 대응 정책, 백신 공급, 그리고 현재 추진 중인 세금 개혁 성공 여부에 따라 회복 시기가 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 [ 현장·인터뷰 ]
- 브라질
- 상파울루무역관
- 2020-12-28
-
- [기고] 러시아 성장 플랫폼의 변화에서 비즈니스를 발굴하자
- 러시아에서 수 년째 사업을 하고 있는 외부 전문가가 바라보는 러시아 시장의 잠재력에 대해 다같이 알아보고 국내 기업의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 [ 기고 ]
- 러시아
- 상트페테르부르크무역관
- 2020-12-28
-
- [기고] 작은나라, 큰 시장
- 키르기스스탄은 인구 660만명의 작은 나라이다. 하지만 수도 비쉬켁의 '도르도이' 시장은 외국수입품이 거래되고 CIS 국가의 도매상들이 모여드는 중앙아시아의 가장 큰 국제시장이다. 한류를 통해 키르기스스탄 내 대한민국의 위상이 높아진 상황 속에서, 우리 기업은 새로운 진출 기회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 기고 ]
- 카자흐스탄
- 알마티무역관
- 2020-12-28
-
- [기고] UAE 내 미회수 채권(미수금) 회수제도 및 절차
- 코로나-19로 인한 장기적인 불확실성 속 UAE 시장상황이 악화됨에 따라 현금 유동성과 높아진 연체율이 현지 주요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는 UAE 내 채권 및 채무 불이행과 관련해 문제를 겪고 있는 한국 수출업자들에도 특히 우려될 수 있는 사안입니다. Trowers & Hamlins LLP에서는 본 기고문을 통해 UAE 내 채권회수 지원제도에 대해 간략히 다루고 시기적절하고 비용 효율이 높은 현지 제도 및 절차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 [ 기고 ]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 2020-12-28
-
- [기고] UAE 상업 에이전트법 : 주요 위험 및 문제들
- 본 기고에서는 상업 에이전트 제도에 초첨을 두고, UAE 현지 에이전트들에 제공되는 보호 장치들로 인해 해외기업들이 직면한 문제들에 대해 간략히 다루겠습니다.
- [ 기고 ]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 2020-12-28
-
- 홍콩의 혁신기술 스타트업 발전 및 투자 현황
- 2020년 디지털 경쟁력이 세계 5위로 홍콩의 혁신 및 과학기술 산업은 향후 발전 핵심 산업일 것이라고 홍콩 정부가 발표하였다. 홍콩에서 사무소를 설립하는 외국 기업이 많아지는 반면에 홍콩 혁신 및 과학기술 스타트업 기업들은 자금 부족, 창업 비용 부담, 인재 유출 등 어려움을 겪고 있어 외국인 투자 및 해외 기업과의 합작 개발 기회를 기대하고 있다.
- [ 투자진출 ]
- 홍콩
- 홍콩무역관
- 2020-12-24
-
- 칠레 농식품업 개혁 웨비나 참관기
- 칠레 투자청 Invest Chile는 11월 24일 칠레 농수산업 개혁을 주제로 토론 웨비나(칠레, 전통산업에서 개혁산업으로: 친환경성과 수익성 관점에서의 농수산업/Chile, from Traditional to Pioneering: Foodtech and Agritech as Ecofriendly & Profitable Sectors)를 개최했다.
- [ 현장·인터뷰 ]
- 칠레
- 산티아고무역관
- 2020-12-24
-
- 美 주요 부문 무역 동향
- 12월 4일 미 인구조사국(U.S. Census Bureau)과 경제분석국(U.S. Bureau of Economic Analysis)은 10월 미국의 무역수지가 631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미국의 무역수지 동향은 수출의존도가 높은 한국의 경제 흐름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기에, 우리 기업들도 중장기적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미국의 무역수지 동향을 관찰하고 비즈니스 활동에 참고할 것이 요망된다.
- [ 경제·무역 ]
- 미국
- 실리콘밸리무역관
- 2020-12-24
-
- 시베리아 바이어들의 온라인 무역사절단 참가 후기
- 2020년 1년간 지속된 코로나 확산상황으로 인해 KOTRA 노보시비르스크 무역관에서는 기존 형태의 오프라인 무역사절단 수행이 불가능해진 상황에서 화상상담만으로 진행하는 무역사절단을 11월 2회 수행하게 됐다. 이 사절단에 참가했던 바이어들 대상으로 화상상담으로만 진행하는 무역사절단 참가 소감을 인터뷰했다.
