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인도 화장품 시장동향
  • 상품DB
  • 인도
  • 암다바드무역관 임태형
  • 2019-12-02
  • 출처 : KOTRA

- 소득향상 및 생활패턴 변화와 함께 시장 전망 유망   -  

- K-beauty에 대한 인지도 확산 속 온라인 마케팅과 제품 프리미엄화에 신경써야   -

 



상품명 및 HS Code


  ㅇ 입술 화장용 제품류(HS Code 3304.10)


  ㅇ 눈 화장용 제품류(HS Code 3304.20)


  ㅇ 매니큐어용 제품류와 페디큐어용 제품류(HS Code 3304.30)


  ㅇ 가루 및 기타 화장용 제품류(HS Code 3304.91, 3304.99)

 

인도 화장품 시장 규모 동향

 

  ㅇ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인도 내 뷰티제품 시장 규모는 2018년 기준 약 137억 달러 규모이며, 연 9% 대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

    - 인도 내 화장품산업은 소비재 중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분야로써 큰 잠재력을 보유

    - 뷰티산업의 빠른 성장과 함께 인도 내 기업들의 경쟁이 가속되고 있으며, 많은 외국 브랜드들도 인도로 진출하고 있음.

 

  ㅇ 인도 색조 화장품 시장 규모는 2018년 기준 약 11억 달러 규모로 전년대비 14.7% 성장

    - 색조 화장품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립(lip) 제품이며, 이후 페이셜(facial) 메이크업, 아이(eye) 메이크업, 네일(nail) 제품 순

 

인도 색조화장품 시장 규모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시장 규모

증감률

시장성장 전망

Lip Products

611

14.3

13.4

Facial Make-Up

163

16.5

15.8

Eye Make-Up

162

16.1

15.6

Nail Products

154

13.8

13.1

자료: EUROMONITOR

 

  ㅇ 인도 화장품산업의 성장 가능성은 다음과 같은 요인을 중요 요소로 꼽을 수 있음.

    - 인도 내 가처분 소득의 증가와 지방 도시들의 생활수준 향상 그리고 서구 문화에 대한 관심 증가

    - 외국 문화의 빠른 유입과 해외 직구의 편리성 증가, 소셜 미디어를 통한 정보 전파 확대, 신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 등 라이프 스타일의 글로벌화

    - 외국브랜드의 시장 유입 증가, 중소 도시 내 판매점 확대, 빠르게 진화하는 판매전략과 유통채널 등


수입동향

 

  ㅇ 인도의 HS Code 3304류(미용이나 메이크업용 제품류와 기초화장용제품류) 수입동향

    - 2018년 기준 인도의 미용이나 메이크업용 제품류 및 기초화장용 제품류의 수입액은 1억9000만 달러로 전년대비 43.5% 증가

    - 금액 기준 주 수입국은 중국, 독일, 프랑스, 미국 등이며 이 중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전년대비 96.5% 증가한 5200만 달러 규모

    - 한국은 전년대비 48.5% 증가한 710만 달러를 수출하면서 인도 내 수입시장 9위를 차지   

 

  ㅇ HS Code 3304류 중에서는 뷰티 메이크업(HS Code 3304.99 및 3304.91) 품목의 수입 비중이 높으며, 립 제품(HS Code 3304.10)과 아이 메이크업(HS Code 3304.20) 제품 순

    - 인도로 수출되는 한국 제품도 뷰티 메이크업 제품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2018년 기준 인도 수출액은 700만 달러 규모로 전년대비 48.9% 증가

 

인도의 HS Code 3304류 국별 수입액

(단위: 달러, %)

국가

수입액 (달러)

증감률

2018/2017

2016

2017

2018

1. 중국

16,774,790

26,809,470

52,672,575

96.5

2. 독일

10,984,861

13,896,329

16,155,982

16.3

3. 프랑스

14,419,055

14,268,797

15,438,557

8.2

4. 미국

14,458,683

16,886,823

13,795,373

-18.3

5. 벨기에

5,360,613

7,931,149

12,140,749

53.1

6. 영국

7,326,215

8,352,545

11,167,504

33.7

7. 이탈리아

5,691,299

6,315,821

9,345,779

48.0

8. 태국

6,284,256

8,069,936

7,369,727

-8.7

9. 한국

2,189,990

4,777,229

7,095,724

48.5

10. 싱가포르

486,668

300,791

6,049,062

1911.1

총계

104,041,818

132,583,061

190,215,795

43.5

자료: Global Trade Atlas

 

인도의 HS Code 3304.10류(입술 화장용 제품) 국별 수입액

(단위: 달러, %)

국가

수입액 (달러)

