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협정 체결현황
더보기
협정명 | 체결국가 | 체결일자 | 발효일자 | 비고 |
---|---|---|---|---|
캐나다-미국 FTA(CUSFTA) | 미국 | 1987-10-04 | 1989-01-01 | 북미자유무역협정(North American Free Trade Agreement; NAFTA)으로 대체됨. |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 미국, 멕시코 | 1992-12-17 | 1994-01-01 |
* 2018.09.30 NAFTA를 대체할 USMCA(United States-Mexico-Canada Agreement) 타결 선언
* 2018.11.30 USMCA 서명 * USMCA는 3개국의 의회 비준을 거쳐 정식 발효될 예정으로, 멕시코는 3개국 중 의회 비준을 가장 먼저 마무리 하였고(2019.6.19), 캐나다와 미국은 진행 중임. |
캐나다-이스라엘 FTA | 이스라엘 | 1996-07-31 | 1997-01-01 | 중동지역 국가와 처음으로 체결한 FTA |
캐나다-칠레 FTA | 칠레 | 1996-12-05 | 1997-07-05 | 남미국가와 체결한 첫 FTA |
캐나다-코스타리카 FTA | 코스타리카 | 2001-04-23 | 2002-11-01 | |
캐나다-유럽자유무역연합(EFTA) FTA | 스위스,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 2008-01-26 | 2009-07-01 | 협상 11년만에 발효되었으며 EFTA는 스위스,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4개국으로만 구성되어 있음 |
캐나다-페루 FTA | 페루 | 2008-05-29 | 2009-08-01 | 2008년 캐나다가 서명한 두 번째 FTA |
캐나다-콜롬비아 FTA | 콜롬비아 | 2008-11-21 | 2011-08-15 | 2008년 캐나다가 서명한 세 번째 FTA |
캐나다-요르단 FTA | 요르단 | 2009-06-28 | 2012-10-01 | 캐나다의 첫 번째 FTA 타결 이슬람 국가라는 상징적인 의미를 가짐 |
캐나다-파나마 FTA | 파나마 | 2010-05-14 | 2013-04-01 | |
캐나다-온두라스 FTA | 온두라스 | 2013-11-05 | 2014-10-01 | |
한국-캐나다 FTA | 한국 | 2014-03-11 | 2015-01-01 | 캐나다는 아시아 국가 중 한국과 최초로 FTA를 체결 |
캐나다-우크라이나 FTA | 우크라이나 | 2016-07-11 | 2017-08-01 | |
캐나다-유럽연합(EU) FTA(CETA) | 유럽연합(EU) | 2016-11-30 | 2017-09-21 |
* 전체 회원국의 비준을 거쳐야 공식 발효되며, 비준이 완료된 국가는 캐나다를 포함해 총 14개국임.
* 이탈리아 등 일부 국가는 CETA에 비판적인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정식 발효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될 전망 * 한편, 브렉시트(Brexit)는 2019년 3월 29일에 공식 발효될 예정이었으나, 오는 2019년 10월 31일로 연기되어 영국과 유럽연합(EU)간의 추가 합의방안이 논의 중. |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 일본, 베트남,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브루나이, 호주, 뉴질랜드, 멕시코, 페루, 칠레 | 2018-03-08 | 2018-12-30 |
* USMCA(前 NAFTA), CETA(캐나다-유럽연합 협정)에 이어 캐나다의 세 번째 규모로 큰 다자간 자유무역협정
* 현재까지 멕시코, 일본, 싱가포르, 뉴질랜드, 캐나다, 호주, 베트남, 칠레 등이 비준을 완료함 (국가는 비준 완료 순서) * 비준을 가장 먼저 완료한 6개국은 2019년 1월부로 이행 2년차의 관세 인하 혜택(First Mover Advantage)을 받게됨. |
<자료원 : 캐나다 외교부>

국가정보[무역-무역협정(무역협정 체결현황)] 항목은 "공공누리 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논의 중 협정
더보기
협정명 | 협정대상국가 | 협정진행내용 | 비고 |
---|---|---|---|
