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의료용 주사기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광저우무역관
  • 2020-10-12
  • 출처 : KOTRA

- 코로나19 백신이 출시될 경우 주사기 수요 대폭 급증 예상 -

- 코로나19로 의료기자재 중요성 인식, 중국 의료기기 시장 확대에 따라 주사기 시장규모도 급증할 전망 -




□ 상품 개요

 ㅇ 상품명: 주사기(바늘이 부착되었는지에 상관없다)

 ㅇ HS Code: 9018.31(광학·측정·정밀·의료기기)


 시장 동향

 ㅇ 중국의 의료기기 중 소비량 1위가 주사류 의료용품임.

   - 프로스트 앤 설리번(Frost & Sullivan) 컨설팅사의 자료에 따르면, 중국 의료용 주사류(Puncture Instrument) 기자재의 시장 규모는 연평균 10.6%로 성장하였으며, 또한 주사류 의료용품은 전체 의료용품 중 소비량 1위를 기록함.


 중국 주사류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지속적 상승 중임.

   - <2019년 중국 의료기기 백서(国医疗器械蓝皮书2019)>에 따르면 중국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2015년부터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0년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약 21.99% 증가하여 총 7765억 위안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

   - 또 이 중 주사기만 놓고 보면,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중국의 의료용 주사기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은 9.42%로 급격히 성장 중임. 2017년 주사기 시장 규모는 396억 위안이었고 2021년에는 569억 위안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됨.


2015년 - 2020년 중국 의료기기 시장 규모 (단위 : 억 위안)


자료: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


중국의 주사용 의료용품 시장규모 (단위 : 억 위안, %)

자료: 国产业信息网(중국 산업 정보망)


중국의 주사류 의료기기 지역별 비중

   - 지역별로 살펴보면 중국의 화동(华东) 지역이 30.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화북(华北), 화남(华南) 지역은 각각 22.2%, 18.6%로 나타났고 서부(西部), 화중(华中), 동북(东北) 지역은 12.3%, 11.7%, 5.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화동, 화북 등 중국에서도 인구가 밀집한 지역일 수록 상기 비중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음.


중국의 의료용 주사기 지역별 비중 현황

자료: 중국 의료기기 산업 발전 보고서 (国医疗器械行业发展报告(2018)》)

 

 경쟁동향 및 주요기업


 ㅇ 주사기의 경우 BD 등 글로벌 기업 제품의 시장 점유율이 우위, 그러나 로컬 제품도 비교적 선전 중 

   - 중국 현지 웨아가오(威高), 강더라이(康德) 등 로컬 기업은 글로벌 대형 의료용품 기업, 특히 미국 BD에 비하면 기업규모도 작고 영업이익에서도 비교할 수 없음.

   - 그러나 중국 시장에서는 가격 등에서 로컬 제품이 우위를 점하고 있어, 중소형 병원 등지에서는 로컬 제품이 쓰이기도 함.


중국의 주사류 의료용품 주요 기업

기업 Logo

기업명

주사기 제품

제품 사진

국가

BD(Becton,Dickinson)

1회용 무균(无菌) 주사기, 정맥 안전 정맥(静脉)  내유치(留置) 주사기

 

 

미국

강더라이(康德)

1회용 무균(无菌) 주사기

중국

웨이가오(威高)

인슐린(insulin) 주사기, 1회용 무균(无菌) 주사기,

중국

홍다()

 

1회용 무균(无菌) 주사기

중국

베이푸

(贝普)

인슐린(insulin) 주사기

중국

 

슈광지엔쓰(曙光健士)

1회용 정맥 주사기, 저 항력(低阻力) 주사기

중국

스안씬

(鑫医疗)

AD(자체파괴형) 주사기, 1회용 무균(无菌) 주사기

중국

테루모(TERUMO)

1회용 정맥(静脉) 내유치(留置) 주사기

일본

자료: 기업 공식 사이트


2019년 주사기 관련 중국 로컬브랜드와 글로벌 주요 기업간 영업이익 현황 (단위 : 억 위안)

자료: 国产业信息网(중국 산업 정보망)


 수입 동향


 ㅇ 최근 3년간 수입 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액

   - 최근 3년간 중국의 의료용 주사기 수입액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주로 침이 없는() 주사기 및 AD(자체파괴형) 주사기 등 고급 의료용 주사기를 수입함.


