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무역관 르포] 미얀마와 마약, 그리고 골든 트라이앵글
  • 직원기고
  • 미얀마
  • 양곤무역관 류태현
  • 2018-10-02
  • 출처 : KOTRA

류태현 KOTRA 양곤 무역관




미얀마 사람들은 생각보다 쉽게 마약을 접한다. 또한 헤로인, 암페타민 등의 ‘진짜 마약’뿐 아니라 본드, 물담배, 기타 향정신성 약품 등 ‘유사 마약’을 접하는 사람들이 많다. 택시기사들은 항상 물담배를 피우고 있으며, 수많은 저임금 노동자들은 피로를 마약으로 잊는다. 이러한 현상은 정부의 힘이 미치지 못하는 국경지대로 갈수록 더욱 심각해진다. 어느 국경마을의 상점에서는 거스름돈 대신 마약용 주사바늘을 준다고 한다.


마약은 현재 미얀마에서 가장 심각한 사회문제 중 하나이다. 미얀마 정부는 아웅산 수치 여사까지 나서 마약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매년 대대적인 단속을 통해 대량의 마약을 수거해 불태우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도 불교 사원에서 대량의 마약이 발견되는 등 아직도 미얀마인의 생활에서 마약은 뿌리 깊이 자리하고 있다.


미얀마 정부에 의해 수거돼 소각 중인 마약

word_image
자료원: Frontier Myanmar


미얀마는 과거 세계 2위 마약 생산국이었다. 골든 트라이앵글이라고 불리는 미얀마, 라오스, 태국의 접경지역은 아편 생산에 적합한 기후와 자연조건을 갖춘 지역이다. 이 골든 트라이앵글을 끼고 있는 미얀마 동부 샨 주(Shan State)에서는 과거 해마다 100만 톤 이상의 아편이 생산됐다.


미얀마의 양귀비 밭

word_image

자료원: UN


이 삼각지대는 과거 마약왕 쿤사(Khunsa)의 영향력 아래에 있었다. 쿤사는 1934년 미얀마의 농촌에서 태어났는데, 아버지는 중국인이었고 어머니는 미얀마의 소수민족인 샨 족이었다. 그의 아버지는 그가 태어난 미얀마 촌락에서 촌장을 하고 있었다. 그는 장기복이라는 중국식 이름이 있었으나, 촌장을 뜻하는 쿤사라는 이명으로 잘 알려져 있다.


미얀마 국경지대는 중앙정부의 통제력이 미치지 못해 마약이나 자원을 둘러싼 소수민족 사이의 갈등이 빈번했다. 쿤사도 18살 때 마을이 공격받아 혼자 탈출해 미얀마와 태국 접경지대로 피신했다. 이후 동지를 모아 마을을 되찾고 지도자가 됐으며, 미얀마 정부로부터 정식 촌장으로 임명됐다.


그가 어렸을 때 국공내전에서 패배한 국민당 군대가 미얀마 접경으로 도망친 적이 있었다. 이때 그는 군사훈련과 아편 재배법을 배웠다고 한다. 촌장이 된 쿤사는 수백명에 달하는 카 퀘 예라는 사병조직을 만들고 아편을 유통하며 영향력을 확대해 갔다. 특히 1960년대 미얀마에서 군사 쿠데타가 일어나 네윈이 정권을 잡았을 당시, 샨 주의 반군을 토벌하는 대가로 군사정권으로부터 자금과 무기, 군수품 등을 지원받았다.


이후 정부로부터 아편거래를 허가받고 본격적으로 마약을 유통, 골든 트라이앵글의 실질적 지배자가 됐다. 쿤사의 영향력이 커지자 미얀마 정부는 1969년 그를 체포해 5년 동안 수감했으나, 풀려난 이후에도 쿤사는 샨 족, 국경의 태국 소수민족과 연합해 독립된 세력을 형성했다. 70년대부터 90년대 중반까지 골든트라이앵글의 마약 생산은 절정에 달했는데, 한때 뉴욕에서 유통되는 헤로인의 80%를 공급했다고 한다.


1996년 지속적인 미얀마 정부군과의 충돌, 소수민족 간의 갈등, 미국의 범죄인 지정으로 인해 쿤사는 신변보장을 대가로 미얀마 정부에 항복한다. 미국은 그의 신병 인도를 요청했으나 미얀마 정부가 거부했다. 쿤사는 2007년까지 양곤에서 거주하다가 지병으로 사망했다. 쿤사 사후에도 로 싱 한(Lo Hsing Han) 등이 마약을 생산, 유통하고 있으나 태국 및 미얀마 정부의 강력한 단속으로 인해 현재는 그 세력이 많이 약화된 상황이다. 현재 골든 트라이앵글의 아편 농장은 녹차밭(녹차는 아편과 재배조건이 유사하다고 한다.)과 카지노로 빠르게 대체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비공식적으로 마약을 생산, 유통하고 있는 조직이 다수 존재한다.


미얀마에 진출하거나 거주할 계획이 있다면 마약과 관련된 리스크는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현지에 진출한 몇몇 기업들은 마약을 수시로 투여하는 미얀마 직원들 때문에 곤란을 겪고 있다. 현지 인력 채용 시 마약 투여 증상이 있는지 확인하고, 화장실이나 휴게공간에 주사바늘 등 마약 관련 물품이 있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자료원: UN, Frontier Myanmar, KOTRA 양곤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무역관 르포] 미얀마와 마약, 그리고 골든 트라이앵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