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17/18 무역사기 피해현황 및 대응방안
2017/18 무역사기 피해현황 및 대응방안
목차

요약


Ⅰ. 무역사기 현황


Ⅱ. 지역별 무역사기 분석


Ⅲ. 무역사기 유형분석 및 대표사례
  1. 서류위조
  2. 이메일해킹
  3. 금품갈취
  4. 불법체류
  5. 결제사기
  6. 선적불량
  7. 기타


Ⅳ. 무역사기 대응방안

요약

□ 2017년 8월 ~ 2018년 8월 까지 KOTRA 해외무역관이 파악한 우리기업 대상 무역사기는 총 137건으로 집계


□ 아프리카, 동남아대양주는 가장 많은 무역사기 보고 지역
ㅇ 아프리카에서 총 36건의 무역사기가 보고, 전체의 약 1/3 점유, 동남아대양주는 총 30건의 무역사기가 발생, 동남아지역에 집중
ㅇ 북미, 일본 지역은 교역규모와 비교해, 사기 발생 건수 낮음


□ 나이지리아, 수단, 중국, 필리핀 등에 무역사기 집중 발생 ㅇ 나이지리아, 수단에서는 정부기관을 사칭해서 금품 등을 갈취하거나, 초대장을 요구하는 무역 사기가 빈번한 것으로 조사됨 ㅇ 필리핀에서는 위조서류(입금증) 이용, 운송료 갈취사례 빈번


□ 무역사기는 두 가지 이상의 사기행위가 연루되어 복합화된 양상을 보이며, 서류위조는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사기 유형
ㅇ 서류위조(34건), 이메일해킹(25건), 금품갈취(21건) 순으로 많이 발생
ㅇ 바이어를 사칭해 국내기업에 접촉 후, 불법체류를 목적으로 초청장을 요구하는 사례도 다수 발생
ㅇ 국제 비즈니스 거래가 증가하면서 지적재산권 악용, 해외투자, 고의적인 부도처리로 대금을 지급하지 않는 신종 사기 유형 발생 및 증가 추세


□ 사기 발생 이후에는 대금회수 등 문제해결이 어려우므로 예방이 필수
ㅇ 거래 前 업체의 신용도, 과거 거래내역 등 기본적인 기업정보 확인 필수
ㅇ 우호적인 거래조건, 급하게 진행되는 거래는 일단 의심 필요
ㅇ 사전예방이 어려운 이메일 해킹은 이메일 외 다른 교신수단 마련 필수
ㅇ 신흥국이며 대형 거래인 경우 무역보험 가입을 비롯한 충분한 안전망 확보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관련보고서

지역별 관련 보고서를 볼 수 있는 표

번호 보고서명 첨부파일 저자 발간일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