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대만 반려동물 사료 시장동향
  • 상품DB
  • 대만
  • 타이베이무역관 장림
  • 2020-10-22
  • 출처 : KOTRA

- 반려견·반려묘 증가 추세와 함께  반려동물 사료 수입 10년 만에 3성장 -

- 주거환경 변화, 반려동물의 가족화 추세 따라 소포장·프리미엄 제품 선호 -

 

 

 

시장규모 및 시장동향

 

  ㅇ 대만 행정원 농업위원회 ‘동물보호정보망’의 자료에 따르면, 2019년 반려견·반려묘 수는 2011년 대비 21% 증가한 230만 마리에 달함.

- 이 중 반려견 수는 153만 마리, 반려묘 수는 76만 마리

- 1인 가구 증가, 저출산 등 사회 구조 변화에 따라 전반적인 반려동물 수가 증가한 가운데 주거공간의 축소, SNS 입양 홍보 등의 영향으로 반려묘 증가가 두드러짐.

- 이런 추세에 따라 대만에서는 반려동물을 ‘털복숭이 아이(毛小孩)’로 의인화해 부르고 있음.

 

대만 반려견·반려묘 수

(단위: 마리)

: 2011~2017년 펑후현(澎湖縣), 진먼현(金門縣), 롄장현(連江縣)의 반려견·반려묘 수는 불포함

자료: 대만 행정원 농업위원회 동물보호정보망

 

  ㅇ 반려견·반려묘를 제외한 기타 반려동물 양육도 지속 증가 추세

    - 기타 반려동물 중, 물고기 수가 가장 많으며, 2015년 76만 마리에서 2020년 4% 증가한 약 80만 마리로 예상됨. 그러나 최근 주거공간의 축소로 수족관을 둘 수 있는 공간이 여유롭지 못함에 따라 반려 물고기 수 증가는 점점 둔화되는 추세임.

    - 기타 반려동물 중 빠른 증가세를 보이는 토끼, 햄스터 등 소형 포유류 수는 2015년 31만 마리 대비 2020년에는 16% 증가한 36만 마리로 예상됨. 소형 포유류가 비교적 양육이 쉬워 첫 반려동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ㅇ 반려동물 수 증가와 더불어 사료 판매 점포 수 및 사료 판매액도 성장세

    - 2019년 사료 판매 점포 수는 2015년 대비 158개 증가해 2,245개에 달했으며 매출액은 104억 대만달러 증가한 538억 대만달러(약 2.17조 원)를 기록

 

2015~2019년 동물 사료 판매 점포 수 및 판매액

(단위: , 백만 대만달러)

: 동물 사료 도매의 경우 반려동물 외에도 축산 사료도 포함

자료: 대만 재정부 통계처

 

수입동향

 

  ㅇ (전체) 최근 10년간 사료 수입 성장세 지속

    - 사료용 조제품(HS 코드 2309)의 수입규모는 2018년 3억 달러를 돌파하였으며, 10년 전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함.

    - 반려견·반려묘 사료(HS코드 230910)는 사료용 조제품 중 수입 비중이 가장 크며, 2013년부터 전체 사료용 조제품 수입의 절반 이상을 차지

 

2010~2019년 사료용 조제품 및 반려견·반려묘 사료 수입액 추이

(단위: US 천 달러)

: 반려견·반려묘 사료는 HS코드230910인 ‘소매용 개·고양이 사료(Dog or cat food, put up for retail sale)’이며, 동물 사료 전체는 HS코드2309사료용 조제품(Preparations of a kind used in animal feeding)’으로 반려동물 사료 이외 가축 사료도 포함됨.

자료: 대만 재정부 관무서

 

  ㅇ (국가별) 5대 주요 수입국 비중이 전체 사료 수입의 60% 차지

    - 대미 수입 비중이 가장 높으며 수입액 또한 지속 증가하고 있으나, 전체 수입 비중은 감소세가 이어져 2015년 1/4을 상회하던 비중이 2019년1/5로 수준으로 떨어짐.

    - 수입 2위국인 태국 수입 비중은 증가세를 이어가며 1위국인 미국과 차이를 좁혀가고 있는 반면, 3위국 프랑스의 경우 수입 비중이 하락세를 보임.