캐나다-중남미 FTA | 과테말라, 엘 살바도르, 니카라과 | 2001년부터 2010년까지 12차례의 협상이 진행되었으나, 합의가 이뤄지지 않자 캐나다와 온두라스는 별도의 양자간 FTA를 체결했고, 나머지 국가들과의 추가 협상은 잠정 중단됨. | |
캐나다-싱가포르 FTA | 싱가포르 | 2003년 9월 말 오타와 회의 이후 2007년 8월까지 8차 협상을 개최했음. 양국의 동의에 따라 2009년 11월부터 협상이 잠정 중단된 상황 | |
캐나다-카리콤 FTA(CARICOM) | 카리콤(CARICOM) | 2007년 7월 1차 협상을 시작으로 7차 협상까지 진행되었으나 현재 잠정 중단된 상황이며, 현재 추가 협상은 계획되지 않고 있음. | 카리콤(CARICOM)은 앤티가바부다, 바하마, 바베이도스, 벨리즈, 도미니카공화국, 그레나다, 가이아나, 아이티, 자메이카, 몽세라트, 세인트키츠, 네비스,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수리남, 트리니다드, 토바고 등의 회원국을 포함한 카리브공동체 |
캐나다-도미니카공화국 FTA | 도미니카공화국 | 2007년 6월 1차 협상을 개최했으며 양국 대표단이 2009년 12월에 마지막으로 협상을 진행한 이후 추가 협상은 개최되지 않고 있음. | |
캐나다-일본 EPA(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 일본 | 2012년 3월 첫 협상 개시 이후 2014년 11월 도쿄에서 7차 협상을 진행함. 지난 2019년 4월 아베 일본 총리는 오타와를 방문하여 양국 간 경제협력 및 투자 확대 방안에 대해서 의견을 교환함. 캐나다와 일본은 이미 CPTPP를 체결하였기 때문에, 당분간 양자간 경제동반자협정(EPA) 협상은 진행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됨. | |
캐나다-모로코 FTA | 모로코 | 2011년 10월 1차 협상을 개시했으며, 2013년 4차 협상 이후 잠정 중단됨. | |
캐나다-인도 FTA | 인도 | 2017년 8월 10차 협상까지 완료됨. | |
캐나다-메르코스루 FTA | 메르코스루(MERCOSUR) | 2018년 3월 20~23일 캐나다 오타와에서 첫 공식 협상 진행 | 메르코스루(MERCOSUR)는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라과이 등의 회원국을 포함한 남미공동시장 |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 미국, 멕시코 | 미국, 캐나다, 멕시코는 2018년 9월 30일 최종 협의안을 타결한 뒤 2018년 11월 30일 USMCA에 공식 서명했음. USMCA는 추후 3개국의 의회 비준을 거쳐 발효될 예정으로 멕시코는 비준 완료(2019.6.19)함. | 기존 NAFTA를 새로운 이름의 USMCA 협정으로 출범시킴. |
캐나다-터키 FTA | 터키 | 2010년 10월 예비협상을 진행하였으나, 아직까지 본격적인 협상은 이루어지지 않음. | |
캐나다-필리핀 FTA | 필리핀 | 2015년 5월 양자 FTA 예비협상 추진에 합의하고, 2015년 7월 첫 예비 협상이 이루어짐. 현재 캐나다는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과의 협상을 진행 중이기 때문에, 별도의 양자 FTA 협상은 보류할 것으로 전망됨. | |
캐나다-중국 FTA | 중국 | 2016년 9월 캐나다와 중국은 양자 FTA 타당성 연구 추진에 합의하였고, 현재까지 세 차례의 회의가 진행됨. 타당성 연구가 완료되면 본격적인 정식 협상이 진행될 가능성이 높음. | |
캐나다-아세안 FTA(ASEAN) | 아세안(ASEAN) | 2017년 9월, 캐나다와 아세안(ASEAN)은 예비협상을 진행하기로 결정함. 참고로 2018년 7월과 2019년 4월에 각각 싱가포르, 라오스와 예비협상을 진행한바 있음. | 아세안(ASEAN)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브루나이,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 등의 회원국을 포함한 동남아시아 국가연합 |
<자료원 : 캐나다 외교부>

국가정보[무역-무역협정(논의 중 협정)] 항목은 "공공누리 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최종수정 : 2019-09-06 17:5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