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트럼프 취임 100일과 美 통상·경제정책 평가 및 주요국 대응현황
트럼프 취임 100일과 美 통상·경제정책 평가 및 주요국 대응현황
목차

요 약 / 1


I. 美 신정부 통상·경제정책 평가 및 전망 / 4


Ⅱ. 美 통상·경제정책의 대한국 영향력 분석 / 17


Ⅲ. 주요 무역적자 4개국 통상정책 / 22
 1. 중국

 2. 일본
 3. 독일
 4. 멕시코


IV. 기타 주요국 반응 / 37
 1. EU
 2. 스위스
 3. 캐나다
 4. 대만
 5. 베트남
 6. 태국

요약

□ 트럼프 취임 100일 통상·경제 공약 평가
ㅇ 트럼프 취임 후 “100일 계획(총 28개 공약)”중 내치·외교·안보 등 전체 공약은 롤러코스터식 행보로 전반적으로 저조한 평가
 - 특히, 취임 후 반이민 행정명령 제동, 오바마케어 대체법안 실패와 러시아 대선개입 사건 등 행정부의 추진력 제동되어 법안 통과

   전무한 상황
  * (여론조사) 역대 지도자 중 가장 낮은 지지율 40%(53년, 아이젠하워 이후)
  * (NYT) 일일이 열거하기 힘든 말바꾸기 시간, (CNN) 엄포와 연막속의 첫 100일
ㅇ 통상·경제(하기 8개) 공약은 상당수 번복·미이행·입법 실패로 혹평 불구, 이해관계(통상마찰, 의회) 때문에 온건한 실용 및 현실주의 

    노선으로 변경
 - TPP 탈퇴 제외한 대부분 통상공약은 주요국과 통상마찰(中환율조작국 지정, NAFTA 재협상) 우려로 통상 노선 변화
  * 보호주의 강경파(피터 나바로, 배넌) → 온건파(게리 콘 등)로 통상주도권 변화
 - 법인세 감세 포함한 세제개편안, 국경조정세, 및 인프라 공공분야 투자 등 경제공약은 재정문제 및 이해관계자 대립으로 의회 통과

   애로 전망

< 트럼프 취임 후 100일 경제·통상 공약 이행 평가 >

구분

경제·통상 관련 공약

이행 및 진행현황

평가

통상

NAFTA 재협상(또는 탈퇴)