- [ 현장·인터뷰 ]
- 러시아
- 노보시비르스크무역관
- 2020-12-24
-
- 베트남 단기출장자 특별입국 절차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 상황에서 한국 기업인의 필수적인 이동지원을 위한 '한·베트남 특별 입국 절차'가 12월 4일 합의됨에 따라 이 제도의 활용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는 2021년 1월부터 시행돼 14일 격리 없이 베트남에 입국할 수 있는 제도이다. 제도가 시행되더라도 실질적인 제도 활용에는 많은 시행착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지만 베트남 정부와의 협업 등을 통해 입국사례를 만들어나간다면 제도의 조기 정착도 가능할
- [ 경제·무역 ]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 2020-12-24
- 추천 : 3
-
- [기고] 중국에서는 연봉제보다 월봉제가 유리한 이유
- 중국의 한국법인에서 한국식 연봉제를 실시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 그러나 계약제고용, 변동 임금제, 단기 업적평가 등이 보편화된 중국에서는 매월 임금액이 변동되는 '월봉제' 채용이 상식화되어 있다. 인사관리, 그 중에서도 직원의 이익과 직결되는 임금제도의 경우 주재국의 보편적인 관행과 직장풍토를 참고하여 가급적 현지에 맞는 시스템으로
- [ 기고 ]
- 중국
- 칭다오무역관
- 2020-12-23
-
- RCEP 체결에 따른 인도네시아 경제 전망
- 세계 최대 자유무역협정인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이 11월 15일 최종 서명됐다. 인도네시아는 RCEP 체결 주도국 중 하나로, RCEP 체결이 경제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이번 RCEP 체결이 인도네시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주요 전문가들의 의견을 토대로 살펴봤다.
- [ 통상·규제 ]
- 인도네시아
- 자카르타무역관
- 2020-12-23
- 추천 : 1
-
- [기고] 이탈리아 와인시장
- 이탈리아는 코로나19에 가장 큰 영향을 받은 나라 중 하나이다. 2020년 3월 록다운을 실시한 바 있으며, 산업과 경제 전반적으로 큰 타격을 입은 곳이기도 하다. 이탈리아의 10대 수출품목 중 하나인 이탈리아의 와인도 코로나19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었는데 이탈리아 와인산업에 대해 이탈리아 한인 경제인연합회 황충연 회장에게 들어본다.
- [ 기고 ]
- 이탈리아
- 밀라노무역관
- 2020-12-23
-
- 유럽수소주간(European Hydrogen Week) 참관기 ③
- 유럽수소주간(European Hydrogen Week)이 FCH-JU 주최로 11월 23~27일까지 5일간 온라인으로 개최됐다. 유럽지역 40개국에서 100명이 넘는 연사와 265개 이상의 기업을 초청해 48개 이상의 섹션에서 260개 이상의 프로젝트들이 소개됐다. 수소주간에서 소개된 각국별·지역별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향후 수소경제전망과 우리 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해보기로 한다.
- [ 현장·인터뷰 ]
- 벨기에
- 브뤼셀무역관
- 2020-12-23
- 추천 : 4
- 댓글 : 1
-
- 실리콘밸리의 한국 대표 테크 행사 K-Global 2020 참관기(2)
- 혁신의 상징과 같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한국의 과학기술을 알리는 대표적 테크 연례행사로 K-Global 2020을 개최하였다. 올해는 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으로 4일간 진행된 이 행사에서 이번 참관기 2부에서는 행사 2일, 3일, 4일차에 열린 행사에 대한 소개를 하고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 [ 현장·인터뷰 ]
- 미국
- 실리콘밸리무역관
- 2020-12-23
-
- 우즈베키스탄 2020년 경제현황 및 2021년 조세제도 변경점
- 2020년 거시경제지표 확인을 통해 우즈베키스탄 경제 상황을 진단하고 향후 비즈니스 전망과 한국 기업이 알아야 할 유의사항에 대해 작성해봤다.
