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기고] 중국 문화기술(Culture Technology)의 육성 정책 및 관련 기술 동향
  • 외부전문가 기고
  • 중국
  • 선양무역관
  • 2019-11-18
  • 출처 : KOTRA

지엔컨설팅 최해남 대표

 

 

□ 추진배경

 

  ㅇ 최근 발표된 <중국 문화와 과학기술 융합발전전략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문화산업의 GDP에 대한 기여도가 높아지고 있어 중국의 산업 구조조정 전환의 신성장동력이 됨

   - 2018년 중국 문화산업 부가가치의 GDP 비중은 4.3%, 디지털경제 규모의 GDP 비중은 34.8%, 디지털퍼블리싱 수입은 8,330억 7,800만 위안을 기록함


  ㅇ 콘텐츠를 첨단기술과 결합하여 새로운 경쟁력을 구축

   - (쇼트클립) 2018년 중국의 쇼트클립이 폭발적으로 성장하여 더우인(抖音) 다운로드량은 세계 1위이고, 더우인 해외버전 TikTok의 글로벌 다운로드량은 10억 회를 상회, 매월 활성 사용자는 5억을 초과함

   - (인터넷 문학) 인터넷 문학이 인터넷을 통해 해외로 진출해 문화 해외진출의 주력이 됐고, 인터넷 문학은 40여 개의 일대일로 연선 국가(지역)에 보급됨

   - (게임) 중국은 세계 최대 게임시장이 되었으며, 모바일게임의 해외 판매량이 급증하여 2018년 해외시장에서 중국 게임 응용 총 다운로드량이 32억 회로 전년대비 39% 증가함


  ㅇ 한편 과학기술의 판권 보호, 관리, 응용에 대한 지원이 부족한 상태임

 

□ CT 육성 정책


  문화부, <문화과학기술 혁신 13차 5개년 계획>(2017.5)


  ㅇ (목표) 2020년까지 문화과학기술 혁신능력을 제고하고, 문화 중점분야 핵심기술을 개발하며, 문과과학기술기업을 기술혁신주체로 하여 문화과학기술 혁신체계를 구축함


 <표1> 주요임무  

5대 중점임무

주요내용

협동혁신 강화

ㅇ 문화과학기술 분야 대중혁신창업 추진

ㅇ 다양한 혁신요소가 첨단기술문화기업에 집결되도록 유도

ㅇ 혁신형 선도기업 육성

ㅇ 문화과학기술 분야 시장화 신형 조직, 연구개발 서비스중개기관과 연구개발서비스 아웃소싱 신업종 육성

ㅇ 중국 내 기업이 국제시장을 개척하도록 지원하여 국제경쟁력 있는 문화과학기술 기업과 제품을 육성

연구개발 난관돌파 강화

ㅇ 문화과학기술 기초연구 배치, 문화분야 전략적 프런티어 기술배치 강화

ㅇ 국가 중대 문화과학기술 프로젝트를 정한 기간에 수행

성과응용 강화

ㅇ 문화과학기술 성과이전 메커니즘 개선

ㅇ ‘인터넷+문화’행동을 중점적으로 전개하고, 네트워크문화전략 실시

ㅇ 애니메이션 게임, 공연 전시 기술 등의 설계, 제조, 문화과학보급, 교육 등 분야에서의 통합응용 추진

지역 총괄발전 강화

ㅇ 중서부지역이 지역 특화경제와 신산업을 육성하도록 추진

ㅇ 예술단, 단지, 기업 및 사회조직이 빈곤지역 인재양성에 참여하도록 촉진하여 창업 학생을 위해 장소, 상거래, 프로젝트 자문 및 시장개척 서비스 제공

전문인력 육성 강화

ㅇ 문화기술 분야 연구개발, 공학기술, 기술관리, 기술창업 등 다방면에 걸쳐 전문인력 육성 강화

ㅇ 전문인력 육성 시스템 구축


출처: 공개 정보를 바탕으로 정리

 

<표2> 중점공정

 

