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환경 규제 강화와 대응방안
중국 환경 규제 강화와 대응방안
목차

Ⅰ. 최근 중국 환경단속 강화 동향  
  1. 환경단속 강화 배경 및 동향  
  2. 중앙정부 차원
   가. 중앙 감찰 현황
   나. 위반상황 단속 현황
  3. 지방정부 차원
   가. 징진지 28개 도시 대기오염 예방관리
   나. ‘산란오’기업 특별단속
   다. 베이징 지역 자체단속
   라. 기타 지역 자체단속


Ⅱ. 중국 환경관련 주요 법규 및 규제강화 동향
  1. 법률체계 및 관리감독체계
   가. 법률체계
   나. 관리감독체계

  2. 주요법규
   가. 환경보호법
   나. 환경영향평가법
   다. 환경보호세법
   라. 대기오염방지법
   마. 물오염방지법

  3. 주요 정책조치
   가. 5개년 규획
   나. 오염물질 배출 허가증제도
   다. 대기오염방지분야
   라. 물오염방지분야
   마. 토양오염방지분야

  4. 최근 환경법 정비동향
   가. 배출허가증제도 관련 규정 집중 발표
   나. 환경영향평가법집행 중요성 부각
   다. VOCs 배출억제 조치 발표
   라. 수직관리제도 도입


Ⅲ. 환경감독처벌 주요 사례 및 시사점
  1. 중점관리감독업종
  2. 환경단속 처벌 사례 
  3. 잘한 사례와 잘못한 사례
  4. 환경규제관련 FAQ
  5. 전망 및 대응방안


(부록)

1. 2017년 10월~2018년 3월 ‘2+26’도시 공기질량 개선 목표
2. 환경규제 대응 체크리스트
3. 환경단속 사례

요약

□ 중국 환경감독 강화 배경 및 동향

- (배경) 중국의 고도성장에 따른 환경오염 야기로 사회 전반적으로 생태 환경보호 의식 강화 및 환경규제 필요성 대두
  . (환경공기질량 기준) '16년 중국 338개 지급(地级) 도시 중 84개 도시가     기준에 달하며, 254개 도시는 환경공기질량 기준 초과
  . ('16년 환경평가지수) 중국은 총 180개 국가중 106위 기록

- (정책) 시진핑 정부는 친환경산업 육성과 환경규제 등 투트랙화 정책으로 환경보호에 전면적으로 나섬   
  . ('12.5 규획') 7대 신흥전략산업* 육성 계획 발표  
    * 7대 신흥전략산업 :  에너지절약 환경보호, 차세대 정보기술산업, 바이오산업, 첨단장비제조, 신에너지, 신소재산업, 신에너지 자동차산업
  . ('13.5 규획') 친환경부문을 국정 5대 발전이념에 포함시킴
  . (규제 기틀 마련) 新 '환경보호법' 기점으로 '17년 양회 이후 본격 환경 감독 및 규제 강화

- (동향) 중앙 및 지방정부 차원의 전국적인 환경감독 및 규제 실시
  . (중앙) 환경보호감찰제도를 가동하여 '16~'17년 2년 간 31개 성의 환경 상황 감독*에 나섬
    * '17년 8.24일까지 환경민원건수 2만 343건, 형사처벌건 66명에 달함
  . (지방) 징진지 28개 도시 대기오염 감찰이 대표적임
    * 중국 환경보호부 장관은 '17년도 특별단속 계획 수립, 1년간 징진지 지역을 감찰토록 지시('17.4.5 대기오염방지 영상회의)
    * '산란오' 기업 정리를 비롯하여 강도 높은 기업퇴출 등 구조조정실시


□ 중국 환경관련 법률 및 제도 현황 

- (현황) 新‘환경보호법', '환경영향평가법’, ‘환경보호세법’과 ‘대기/물오염방지법’ 등이 환경감독 및 규제 근거가 되고 있음 
- (성격) 환경기본법인 新 '환경보호법'(’15.1.1일부)은 환경기본법으로 '89년에 제정된 종래법보다 처벌 수준 대폭 확대
  . (환경영향평가법) '16.7.1일부, 환경영향평가 위법부문 책임 추궁 강화
  . (환경보호세법) '18.1.1일부, 기존 오염물 배출비 제도의 법적 강제성 부족 문제 강화를 위해 신설
  . (대기오염방지법)'15.1.1일부, 초미세먼지 PM2.5 배출 억제가 핵심
  . (물오염방지법) '18.1.1일부, 총량관리제도와 오염물 배출허가가 핵심


□ 환경감독처벌 현황 및 주요 사례

- (현황) 역대급 환경단속이 진행되어 '생산억제' 조치까지 이어짐
  . (중점관리업종) 전기,시멘트,철강,코크스,화공,전해알루미늄,의약/농약 등
- (처벌대상)
 ① 환경영향서 미취득으로 인한 벌금형
 ② 환경정보 미공개로 인한 벌금형
 ③ 공익소송에 따른 행정소송
 ④ 오염물 배출 기준치 초과 및 방지시설 미비
 ⑤ 오폐수/폐기물 불법 배출 및 시설 미비
 ⑥ 폐수처리 시스템 비정상 운영
 ⑦ 대기오염 유발 연료 사용


□ 전망 및 대응방안

 - (전망) 중국의 환경감독이 상시화되고 환경보호 규제 한층 강화 예상 
  . 환경보호법, 대기오염방지법 등 환경단속 기틀 마련 
  .‘16년~’17년 상반기 환경보호 위반으로 적발된 기업수가 그 단속 강도를 가늠케 함
  . 환경감독 강화는 시진핑 집권 2기의 주요 정책으로 일회성이 아닌 상시적으로 진행 될 것으로 예상
 - (대응방안)
  . (상시) 중국의 환경법률 및 규제내용을 수시 모니터링해서 환경 리스크 사전 예방 및 최소화 필요
  . (사전) 환경당국의 환경단속 시행 전 자체 사전 점검 및 환경 설비 적시 구비
  . (사후) 환경부문 지적을 받거나 적발됐을 경우 적극적인 개선 및 조치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관련보고서

지역별 관련 보고서를 볼 수 있는 표

번호 보고서명 첨부파일 저자 발간일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