주요 수입국 현황 (HS Code 901831기준) (단위: 천불, %)

순위

국가 명

2017

2018

2019

 

총계

195,550

215,070

228,510

1

미국

84,845

87,238

90,578

2

멕시코

12,217

20,576

33,509

3

독일

22,949

23,335

23,250

4

코스타리카

8,080

10,588

16,066

5

스페인

8,998

8,934

13,656

6

스위스

18,075

15,194

7,452

7

프랑스

3,205

6,610

6,616

8

한국

3,222

4,300

5,389

9

영국

3,104

5,876

4,781

10

덴마크

5,334

3,732

4,696

자료: KITA


ㅇ 대 한국 수입액 추이

최근 5년간 중국의 주사기 대한 수입액 추이 (단위: 천불, %)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금액

4,735

1,841

3,222

4,300

5,389

증감률(%)

185.2

-61.1

75

33.4

25.3

자료: KITA


 ㅇ 관세율

HS Code

상품명

관세

WTO

협정관세

증치세 

일반

MFN

한중

FTA

9018.31

주사기(바늘이 부착되었는지에 상관없다)

50%

8%

3.2%

13%

13%

자료: KITA, 중국해관(国海关)


 ㅇ 인증 요건

   - 중국 의료기기 감독관리 법규에 따르면, 의료기기는 총 3가지 등급(1, 2, 3등급)으로 분류

   - 인체 삽입 의료기기라  3급 의료기기에 속함.

   중국에서 해당 제품을 판매하려면 NMPA에서 의료기기 등록증(医疗器械注册证)을 취득해야 함

  - 중국 의료기기 인허가 절차: 사전준비, 제품분류확정 → 중국대리인 지정 → 등록서류 작성 → 제품 시험 → 임상자료 작성(혹 임상 시험) NMPA 등록자료 제출 → NMPA 기술문서 심사, 보완 통보 → 의료기기 등록증 취득


□ 광둥성 의료기기 전문유통업체 S사 L주임과의 인터뷰

 

ㅇ L주임은 인터뷰에서 "코로나 백신이 출시되면 의료용 주사기에 대한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이라며, "중국 정부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각 병원마다 예비용 의료제품을 비축하도록 권고하고 있고, 이에 따라 주사기, 호흡기, 병상 등 코로나19 사태 초기 당시 부족하여 고생한 의료제품 위주로 각 병원들이 비축하려는 예비용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라고 언급함. 아울러, "전체 의료용 주사기 시장 규모 자체가 증가할 것이 예상되므로, 한국산 브랜드도 충분히 판로를 개척해 시장판매량을 늘릴 여지는 충분하다"고 덧붙임.


 시사점


 ㅇ 코로나 백신 개발 후 주사기 수요는 폭증할 것으로 전망

   - 미국, 영국, 중국 등 주요 국가에서는 코로나 백신을 선두개발 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음. 이는 코로나 백신에 대한 전세계적인 수요가 매우 크고, 시장 규모도 엄청날 것으로 보이기 때문임.

   - 코로나 백신이 출시되자마자 엄청난 수의 인구가 백신접종을 희망할 것이며, 이에 따라 각종 주사기의 수요는 천정부지로 치솟을 것으로 보임.


 ㅇ 의료기기 수입 확대에 따라 주사기 수입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

   - 백신에 따른 수요 이외에도 기본적인 의료기기에 대한 중국 내 수요는 지속 증가할 것으로 보임. 코로나19 당시 의료기기 부족, 병상 부족으로 제때 환자를 치료하지 못해 많은 인명이 희생된 만큼, 중국은 정부차원에서 의료기기를 각 병원마다 상시적으로 배치할 것을 권고하고 있음.

   - 호흡기, 맥박 체크 기기 이외에도 주사기도 중요한 상시 비치 의료용품에 해당하는 만큼, 상기 정부의 권고에 따라 병원별 주사기 수요는 급증할 것으로 전망됨.

   - 의료용품의 경우 로컬 제품이 가격적인 측면에서는 우위이나, 품질 및 위생 등 비가격적인 부분에서는 해외 의료선진국의 제품에 비해 낮은 수준이며, 의료용품의 경우 일반 소비재와는 달리 비가격적 요소가 매우 중요한 만큼 해외제품에 대한 수입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임. 이 경우 K-방역 등으로 전세계에 우수함을 알린 국내 의료수준을 고려, 국내기업의 주사기에 대한 수입수요 또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자료:  KITA, 중국해관(国海关), 중국 의료기기 백서(国医疗器械蓝皮书), 소후망(搜狐), 지엔컨설팅(研咨询), 중국 의료기기 산업 발전 보고서(《国医疗器械行业发展报告(2018)》),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 광저우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의료용 주사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