6개 중점공정

주요내용

문화혁신공정

ㅇ 200개의 문화예술 응용 대비책 연구 및 관련 기초연구 프로젝트 실시

ㅇ 관산학연구과 사용자 통합모델에 따라 20개의 국가문화혁신연구센터 설립, 30개의 문화부 중점실험실 인정

ㅇ 문화 기업이 대학, 연구기관과 함께 현대서비스공정연구센터, 국가중점실험실과 기업기술센터를 신청하는 것을 지원

ㅇ 혁신창업 지원, 대학과 문화 육성수요 매칭 지원

ㅇ 예술 직업교육 ‘주문식’ 인재양성 개선, 현대 도제제도 시범을 실시

ㅇ 과학문화보급 설계 제작, 전시, 서비스 기업 육성

문화과학기술

중점연구개발공정

ㅇ 국가과기계획(전문프로젝트, 기금 등) 관리 범부처 연석회의 메커니즘을 이용해 문화분야 국가중점연구개발계획 프로젝트 실시를 추진

ㅇ 각지의 예술연구기관, 예술직업학교 및 문화 기업 및 사업기관이 지방 과학기술프로젝트 실시를 신청하도록 유도

문화 빅데이터공정

ㅇ <빅데이터 발전 행동요강 촉진>을 구체화

ㅇ 각 관계기관이 데이터자원 개방목록을 제시하도록 견인, 디지털문화자원 공유 리스트 작성

문화장비시스템

향상공정

ㅇ 문화장비산업 기술육성방안을 제정

ㅇ 이동무대차량, 도서차량, 문화차량 등 이동문화시설을 개선

ㅇ 연예 창작, 인터렉티브 체험, 스마트 연예 등에 초점을 두어 무대예술 구현 효과 향상

ㅇ 무대기계류, 연예조명류, 연예음향류, 공연관람 시각효과류, 악기류의 핵심부품과 시스템장비의 연구개발 응용을 중점적으로 지원

ㅇ 스마트극장 구축을 추진하여 디지털화, 지능화, 네트워크화를 가속화

ㅇ <중국 연예장비시스템 청서> 출간

문화 표준화공정

ㅇ 문화관, 애니메이션, 인터넷문화, 문화오락장소, 문화장비 등 분야의 국가표준과 산업표준 40개 이상을 제정

ㅇ 중국 주도로 제정한 모바일단말기 애니메이션 표준이 국제표준이 된 것을 계기로 국제표준 교류 추진

ㅇ ‘국가 무대설비 품질감독검사센터’ 설립을 추진

ㅇ 문화시스템과 사회극장의 안전검사 추진

문화과학기술성과

이전공정

ㅇ 문화부 중점실험실 및 기타 연구실체의 성과이전 및 응용 촉진 분야 기능을 부각시켜 성과이전 주기 단축

ㅇ 문화과학기술 전문가가 ‘1만명 전문가의 기층 서비스 액션플랜’, ‘과학기술 창업자 행동’에 참여하는 것을 지원

ㅇ 문화과학기술 융합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대중창업공간 육성

출처: 공개 정보를 바탕으로 정리

 

② 문화관광부, 과기부, 중앙인터넷정보판공실, 텔레비전방송총국에서 발표한 <문화와 과학기술 심층융합 촉진방안> (2019.8)


  ㅇ (목표) 2025년까지 중점분야 문화와 과학기술 융합혁신체계를 구축하여 문화와 과학기술 간 심층융합을 실현함

   - 문화와 과학기술 융합시범기지 100개를 구축함

   - 유명 브랜드 보유, 산업 발전 선도, 경쟁력이 강한 문화와 과학기술 융합 선도기업 200개를 설립함

 

<표3> 중점임무

8대 중점임무

주요내용

문화 공통성 핵심기술

연구개발 강화

ㅇ 스마트과학, 체험과학 등 기초연구 강화

ㅇ 언어 및 시청각 인지 표현, 크로스 미디어 콘텐츠 식별 및 분석, 감정 분석 등 스마트 기초이론과 방법연구 전개

ㅇ 기계 상호작용, 혼합현실(MR) 등의 핵심기술 개발

ㅇ 문화 창작, 전파 및 소비 분야 핵심기술 연구 강화, 디지털화 수집 및 관리, 멀티미디어 콘텐츠 지식화 가공처리, VR/AR 가상 제작 등 문화생산 기술 연구개발 전개

