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19 중동 주요국 제조업 활성화 정책과 대응방안 : GCC국가 (UAE,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카타르)
2019 중동 주요국 제조업 활성화 정책과 대응방안 : GCC국가 (UAE,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카타르)
목차

요 약


아랍에미리트(UAE)
Ⅰ. UAE 제조업 육성정책 개요
Ⅱ. UAE 제조업 진출·협력 유망분야
Ⅲ. UAE 제조업 진출 전략
Ⅳ. 참고자료


사우디아라비아
Ⅰ. 사우디 제조업 육성정책 개요
Ⅱ. 사우디 제조업 진출·협력 유망분야
Ⅲ. 사우디 제조업 진출 전략
Ⅳ. 참고자료


쿠웨이트
Ⅰ. 쿠웨이트 제조업 육성정책 개요
Ⅱ. 쿠웨이트 제조업 진출·협력 유망분야
Ⅲ. 쿠웨이트 제조업 진출 전략
Ⅳ. 참고자료


카타르
Ⅰ. 카타르 제조업 육성정책 개요
Ⅱ. 카타르 제조업 진출·협력 유망분야
Ⅲ. 카타르 제조업 진출 전략
Ⅳ. 참고자료

요약

□ 2030년 이후 경제를 위한 산업 다각화 노력 경주
ㅇ 2030년 달성 목표의 장기 국가비전제시 및 대형프로젝트 추진
    * 사우디비전2030, 두바이산업전략2030, 아부다비경제비전2030, 카타르국가비전2030, 이집트 지속가능발전전략 2030, 쿠웨이트 국가비전 2035 등
ㅇ 非탄소 분야 산업육성 통한 제조 기반강화와 일자리 창출 목적
  - 다양한 산업분야 특화 공단 및 경제 자유 지구 조성, 이에 대한 외국인 투자 유치 활발
ㅇ 부품·원부자재 자체 조달 확대 등 수입대체 산업 육성 부각


□ 오일·가스 산업투자 확대 및 현지화(Localization) 추진 노력
ㅇ 중동 산유국의 신규 오일·가스 밸류체인 투자 확대를 통한 재정 수입 증대 노력
    * 사우디 ARAMCO(’18년부터 10년간 4,140억 달러), 쿠웨이트 KPC(’18년부터 5년간 1,120억 달러), UAE 아부다비 ADNOC(’19년부터 5년간 1,324억 달러) 투자 계획
ㅇ 연관 산업의 자국 경쟁력 강화 및 내수 경제 활성화에 기여 목표
  - 철강 및 금속제품, 비철금속 등 주요 수요 품목들의 자국 생산 장려
  - 현지 오일·가스분야 주요 발주처를 중심으로 로컬 컨텐츠(Local Contents: 자국산 제품·자국 서비스 구매) 비중 강화 등 규제 심화
    * 사우디(ARAMCO의 IKTVA), 아부다비(ADNOC의 ICV), 카타르(QP의 TAWTEEN) 등


□ 현지 중소기업·제조기업 투자 활성화 지원 기관과 유기적인 협력 필요
ㅇ 현지 기업을 장기적 관점에서의 동반자적 협력의 대상으로 접근
ㅇ 현지 파트너과의 적극적 협력을 통해 국내외 정책 지원 기관으로부터 더 많은 금융 및 행정적, 제도적 혜택 수혜가능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관련보고서

지역별 관련 보고서를 볼 수 있는 표

번호 보고서명 첨부파일 저자 발간일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