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교 수립일 : 1963년 02월 11일 (자료원 : 주스위스 한국대사관, 무역관)
협정 발효 현황
협정명 | 발효일자 | 발효내용 | 비고 |
---|---|---|---|
한-스위스 수교 | 1963년 02월 11일 |
한국-스위스 수교
|
|
투자보장협정 | 1971년 04월 07일 |
투자보장협정
|
|
정기항공운항협정 | 1976년 11월 20일 |
정기항공운항협정
|
|
공업소유권협정 | 1977년 12월 12일 |
공업소유권협정
|
|
사증면제협정 | 2018년 06월 28일 |
사증면제협정
|
|
이중과세방지협정 | 1981년 04월 22일 |
이중과세방지협정
|
|
정기항공운항협정 부속서 개정 | 1990년 08월 20일 |
정기항공운항협정 부속서 개정
|
|
한-스위스 항공협정 | 1995년 06월 17일 |
한국-스위스 항공협정
|
|
운전면허 상호인정 합의 | 1998년 02월 02일 |
운전면허 상호인정 합의
|
협정과 동일한 효력을 가짐
|
무역경제협력협정 | 1999년 06월 29일 |
무역경제협력협정
|
|
한-EFTA FTA | 2005년 12월 15일 |
한국-EFTA FTA
|
2016-09-01발효 |
한-유럽 입자물리연구소 간 협력협정 | 2006년 10월 25일 |
한국-유럽 입자물리연구소 간 협력협정
|
|
한-유럽 입자물리연구소 간 협력협정 의정서 | 2007년 10월 22일 |
한국-유럽 입자물리연구소 간 협력협정 의정서
|
|
한-스위스 과학기술협력 협정 | 2008년 05월 06일 |
한국-스위스 과학기술협력 협정
|
|
한-스위스 이중과세방지협약 개정의정서 | 2010년 12월 28일 | 한국-스위스 이중과세방지협약 개정의정서 | 2012-07-25발효 |
한-스위스 사회보장협정 | 2014년 01월 20일 | 한국-스위스 사회보장협정 | 2015-06-01발효 |
한-스위스 통화스와프 계약 | 2018년 02월 09일 |
한국-스위스 통화스와프 계약
|
서명식: 2018-02-20
3년 만기 |
의약품제조관리기준 상호인정 협정 | 2018년 06월 06일 |
의약품제조관리기준 상호인정 협정
|
2019년 협정 체결 마무리 전망 |
<자료원 : 주스위스 한국대사관, 한국은행, 식품의약품안전처 통합>
한국교민 수 : 2,674 명 (자료원 : 주스위스 한국대사관)

국가정보[일반-한국과의 관계(한국과의 국교 수립 및 협정 현황)] 항목은 "공공누리 4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정치
ㅇ 스위스는 1953년 한국전쟁 정전협정 이행 감독을 위해 창립된 중립국감독위원회(NNSC)에 스위스 군인을 지속 파견하는 등 한반도 평화 유지에 기여하고 있다.
ㅇ 상호 사증 면제협정, 이중과세 방지협정, 한국-EFTA 자유무역협정, 과학기술협력협정, 사회보장협정, 통화 스와프 협정 등을 체결하는 등 다양한 방면에서 우호적인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ㅇ 2014년 박근혜 대통령의 스위스 국빈방문 시 과학기술 공동연구사업 규모 확대 등 과학기술협력 강화에 합의하여 양국이 과학기술 공동위를 설치하고 공동 생명과학심포지엄을 개최하는 등 양국의 산학 간 협력 확대에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외, 한국-스위스 직업교육 협력 기반 구축을 위해 관련 MOU를 체결하고 글로벌 기술인력 양성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ㅇ 2018년 남북 및 북한-미국 간 정상회담이 추진될 당시, 스위스는 중립국으로서 회담 개최를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한 바가 있다.
(자료원 : 경제외교포탈, 주스위스 한국 대사관 등 종합)
경제
ㅇ 최근 주요 회담 : 2018년 3월 한국-스위스 정책협의회, 2018년 7월 한국-스위스 청와대 정상회담
- 한국-EFTA FTA의 업그레이드 필요성 상호 공감
- 신약, 의료기기 개발 및 기술 사업화를 위해 보건‧의료 R&D 분야 전문인력의 연수‧교류와 국내 제약‧의료기기 업체의 스위스 진출 확대 논의
- 5G 등 이동통신, 주파수 관리, 브로드밴드, 정보 보호, IoT, 빅데이터, 클라우드, 오픈 데이터 등의 분야에서 정보 교환, 인력 교류, 공동 세미나 개최, 공동연구 사업 장려, 창업기업 상호지원 및 공동 기술화 추진 협의
ㅇ 최근 이슈
- 2018년 2월 ‘한국-스위스 생명과학 이니셔티브 위원회’ 발족 : 민관협의체이며 향후 2년간 양국 보건의료 협력 아젠다 발굴,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의 실용화, 스타트업 컨설팅 등의 기능을 수행할 계획이다.
- 2018년 2월 한국과 스위스는 100억 스위스 프랑(약 11.2조 원) 규모의 통화 스와프를 체결했다(계약기간은 3년, 만기 후 연장 가능).
- 2018년 6월 양국은 '한국-EFTA FTA 제6차 공동위원회'에서 양국 간 GMP(제조 및 품질 관리기준) 상호신뢰 협정(AMR)을 체결하기로 합의했다. 상호신뢰 협정은 2019년 안으로 마무리 될것으로 전망된다.
(자료원 : 경제외교포탈, 주스위스 한국 대사관 등 종합)
문화
ㅇ 아직 한류는 스위스에 정착하지 않았으나 점진적으로 인지도가 확대되고 있다. 일례로, 2018년 10월에 방탄소년단(BTS)의 멤버인 RM이 발표한 싱글이 스위스 아이튠스 차트 1위를 기록했다. (자료원 : www.20min.ch)
ㅇ 정부 차원의 문화원이 설치된 바가 없으나, 민간 차원에서 Swiss-Korean Cultural Association이라는 비영리 협회를 설립하여 2016년부터 클래식 음악 관련 문화 교류 행사 및 공연을 개최하고 있다. (자료원 : www.skca.ch)

국가정보[일반-한국과의 관계(최근 양국간 현안이슈)] 항목은 "공공누리 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최종수정 : 2019-09-23 11:4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