ㅇ 신문출판, 방송영상, 문화예술, 콘텐츠 디자인 등 분야 시스템 통합응용 기술에서 획기적인 성과를 창출

ㅇ 콘텐츠 가시화 구현, 연동화 전파, 몰입화 체험 기술응용시스템 플랫폼과 제품 개발

문화과학기술

혁신시스템 구축 개선

ㅇ 기업주체/시장유도/산학연결합의 문화과기혁신시스템 구축

ㅇ 핵심기업과 대중소기업이 긴밀히 배합하는 발전모델 수립

ㅇ 기업, 대학, 연구소에 의뢰해 문화와 과학기술 융합혁신분야 국가급 및 성급 과기혁신기지 구축

문화과기성과

산업화 보급 가속화

ㅇ 문화와 과학기술 융합 성과 전시 거래를 정기적으로 전개, 교류 매칭 플랫폼 구축

ㅇ 연구소와 대학이 전문화 기술이전기관과 직업화 기술이전인재그룹을 구축하는 것을 권장

ㅇ 중간테스트기지 구축 강화, 기술시범을 통해 성과 이전

ㅇ 문화과학기술 컨설팅, 기술평가, 기술이전, 성과이전에 종사하는 문화과학기술 서비스를 육성, 문과과학기술 혁신 리스크 저하

문화 빅데이터체계

구축 강화

ㅇ 국가빅데이터전략 실시, 톱 레벨 디자인 강화, 국가 문화 빅데이터 체계 구축 가속화

ㅇ 문화 빅데이터 응용 생태계 구축, 문화 빅데이터 공공서비스 지원 강화

ㅇ 사회에 문화 빅데이터 개방, 국민, 법인 및 기타 조직의 법에 의거한 개발이용을 권장

미디어융합 수직형

발전 촉진

ㅇ ‘콘텐츠+플랫폼+단말기’의 신형 뉴스내용 생산과 전파체계 구축

ㅇ 인공지능의 뉴스 수집, 생산, 발표, 피드백에서의 사용을 모색

ㅇ VR/AR 기술을 이용해 콘텐츠 전파의 정밀화와 몰입화를 실현

ㅇ 클라우드 플랫폼 기술을 연구하고, 분산형 클라우드 구조를 개발하며, 융합미디어센터 구축을 지원, 사용자의 신업종 서비스

콘텐츠 생산과

전파수단의 현대화

 촉진

ㅇ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신기술을 이용해 공공문화 서비스와 문화산업 전체 사슬 개선

ㅇ 스마트기술과 혁신서비스의 퍼블리싱 배급, 방송 영상, 연예오락, 컨벤션 서비스 등 전통 문화산업에서의 응용 지원

ㅇ 인공지능 기술의 문화 분야에서의 심층응용과 혁신발전 촉진, ‘스마트+문화’ 오픈소스기술 개발 커뮤니티 구축

문화장비 기술수준

 향상

ㅇ 문화 분야 주요 소프트웨어시스템과 중대장비 연구개발 및 안전제어 실현

ㅇ 문화 빅데이터 인프라와 응용시설 장비배치 개선

ㅇ 레이저 상영, 가상현실, 광학 캡처, 영상촬영, 고화질 방송, 그래픽 편집 등 첨단 문화장비의 자체 연구개발 및 산업화를 강화

문화기술 표준

연구개발 및 보급

강화

ㅇ 문화기술 표준화 체계 개선, 표준 연구개발 및 보급 강화

ㅇ 기술 특허화, 산업 표준화를 추진

ㅇ 중국 기업과 사회단체가 국제표준 제정에 참여하는 것을 권장

ㅇ 일대일로 이니셔티브 관련 정책을 이용해 문화과학기술 혁신성과의 해외진출을 추진, 문화기술 표준보급 가속화

출처: 공개 정보를 바탕으로 정리

 

관련 기술동향

 

5G+VR/AR: 레크리에이션 업그레이드 추진


  ㅇ 5G 기술이 만물을 연결하는 시대를 펼치면서 가상현실(VR)은 강한 침몰감과 연동성을 이용해 발전 잠재력이 가장 강한 분야로 부상함

   ※ 5G의 특징: eMBB(초고속), URLLC(초저지연), eMTC(대규모 사물인터넷을 연결)