    - 대만 반려동물 사료 수입업체인 ‘PERFECT COMPANION(好侶股有限公司)’ 관계자에 따르면, 동남아 국가인 태국과 베트남은 어업이 발달하였으며 어획 제한이 상대적으로 덜 엄격하며, 대만으로의 운송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이점이 있어 수입 비중이 점점 늘고 있음. 반면, 유럽과 미국에서는 어업 보호 법령 및 어획 제한이 상대적으로 엄격하고, 가격이 높아 젊은 소비자에게 다소 부담으로 작용하여 수입 비중이 점점 줄고 있음.

 

2015~2019년 동물 사료 수입 상위 5개국 수입동향

(단위: US 천 달러)


2015년

2016

2017

2018

2019

순위

국가/금액

(비중)

국가/금액

(비중)

국가/금액

(비중)

국가/금액

(비중)

국가/금액

(비중)

1

미국/65,449

(27%)

미국/69,279

(27%)

미국/70,689

(24%)

미국/73,643

(22%)

미국/73,812

(22%)

2

태국/38,808

(16%)

태국/38,790

(15%)

태국/45,912

(15%)

태국/53,573

(16%)

태국/58,771

(18%)

3

프랑스/26,940

(11%)

프랑스/26,916

(10%)

프랑스/31,044

(10%)

프랑스/34,418

(10%)

프랑스/25,354

(7%)

4

베트남/13,771

(5%)

베트남/16,572

(6%)

베트남/16,830

(5%)

베트남/21,192

(6%)

베트남/23,794

(7%)

5

중국/13,266

(5%)

중국/13,047

(5%)

캐나다/15,200

(5%)

캐나다/17,067

(5%)

캐나다/18,897

(5%)

수입총액

242,398

254,146

287,134

326,909

326,418

: 수입총액은 HS코드 2309의 하위 품목 모두 포함

자료: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국

 

  ㅇ (대한국) 대한국 사료 수입은 10년 동안 성장세를 유지

    - 2019년 수입액은 2010년 대비 2배 성장하였으며, 2019년은 전년대비 25%가 증가하며 10년 이래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냄.

 

2010~2019년 동물 사료 대한국 수입동향

(단위: US 천 달러)

: 반려견·반려묘 사료는 HS코드230910인 ‘소매용 개·고양이 사료(Dog or cat food, put up for retail sale)’이며, 동물 사료 전체는 HS코드2309사료용 조제품(Preparations of a kind used in animal feeding)’으로 반려동물 사료 이외 가축 사료도 포함됨.

자료: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국

 

경쟁동향

 

  ㅇ 대만 반려동물 사료 시장은 수입 브랜드가 강세, 반려견·반려묘 사료는 미국 브랜드가 주도

 

  ㅇ 대만 반려동물 사료 시장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대만 업체도 사료 제조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기 시작하여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

    - 최근 몇 년 새 대만 브랜드의 성장이 두드러짐. 예로, 종합 식품기업인 ‘Fwusow Industry’는 반려견·반려묘 사료 외에 물고기, 조류 등 다양한 종류의 반려동물 사료를 판매 중이며, 대형 식품기업인 ‘Uni-President Enterprises Corp’도 반려견·반려묘 사료를 제조 및 판매하고 있음.

 

반려동물 사료 브랜드

개 사료

브랜드

/국가

사진

고양이사료

브랜드

/국가


사진

기타 반려

동물 사료

  브랜드

/국가

사진



1


Hill's Science Diet/

미국

 



1


Whiskas/

미국

 



1

Hai Feng/   대만

 



2


Pet Life/

대만

 



2


Royal Canin/

미국

 

 



2

Tetra/ 

독일

 



3


Pedigree/

미국

 



3


Hill's Science Diet/  

미국

 



3

Fwusow/   대만

 



4


Nutro Choice/

미국

  



4


Holistic Recipe Solution/  

미국

 

 



4

Azoo/

대만

 



5


Greens/

대만

 



5


Nutro Choice/

미국

 



5

Pet's Paradise/  대만

 

자료 : Euromonitor, 각 브랜드 대만 공식 홈페이지, momo 온라인 쇼핑몰

 

통관.유통

 

  ㅇ (통관) 반려동물 사료 제품 수입 시 반드시 수입 조건에 부합해야 함

    - 소매용 반려견·반려묘 사료 수입 시, 최초 수입 일로부터 30 일 이내에 대만 행정원 농업위원회의 애완동물사료신고웹사이트(寵物食品申報網站)’에 신고해야 함. 또한, 동식물방역검사국(動植物防疫檢疫局)에서 고시한 동물성 성분이 포함된 경우,  수입검사 신청 별도 필요