증감률

2018/2017

2016

2017

2018

1. 중국

4,853,946

9,360,092

14,716,555

57.2

2. 독일

1,805,460

3,436,976

4,362,489

26.9

3. 벨기에

1,020,991

1,855,360

3,475,865

87.3

4. 이탈리아

525,361

539,991

2,054,679

280.5

5. 미국

1,100,082

2,314,851

1,386,898

-40.1

6. 폴란드

268,821

411,564

1,061,198

157.8

7. UAE

4,865

17,655

979,290

5,446.8

8. 영국

423,351

581,046

591,032

1.7

9. 체코

359,727

469,434

567,363

20.9

10. 프랑스

960,256

1,150,592

566,326

-50.8

19. 한국

14,351

105,786

39,840

-62.3

총계

12,556,470

21,606,191

32,245,034

49.2

자료: Global Trade Atlas

 

인도의 HS Code 3304.20류 (눈 화장용 제품) 국별 수입액

(단위: 달러, %)

국가

수입액

증감률

2018/2017

2016

2017

2018

1. 중국

3,279,141

5,239,051

11,688,043

123.1

2. 독일

4,970,236

5,598,841

5,846,705

4.4

3. 벨기에

865,987

1,164,720

1,599,041

37.3

4. 미국

621,567

1,691,137

1,446,304

-14.5

5. 이탈리아

369,752

273,727

1,141,630

317.1

6. 폴란드

104,851

428,511

904,495

111.1

7. 싱가포르

501

1,096

774,204

70,539.1

8. 프랑스

577,713

642,495

694,184

8.0

9. UAE

6,376

9,114

501,939

5,407.3

10. 태국

342,683

519,343

481,660

-7.3

22. 한국

10,833

15,565

41,269

165.1

총계

12,283,506

17,258,846

27,502,920

59.4

자료: Global Trade Atlas


인도의 HS Code 3304.30류(매니큐어용와 페디큐어용 제품) 국별 수입액

(단위: 달러, %) 

국가

수입액 (달러)

증감률

2018/2017

2016

2017

2018

1. 미국

136,256

134,181

195,195

45.5

2. 영국

41,789

102,098

114,414

12.1

3. 이탈리아

40,290

33,575

91,009

171.1

4. 폴란드

196,356

33,746

69,237

105.2

5. 프랑스

142,767

219,562

55,562

-74.7

6. 터키

-

-

34,389

-

7. 벨기에

528

26,462

27,055

2.2

8. UAE

4,293

403

23,593

5,754.3

9. 스위스

-

25,774

21,938

-14.9

10. 독일

7,004

37,346

15,359

-58.9

27. 한국

2,601

80

-

 -

총계

645,835

686,773

661,206

-3.7

자료: Global Trade Atlas


인도의 HS Code 3304.91 및 3304.99류(가루 및 기타 화장용 제품) 국별 수입액

(단위: 달러, %)

국가

수입액 (달러)

증감률

2018/2017

2016

2017

2018

1. 중국

8,640,426

12,182,064

26,266,193

115.6

2. 프랑스

12,738,320

12,256,147

14,122,485

15.2

3. 미국

12,600,778

12,746,654

10,766,977

-15.5

4. 영국

6,522,500

7,233,757

10,036,687

38.7

5. 벨기에

3,473,108

4,884,607

7,038,788

44.1

6. 한국

2,144,365

4,699,549

6,996,388

48.9

7. 태국

5,324,092

6,874,698

6,495,200

-5.5

8. 이탈리아

4,755,896

5,468,527

6,058,461

10.8

9. 독일

4,202,161

4,823,166

5,931,429

23.0

10. 싱가포르

474,870

299,442

4,965,028

1,558.1

총계

78,556,006

93,031,252

129,806,635

39.5

자료: Global Trade Atlas


경쟁동향 주요 기업

 

  ㅇ 전통적으로 글로벌 기업 또는 외국투자기업이 인도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Hindustan Unilever, L'Oréal India 등을 꼽을 수 있음.

    - 이외에도 Gillette India, Johnson & Johnson(India), Reckitt Benckiser(India)와 Procter & Gamble Home Products 등이 인도에서 시장 점유율을 확대 중

    - 2000년 이전 인도 시장에 주요 기업으로는 Lakme, LOTUS, Loreal, Maybelline, Himalaya 등이 있었으며 이후 2015년까지 Colorbar, Forest essentials, Avon, MAC 등의 브랜드가 시장에 소개됐음. 2015년부터는 프랑스 화장품 체인 Sephora, 스위스 천연제품 브랜드인 Labiocos, 메이크업 제품으로 특화된 미국의  Bodyography 그리고 가성비 있는 스킨케어제품 브랜드인 Za Cosmetics이 시장에 진입

 

연대별 인도 화장품 시장 진출 주요 기업

자료: RedSeer Consulting

 

  ㅇ 2018년 기준 인도 색조화장품 시장 점유율은 Hindustan Unilever가 16.9%로 제일 높으며, 뒤를 이어 L'Oréal India (8.8%) > Elca Cosmetics(3.6%) > Colorbar Cosmetics(3.2%) > Oriflame India(3.2%) 순

    - 브랜드 점유율로는 Lakmé이 11.8%로 가장 높으며, Maybelline (6.1%) > Elle 18 (5.2%) > Colorbar (3.2%) > Mac (2.8%) > L'Oréal Paris (2.7%) > Oriflame Beauty (1.8%) 순

 

  ㅇ 인도 기업들은 천연제품, 허벌제품 그리고 아유르베딕 제품을 앞세워 시장을 공략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인도 기업들로는 Godrej Consumer Products, Dabur India, Marico, Wipro Consumer Care & Lighting, Emami,  Patanjali Ayurved 등을 꼽을 수 있음.