  ㅇ 앞으로 5G+VR/AR은 신규 문화의 혁신발전을 촉진하고 레크리에이션 경계선을 확대하는 첨단장비가 되어 디지털콘텐츠산업의 발전을 위해 방대한 상상공간을 제공할 전망임


  ㅇ (VR/AR 시장규모) 2018년 세계 VR 단말기 납품량은 900만대, 그 중 VR과 AR가 각각 92%와 80%, 2020년 세계 VR/AR 시장규모는 1,200억 달러, 중국의 VR 시장규모는 460억 위안으로 예상됨


  ㅇ (정책) 2016년 8월 국무원은 <국가과기혁신 13.5계획>을 발표하여 인공지능(AI)과 VR 등 프런티어 기술에 대해 명확한 계획을 제시함

   - VR의 렌더링 융합, True 3D 구현, 실시간 포지셔닝 등록 등 핵심기술에서 획기적인 성과를 창출하여 공업, 의료, 문화, 엔터테인먼트 등 업종에서 전문화와 대중화 시범을 실현하여 VR/AR 산업을 육성할 것을 강조함

 

  1. ② 클라우드 컴퓨팅: 디지털콘텐츠산업의 기반기술 뒷받침


  ㅇ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로 유발된 기업 서비스 범클라우드화에 사용자 문화소비행위로 생성된 백엔드 빅데이터가 중첩되어 클라우드 컴퓨팅의 초강 메모리와 스마트 처리기술은 산업 전반 운영효율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서비스 혁신에 방대한 가능성 제공함


  ㅇ 클라우드 컴퓨팅은 디지털콘텐츠산업을 클라우드 시대에 진입시키고, 콘텐츠 생산 프로세스는 클라우드화를 실현함


  ㅇ (알리클라우드) 아마존AWS,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및 IBM과 함께 2017년 공공클라우드(IaaS)시장의 5대 메이커 중 3위이지만 시장 비중은 아마존 AWS의 1/10에 불과함


  ㅇ (시장규모) 중국정보통신연구원의 통계결과, 2017년 중국 내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규모는 700억 위안에 근접, 국제시장에 비해 3-5년간 격차가 존재


  ㅇ (정책) 정책적 요인으로 많은 기업들이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에 투입, 특히 2015년부터 4년 연속 <정부업무보고>에 편입되어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 발전, 업종 보급, 응용기반, 시장 감독규제 등에서 중요한 정책적 환경이 최적화됨

   - <국무원의 전략적 신흥산업 육성 및 발전 가속화 결정>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7대 전략적 신흥 산업에 편입시킴

   - 2017년 4월 공업정보화부는 <클라우드 컴퓨팅 발전 3년 행동계획(2017-2019년)>을 발표하여 기술 서비스, 산업 생태, 응용 정착, 안보, 환경 최적화 등 5개 차원에서 중점임무를 확정함

   - 2018년 8월 공업정보화부는 재차 <기업 클라우드 도입 추진 지침(2018-2020년)>을 발표, 2020년까지 중국 내 신설 클라우드 기업 100만개 달성 목표를 확정함

   - 중국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 관련 국가정책이 발표된 후, 지방 정부도 적극 호응하여 현지에 적합한 정책을 발표해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이 활성화 추세를 구현함

   - 전망산업연구원의 통계결과, 저장, 광둥, 산둥 등 19개 성은 2020년까지 신설 클라우드 기업 130만개를 달성할 계획임

 

인공지능: 디지털콘텐츠산업에 동력 부여


  ㅇ 2019년 정부업무보고에서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연구개발 응용을 강화하여 차세대 정보기술, 첨단장비, 바이오의약, 신에너지자동차, 신소재 등 신흥산업클러스터를 구축할 것을 제시하여‘스마트+’ 시대가 조만간 도래 전망임

 

  ㅇ (목표) 2017년 7월 국무원이 발표한 발전계획에서는 2030년까지 중국 인공지능산업의 경쟁력을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시켜 핵심산업 규모는 1억 위안 이상, 관련 산업 규모는 10조 위안 이상으로 끌어올릴 것을 제시함

 