NAFTA 재협상 계획 발표(4월말 예정)
재협상 수준과 속도에 대한 비판 제기

관망

TPP 협상 폐기 선언

취임 직후 TPP 폐기 행정명령(1.23)
TPP 대신 양자 무역협정 추진

최상

불공정무역 감시 및 제재 강화

무역적자 원인 분석과 제재방안 강구 지시
제재 수단에 대해서 논란 분분

관망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

미중정상회담후중국을환율조작국으로미지정
대중국 강경 정책 완화 조짐

실망

경제

중산층 감세, 세제 간소화 법안

감세안발표(4.26), 연내 의회 통과 불투명

관망

미국기업의 해외이전 방지 법안

구체적 방안 제시 없음

실망

공공 인프라 투자 활성화 법안

재원조달마련방안등에서의회통과난항

실망

오바마케어 폐지

민주당및공화당강경파반대로의회표결실패

실망

 ※ KOTRA 자체, 트럼프 100일 공약 28개 중 경제 통상분야 8개 선택 평가


□ 對한국 영향력 분석

① 한미 FTA 재협상 가능성, 비관세 장벽 강화 우려 확대
② 對韓 적자 폭 큰 자동차, 철강, 전기전자 산업 위주 통상압박 강화

ㅇ (한미FTA) 美측 FTA 재협상에 대한 상이한 통상신호로 불확실성 증가
 - (부정) 방한 펜스부통령 및 로스 상무부장관 한미 FTA 재검토(Reform) 언급
 - (긍정) 무역장벽보고서(3.31) 한미 FTA 긍정평가 및 상호윈윈 가능성 제시
 - (돌출) 트럼프대통령 한미 FTA 재협상 및 폐기 발언 → 협상전략 추정
  * 트럼프 “한국, FTA 재협상 및 폐기 요구와 사드비용 부담” (4.28, Reuter)
  * (美재무부) 韓에 FTA 재협상 공식 미제의, (韓국방부) 사드비용 부담 불가 원칙
ㅇ (비관세장벽) 보호무역주의와 美 우선주의로 산업별 수입규제 크게 증가 및 미국산 우선구매정책 실행에 따른 한국기업의 피해 우려
 - 미국 對韓수입규제 전체 23건(’17. 4월, 반덤핑 16건, 상계관세 7건)
  * 최근 3년간 수입규제 지속 확대 (‘14) 2건 → (‘15) 4건 → (‘16) 5건
 - 미국산 우선구매법 강화 마련 행정명령 서명(’17.4)
  * 공공조달시 ① 미국산 제품 사용 최대화, ②바이아메리칸법의 편법 및 예외 최소화
ㅇ (산업별) 對韓 무역적자 규모와 고용유발 효과가 큰 자동차, 철강, 전기전자 산업 중심의 통상 압박 강화 및 일부 틈새시장 수혜 전망
   * (피해) 자동차, 철강, 전기전자, 석유화학 / (수혜) IT, 바이오제약, 건설기계


 □ 對美 4대 무역흑자국 대응전략

[중국-일본] 미국 신정부 통상정책 기조 순응 적극 협력
[독일-멕시코] 자국 통화정책 유지 및 對美 강경 통상정책 대응

ㅇ (중국) 美中첫 정상회담 활용, 양국간 통상협력 위한 ’100일 계획‘ 합의하며 환율조작국 지정 및 관세보복을 회피
 - 중국은 미국산 소고기 등 농산물 수입확대와 일부 상품 수입관세 하향 및 중국 금융기관에 대한 투자자 주식 보유한도 증가 등에 합의
ㅇ (일본) 美日첫 정상회담 활용, ’미일 성장 고용 이니셔티브‘ 경제협력 패키지를 제시하는 대신 자국 통화정책 방어 및 TPP 관철 노력

    지속
 - 對美 투자확대를 통해 美日 우호관계 유지와 동시 EU와의 FTA 및 TPP 부활에 박차를 가하며 미국의 보호무역주의에 가장 적극적

   대응
ㅇ (독일) EU의 통화정책 특수성 호소와 미국의 수입관세 또는 국경세 등 통상압력에 WTO 제소 등 강력한 대응 시사하면서 양면전략

    추진
 - 미국의 독일 환율조작국 비난에 반박하며 마이너스 금리를 포함한 기존의 통화정책 유지, 미국과 양자협정 거부 등 ’마이웨이‘ 지속
ㅇ (멕시코) NAFTA 재협상 매우 부정적, 자국이해 침해시 탈퇴 시사 및 對美수입품 역보복관세 부과 발표, 중국 중남미와 교역확대

    추진


□ 기타 주요국 대응전략
ㅇ (EU 스위스·캐나다) 기존 양적완화 및 독자적 환율정책 및 통상관련 강경대응
 - (EU) 미국 국경조정세 도입시 WTO 제소, 독자 환율정책유지 등 강경대응
 - (스위스) 대미투자 확대 지원, 환율 절하위한 외환시장 개입 지속 천명
 - (캐나다) 미국 유제품 관세 부과, 무역전쟁 감수 및 WTO 제소 검토
ㅇ (대만 베트남 태국) 對美무역수지 적자 축소를 위한 통상정책 기조에 최대한 협조하는 한편, 중국 주도의 RCEP로 역내 무역활성화

    대책 강구
 - (대만) 美-台FTA 추진, 대미투자 확대(폭스콘 70억 달러), 외환시장 미개입
 - (베트남) TPP 대안으로 중국주도 RCEP 적극 참여, EU와 FTA 추진
 - (태국) 미국산 방산물자 수입확대, RCEP 적극 참여, EU와 FTA 추진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관련보고서

지역별 관련 보고서를 볼 수 있는 표

번호 보고서명 첨부파일 저자 발간일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