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고] 한국 기업 베트남 진출 시 회계법인을 잘 이용하는 방법
- 베트남 회계기준 내지는 세법에 따라 나름대로 독특한 처리방식 및 관습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무조건적으로 베트남 경리직원의 의견이 잘못됐다고 이해를 하거나 또는 반대로 무조건적으로 그 직원의 의견에만 의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할 것입니다. 베트남 회계처리 기준 및 세법 규정들의 정확한 이해를 위해 거래를 하시는 회계법인의 의견을 자주 구하는 것이 보다 안전하고 현명한 대처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 2019-11-13
-
- [기고] 다시 일어나는 미얀마 목재산업
- 미얀마는 세계 최대의 티크 보유국으로 다양한 목재를 생산할 수 있는 나라이다. 하지만 미얀마 정부는 계속 감소하고 있는 산림을 보존하기 위해 2014년 원목 수출을 금지하고 2017년에는 벌목을 제한했다. 그러다 2019년 6월부터 원목 수출을 일부 허가하고 금지됐던 외국기업 및 합작기업의 목재가구 수출을 허가했다. 향후 미얀마 목재산업의 성장이 예상된다.
- 미얀마
- 양곤무역관
- 2019-11-13
-
- [기고] 싱가포르 법인, 외부감사가 필요한가?
- 기업 입장에서는 외부감사를 부담스러운 규제 혹은 비용으로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에게는 올바른 회계 보고가 수반되지 않으면 장기적으로 사업 성장이 어렵다는 점을 반드시 유념하여야 합니다. 특히, 싱가포르는 원칙을 중시하는 문화가 강하기 때문에 한국보다는 외부감사인의 판단 기준이 엄격하다는 점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싱가포르
- 싱가포르무역관
- 2019-11-13
-
- 말레이시아 수산식품시장 진출 관련 참고 및 안내 사항
- 말레이시아 수산식품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말레이시아의 시장 특성을 유념해 두고 수협에서 운영하는 무역지원센터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무역관
- 2019-11-13
-
- [기고] 미얀마의 정치환경과 투자 주기
- 미얀마는 1962년 군사정권이 집권한 이후 폐쇄경제 체제를 유지하였다. 이후 2011년 최초의 선거와 함께 정권이 교체되었으며 대외경제가 개방되었다. 투자가 개방되면서 미얀마의 투자는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이후 다시 감소세를 보인다. 이후 2016년 새로운 정권이 집권할 때즈음 다시 투자가 증가하였다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미얀마 정치환경과 투자의 사이클로 보인다.
- 미얀마
- 양곤무역관
- 2019-11-12
-
- [기고] 중소기업의 대말레이시아 화장품 수출전략(1)
- 말레이시아 내 한국 화장품은 조정기를 겪고있다. 조정기의 시장상황과 새로운 전략에 대해 기술했다.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무역관
- 2019-11-12
- 댓글 : 1
-
- [기고] 보고타 시장 당선인의 공약과 관련 유망산업 전망
- 지난 10월 27일 콜롬비아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클라우디아 로페스 시장에 대한 정보 및 주요 공약, 관련 유망산업 전망을 살펴본다.
- 콜롬비아
- 보고타무역관
- 2019-11-12
-
- [기고] Start-Up Chile 기관소개 및 지원 프로그램 안내
- 스타트업 칠레(Start-Up Chile)는 칠레의 스타트업 진흥공공기관으로 전 세계 스타트업들을 대상으로 각종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스타트업 칠레의 Nicolas Vega(Head of Scouting, Acceleration Department)의 기고문을 통해 지원 프로그램의 세부 내용에 대해 알아본다.
- 칠레
- 산티아고무역관
- 2019-11-12
-
- [기고] 2020년 멕시코 연방 세법 개혁 주요내용
- 2019년 9월 8일 멕시코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 (AMLO) 대통령에 의하여 연방 국회에 제출된 2020년 연방 세법 개혁안은 동년 10월 30일 동 국회 최종 통과, 2020년 1월 1일부터 시행 예정이다. 본 기고문을 통해 연방 세법 개혁안 주요사항에 대해 알아볼 수 있다.
- 멕시코
- 멕시코시티무역관
- 2019-11-12
-
- [기고] 호주 정형외과시장, 다양한 의료보험제도의 수혜로 성장세
- 호주의 물리치료 서비스 시장은 18억 호주 달러(12억5000만 미국 달러)가량으로 꾸준히 성장하는 분야 중 하나다. 이 중에서도 정형외과는 전체 시장의 58% 가량을 차지하는 비중 있는 분야로 다양한 치료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호주 정형외과 시장의 진출을 위해서는 의료기기 인증인 TGA의 취득과 다양한 미디어를 통한 제품의 소개 그리고 새로운 기술에 대한 적극적인 교육 및 기술 지원이 필요하다.
- 호주
- 시드니무역관
- 2019-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