<표4> 인공지능기술 육성 정책

시간

정책

실시주체

내용

2016.5

<‘인터넷+’ 인공지능 3년 행동 실시방안>

국가발전개혁위원회,

과기부,

공업정보화부,

중공중앙네트워크안전정보화위원회

인공지능 신흥산업 육성 확정

2016.7

<국가과기혁신 13.5계획>

국무원

차세대 인터넷 기술 연구개발 및 자연인-기계 상호작용 기술 발전

2016.9

<국가발전개혁위원회의 ‘인터넷+’분야 혁신능력 육성 전문프로젝트 신청 관련 통지>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인공지능 발전 응용문제 제시

2017.1

<모바일 인터넷 건전성 및 질서 있는 발전 촉진방안>

중공중앙판공청,

국무원

인공지능,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 신흥 핵심기술 배치 제시

2017.3

<정부업무보고>

국무원

인공지능을 최초로 정부업무보고에 편입, 전 과정은 아이플라이텍의 음성기술로 실시간 전사

2017.7

<차세대 인공지능 발전계획>

국무원

인공지능 발전에 대해 상세한 계획 제시, 정책적 지원 확정, 인공지능을 국가전략으로 격상

출처: 공개 정보를 바탕으로 정리

 

  ㅇ (전망) 2018년 중국의 인공지능 핵심산업 시장규모는 83억 1,000만 달러 이상으로, 전년대비 48.4% 증가, 2020년에는 700억 위안 달성, 발전공간이 방대함

 

블록체인


  ㅇ (정책) 블록체인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여 정부부문, 금융기관, 과기기업과 자본시장의 광범위한 주목을 받고 있으며, 중국이 세계 최대 인터넷 응용시장을 확보함으로써 현지 블록체인이 발전할 수 있는 튼튼한 지원기반을 마련함


  ㅇ (지역 분포 불균형) 중국이 확보하고 있는 블록체인 기업 439개 중 베이징 34%, 상하이 21%, 광둥 17%, 저장 10%를 차지, 경제실력이 강한 지역이 블록체인 기업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함


  ㅇ (교육) 2018년 4월 중국 내 62개 블록체인연구원(센터, 실험실)은 15개 도시에 분포, 베이징시의 관계 연구원 수는 26개(42%)로 가장 많으며, 많은 대학의 컴퓨터, 전자, 경제 등 학부는 블록체인 분야 학술연구를 진행함


  ㅇ (응용사례) 블록체인기술과 디지털콘텐츠산업이 결합, 즉 블록체인+디지털판권, 블록체인+1인미디어, 블록체인+게임, 블록체인+광고를 통해 디지털콘텐츠산업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무한한 가능성을 제공함

 

CG(Computer Graphics)


  ㅇ 컴퓨터그래픽(CG)은 2D와 3D의 2가지 유형의 그래픽이며, 그 기술은 초기에 수학 알고리즘을 이용해 2D 또는 3D를 컴퓨터 디스플레이로 전환하는 그리드 방식의 기술임


  ㅇ CG는 빠르게 PC 애니메이션, 온라인게임, 디지털영화, 온라인교육, 모바일 부가가치, 디지털퍼블리싱, 가상현실, 디지털콘텐츠 등 영역에 응용됨


  ㅇ CG 기술은 문화콘텐츠산업에 전방위적으로 개입되어 다각적으로 응용되고 있으며, 창의자의 과학기술 수준을 향상시키고, 관련 핵심기술과 응용기술 플랫폼을 제공하여 새로운 문화콘텐츠와 경제 성장동력을 배출함

 

시사점

 

  ㅇ 문화기술 산업은 중국 국가경제를 이끌어가는 새로운 성장동력이 됨. 경제적 파급효과 큰 문화산업이 발달한 기술력을 더하여 새로운 블루오션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됨

 

  ㅇ 중국은 △문화 분야 데이터의 통합 강화, △AI를 활용한 문화 콘텐츠 생산 촉진, △문화 산업 사슬과 기술 혁신체인의 연계 추진, △5G 기반 새로운 사업 영역 창출, △문화기술 중점 활용분야 개척 등을 통해 다방면적으로 문화기술 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할 전망임.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기고] 중국 문화기술(Culture Technology)의 육성 정책 및 관련 기술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