    - 아울러, 중국산 사료 또는 조제품은 조건부로 허용된 수입 품목 요약표 및 중국 물품 수입 관리 규정의 요구 사항을 준수해야 함. 요약표의 ‘MXX’ 코드에 해당하는 경우,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국의 수입 허가 필요

    - 물고기 등 기타 반려동물 사료 수입 시, 대만 행정원 농업위원회에 수입검사 신청 필요. 검사를 통과하면 수입등기증(輸入登記證)이 발급되며, 실제 수입 시 수입등기증 복사본 동봉 해야 함. 이와 별도로 동식물방역검사국에서 고시한 동물성 성분이 포함된 경우, 수입검사 신청 필요. 또한 중국산 사료 또는 조제품은 소매용 반려견·반려묘 사료와 마찬가지로 관련 규정의 요구 사항을 준수해야 되나, 물고기 사료는 수입이 안된다는 점 주의 필요

 

HS 코드 및 관세율

HS CODE

품명

관세율

2309

사료용 조제품

2309 상세품목 중 230910 제외 나머지 모두 무관세

230910

개나 고양이용 사료(소매용으로 한정)

2%

자료: 대만 재정부 관무서

 

ㅇ (유통) 유로모니터 2020.5월 게시된 자료에 따르면, 오프라인 상점 비중이 제일 크며 최근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전환되는 추세이나 반려동물별 보호자의 구매 경로는 조금씩 상이

  - 반려동물별 사료의 온라인 구매 비중을 비교 시 반려묘 34%, 반려견·기타 반려동물 20%로 반려묘 보호자의 온라인 구매 선호도가 높은 편

  - 보호자가 20~30대 젊은 층일수록 온라인상의 사료 추천을 많이 참고하며, 브랜드 충성도가 높지 않은 편임. 따라서 여러 정보를 제공하며 저렴한 가격을 제시하는 라이브커머스를 통한 구매가 인기

    - 반려견·반려묘 사료 정보는 인터넷을 통해 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데 반해 반려 물고기 사료 정보는 오프라인 상점, 수족관 및 전문가를 통해 공유되므로 반려 물고기 보호자는 여전히 오프라인 상점에서 사료 구입하면서 전문가 의견을 구하는 편

 

  ㅇ 반려동물 양육 방식 변화에 따라 소량 및 프리미엄 제품에 초점

    - 반려견 사료의 경우, 도시의 협소한 거주환경 및 바쁜 생활로 인해 보호자는 집을 지키는 대형견보다 소형견을 선호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소량포장 사료 제품에 관심

    - 또한, 더 많은 보호자들이 반려동물의 건강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고품질 사료를 구매하고자 함.

   

시사점

 

  ㅇ 대만 반려동물 사료 시장은 1인가구 및 고령인구가 증가와 더불어 반려동물 양육 가구가 늘어남에 따라 지속 성장 중

    - 반려동물 사료가 속한 사료용 조제품(HS 코드 2309)의 수입규모는 2018년에 10년 전 대비 3배 이상 증가한 3억 달러를 돌파

 

  ㅇ 대만 반려동물 보호자들은 점차 온라인 구매로 전환하고 있으며, 반려동물의 특성과 건강을 고려한 제품에 관심

    - 과거 반려동물은 사람이 남긴 음식이나 일반적인 사료를 먹으면 된다는 생각이 일반적이었으나 현대 사회에서는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는 보호자들이 많아지면서 반려동물의 건강을 위해 전문업체가 제조한 사료 구매가 늘어남.

    - 소량포장 및 프리미엄화가 반려동물 시장 경쟁력 확보의 관건으로 부상

    - 따라서 대만 진출 시 우선 반려동물 특성별로 다양한 제품 라인을 확보하고, 제품 특성을 강조하는 온라인 바이럴 마케팅 방식을 고려할 수 있음.

 

  ㅇ 대만 반려동물 사료 시장조사 지역별로 개최되는 B2C 반려동물용품 전시회를 참고 가능

    - 전시회명: Pets Show 2021

    - 홈페이지: https://www.chanchao.com.tw/petsshow/taipei/en/

    - 참고사항 : 타이베이, 타이중, 가오슝 등 대만 주요 도시에서 개최



자료: 대만 행정원 농업위원회, 대만 재정부 통계처, 대만 경제부 통계처, 대만 재정부 관무서,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국, 유로모니터, Business Today(今周刊), udn대만 연합뉴스(聯合報), Expert in Identifying Trends & Deriving Insights(時勢股有限公司), 각 브랜드 공식 홈페이지, momo 온라인 쇼핑몰, 무역관 자체 조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대만 반려동물 사료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