- [ 경제·무역 ]
- 우즈베키스탄
- 타슈켄트무역관
- 2020-12-23
-
- ‘핀테크의 미래’ 웨비나 현장 스케치
- 미국 실리콘밸리 덴마크 총영사관 내 위치한 덴마크 혁신센터(Innovation Centre Denmark)는 지난 12월 16일 핀테크의 미래(What’s next in Fintech) 웨비나를 개최했다. 웨비나는 130여 명의 핀테크기업 최고경영자 및 벤처캐피털 관련 인사가 참관했으며, 덴마크 혁신센터 고문위원 Anders Christjansen의 단독 발표로 진행됐다.
- [ 현장·인터뷰 ]
- 미국
- 시카고무역관
- 2020-12-23
-
- 2021년, 캐나다 투자진출의 기회를 잡아라!
- 캐나다는 현재 코로나19 백신을 가장 많이 확보해놓은 국가로 2021년도 비교적 빠른 경제 회복세가 기대된다. 이와 함께 2020년도 캐나다는 투자하기에 안전한 국가 TOP 3로 분석된바 캐나다로의 투자 진출 기회가 돋보인다. 2021년도 캐나다의 유망 투자산업으로는 첨단 제조업, 농업, 친환경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녹색 경제를 추진하고 있는 캐나다 정부에 힘입어 투자 기회는 더욱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 [ 투자진출 ]
- 캐나다
- 밴쿠버무역관
- 2020-12-23
-
- 콜롬비아 5G 상용화 프로젝트 정보와 참여 기회
- 콜롬비아 정보기술부(MinTIC)는 5G 상용화를 위한 파일럿 사업을 실시한다. 5G 상용화를 위한 콜롬비아 정부의 노력과 프로젝트 관련 정보 및 현재까지의 진행과정, 프로젝트 참여방법 모색 등 다양한 정보에 대해 KOTRA 보고타 무역관에서 소개한다.
- [ 투자진출 ]
- 콜롬비아
- 보고타무역관
- 2020-12-22
-
- [기고] 2021 멕시코 조세 개혁
- 2020년 9월 8일 대통령은 재무부(SHCP)를 통하여 조세 개혁 내용을 포함한 2021년 예산 및 지출안을 연방 국회 하원 제출, 동년 10월 19일 국회 하원을 통과(279명 찬성, 123명 반대)하고, 29일 국회 상원 일부 수정을 통한 예산안이 통과되었다. 또한, 11월 25일 연방 수입세법(LIF)이 공표되었고 재무부가 12월 8일 발표했다.
- [ 기고 ]
- 멕시코
- 멕시코시티무역관
- 2020-12-22
-
- [기고] 해외법인 진출 11년차 향토기업의 대일진출 필승전략
- 일본 진출에 대해서 고민하는 우리 기업을 위해서 올해로 해외 법인 진출 11년차를 맞이하는 플로닉스 사의 일본 시장 공략 필승 전략을 소개한다. (플로닉스 일본법인 책임자 김현주 기고)
- [ 기고 ]
- 일본
- 오사카무역관
- 2020-12-22
-
- [기고] 남아공 철강시장 현황과 한국 철강업체의 진출 전략
- 아시아, 미주, 유럽 등 한국 철강 수출기업의 전통적인 주요 시장에 대비해 그 규모는 작으나 미래 성장 잠재력의 측면에서 중요성을 간과할 수 없는 곳이 남아공을 비롯한 아프리카 철강시장이라고 할 수 있다. 본 기고에서는 남부아프리카 철강 산업의 중심 국가인 남아공의 철강시장 현황을 간략히 정리하고 한국 철강 수출업계에 도움이 될 만한 진출 방안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 [ 기고 ]
- 남아프리카공화국
- 요하네스버그무역관
- 2020-12-22
-
- [기고] 코로나19가 낳은 일본 화장품시장의 新수요
- 외출 횟수가 줄어들고 마스크를 항상 착용하게 된 생활방식 변화로 코로나 전에 비해 메이크업 빈도와 관심도가 바뀌어 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 상황에서 새로이 발생하는 화장품 소비재의 한일 수출입을 전문으로 하는 K-LABO에서 코로나19 기간에 형성된 화장품 신시장 동향에 대해서 소개한다.
- [ 기고 ]
- 일본
- 오사카무역관
- 2020-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