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일본 소비자의 변화와 새로운 공유경제 비즈니스 모델: P2P 공유경제를 중심으로
일본 소비자의 변화와 새로운 공유경제 비즈니스 모델: P2P 공유경제를 중심으로
목차

요 약


I. 공유경제 개념과 비즈니스 모델의 변화 

 1. 공유경제의 정의와 범위
 2. 공유경제 비즈니스 구조와 경제적 효과


II. 공유경제 시장 전망과 일본 소비자의 인식 변화
 1. 일본의 공유경제 시장 현황과 전망
 2. 일본 소비자들의 공유경제 인식변화


III. 공유경제 활성화를 위한 일본의 대응
 1. 일본정부의 공유경제 기반 활성화
 2. 공유경제와 일본 비즈니스 업계의 대응


IV. 일본기업의 공유경제 비즈니스 성공사례 분석
 1. 제품 공유: 메르카리
 2. 이동 공유: 헬로우 사이클링(자전거), 사루트・라쿠스루(화물운송)
 3. 공간 공유: 스페이스 마켓, 아키파
 4. 지식・재능 공유: 애니타임즈, 타임 티켓


V. 시사점
 1. 공유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
 2. 공유경제를 활용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참고문헌

요약

□ 공유경제를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이 진화되면서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주목
 ㅇ (시장 전망) 전 세계 공유시장 규모는 ’13년 150억 달러에서 ’25년 3,350억 달러로 연평균 25.9%를 기록하며 성장할 전망
    - 일본의 공유시장도 최근에 시장 전망치*를 상회하는 속도로 빠르게 성장
      * 일본의 공유시장 규모는 ’15년도 397억 엔에서 ’17년도 636억 엔으로 증가, ’21년까지 1,000억엔 규모로 성장할 전망

 ㅇ (대상 분야) 공유경제의 서비스 대상은 차량, 이동, 제품 분야가 주류였으나, 점차 세분화되어 의료, 교육, 물류, 도시행정 등 새로운 분야로 확대


□ 일본에서 소유 보다 이용 가치를 중시하는 소비자가 증가하는 가운데, 공유경제가 새로운 사회시스템으로서 주목
 ㅇ (소비 인식) 저성장・인구감소 기조 하에서 소비 패러다임의 변화(제품 → 서비스, 소유 → 이용)를 주도하는 젊은 층이 공유경제 지지기반으로 성장
 ㅇ (경제적 효과) 공유경제를 통해 유휴자원을 제공한 공급자는 효율성과 수익이 증가, 이용자는 저렴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어 소비자 잉여가 확대
 ㅇ (사회 시스템) 지역 네트워크 연계 강화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 일본 지자체는 다양한 사회적 문제(자녀돌봄, 관광촉진, 취업지원, 간병)를 해결하고 행정서비스를 보완하는 대안으로서 공유경제 기업과의 연대를 강화


□  일본정부는 공유경제 활성화를 위한 환경정비와 규제도입 등의 대응정책을 강화
 ㅇ (환경정비) 플랫폼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자율적 규제(사업자 손해보험 가입 의무화, 서비스 제공자의 정보개시 등)를 강화하여 거래의 신뢰성을 제고
 ㅇ (규제) 주택숙박사업법(’18년 6월 시행)에서는 기존 사업자와의 갈등을 회피하기 위해 민박일수 상한조치(180일)와 주택숙박사업 신고절차를 도입
 ㅇ (시사점) 동법의 규제 조치로 주택공유사업을 포기한 공급자들이 속출하는 사례가 발생, 공유경제 관련 규제는 가능한 제한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필요


□ 공유경제를 활용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포착한 일본 스타트업의 전략을 분석
  ① (제품 공유) 프리마켓 앱(제품, 명품, 서적, CD 등 중고품)을 운영하는 메르카리는 일본의 유일한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
    · 다양하고도 새로운 트렌드를 즐기는 여성고객을 타깃으로 ‘간단해서 편리하다’는 서비스 차별성을 부각
    · 고객 입장에서 작은 수요를 발굴하고, 개별 맞춤형 방식의 특화된 서비스 제시
  ② (이동 공유) 제3의 교통인프라(자전거)를 확충하고, 서비스 공급자 확대로 물류난 해소

    · IT기업(NTT 도코모, 소프트뱅크)들이 인수・합작 형태로 자전거 공유사업에 진입
    · 물류업의 구인난을 해소하기 위해 일반인 참여가 가능한 화물운송 공유 서비스 등장
  ③ (공간 공유) 특별한 공간, 빈 주차장을 활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서비스 등장
    · 스페이스 마켓은 특별한 공간(결혼식장, 영화관, 야구장, 교회 등)을 새로운 용도로 창출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기획하고 수요자를 매칭
    · 아키파는 주차장 스마트폰 사전예약 서비스를 제공, 철도・부동산 업체와 연계하여 주차거점을 확보하고 도요타자동차와 연계하여 이용 고객을 확보
  ④ (지식・재능 공유) 지역 네트워크 연계와 기부 제도를 결합하여 참여 동기를 부여
    · 애니 타임즈는 다양한 생활의 어려움을 이웃 간 교류 활성화로 해결 방안을 모색
    · 타임 티켓은 지식・재능 공유 비즈니스 모델과 기부제도를 연계하여 도입 


□ (시사점) 플랫폼 기반의 공유경제 비즈니스 모델의 성공 조건을 제시
    · (소비 변화) 소비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통찰력을 기반으로 잠재적인 수요를 발굴,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
    · (혁신) 서비스 프로세스를 혁신하여 거래비용을 축소하고 이용자 후생 증대
    · (커뮤니티 활성화) 플랫폼을 중심으로 이용자의 참여를 유도하고 가치를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
    · (상생협력) 기존 업체들과의 상생협력을 통해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공유기업의 인지도를 제고를 도모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관련보고서

지역별 관련 보고서를 볼 수 있는 표

번호 보고서명 첨부파일 저자 발간일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