 

유통구조 관세율, 인증

 

  ㅇ 인도 내 화장품 유통은 과거 백화점, 드럭 스토어(drug store), 방문판매에서 시작해 점차 슈퍼마켓, 아울렛 등으로 진화됐으며 현재는 온라인 쇼핑, 뷰티샵 등으로까지 확대

    - 특히 2015년 이후에는 인터넷 쇼핑이 더욱 활성화되고 블로그를 통한 고객 트렌드 선도, 해외 직구 증가, 전문가에 의한 새로운 미용 기술 전파 그리고 미용 전문 살롱에서의 전문적인 관리를 통한 소매 채널 확장이 이뤄짐.

 

연대별 인도 화장품 유통채널 확장

자료: RedSeer Consulting


  ㅇ 현재 인도 화장품 시장은 여러 유통 채널 중에서 슈퍼마켓과 같은 잡화점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드럭스토어와 화장품 전문 매장과 같은 유통 채널의 비중이 확대 될 것으로 예상되며 최근 Amazon, Flipkart, Nykaa 등과 같은 전자상거래 플랫폼 확대에 따라 온라인 판매도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

 

  ㅇ 화장품은 CEPA 양허대상 품목으로 CEPA 협정세율 적용 시 0%의 기본관세율이 적용되며, 미적용시에는 20%의 기본관세가 부과

    - CEPA 적용 시 세율은 기본관세율(BCD) 0% + 내국소비세(IGST) 18%로 총 18%의 관세율이 부과

    - CEPA 미적용 시에는 기본관세율 20% + 사회보장가산세(SWC) 10% + 내국소비세 18% 등이 부과

 

  ㅇ 인도 내 화장품의 제조, 유통, 판매, 수입은 Central Drug Standard Control Organization(CDSCO)의 관리하에 있으며, 관련 규정 ‘Drug and Cosmetic Act 1940 & Rules 1945’에 따름.

    - 2013년 4월부터 인도 내 판매를 위해 수입되는 모든 화장품은 의무적으로 Central Drugs General(DCGI)에 등록을 해야 함.

    - 인도 내 제조시설이 없고 수입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사업자는 등록증(Registration Certificate)을 발급받아야 함. 이를 위해 신청서(Form 42)와 각종 첨부서류를 작성해 DCGI, CDSCO, 인도 식품 및 약품관리부(FDA)에 제출해야 함.

 

  ㅇ 제품 라벨에는 브랜드 및 상표에 대한 CDSCO 등록번호와 등록증을 발급 받은 회사의 이름과 주소가 기재돼야 하며 제조자의 이름 및 주소, 제조국가 또한 포함돼야 함.

    - 제품상 라벨(스티커)의 부착은 수입 후 등록국(Licensing Authority)에 소정의 양식과 함께 신고한 장소에서 수행

    - 등록증을 받은 이후 제품 사양, 재료 등의 사항이 변경될 경우 신청자는 수입일 최소 30일 전에 수정된 첨부서류(Schedule D Ⅲ)를 등록국에 제출해야 함.

 

시장트렌드 전망

 

  ㅇ 인도 내 화장품 시장은 외국 브랜드에 대한 높은 선호도가 있으며 Hindustan Unilever, L' Oréal India, Colgate –Palmolive India등의 글로벌 기업들이 시장을 선도해 옴.

    - 특히 색조화장품의 경우 Hindustan Unilever의 Lakmé 브랜드가 강세를 보여왔으며, 색조화장품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확대될 뿐만 아니라 제품라인이 확대되고 있음.

    - 또한 L' Oréal India는 Maybelline 브랜드를 도입하며, 프리미엄화가 진행되는 인도 색조화장품 시장을 선도하고 있음.

 

  ㅇ 최근 인도 내 스킨케어 분야는 천연성분을 바탕으로 한 제품들이 큰 인기를 끌고 있음.

    - 해조류 추출물, 바다소금 등 미네랄 성분을 주 원료로 한 제품이 인기가 있으며, 외국계 브랜드들은 고가 스킨케어 분야에서 이국적인 성분들을 많이 사용하면서 브랜드 점유율을 높이고자 함.

    - 인도 내 토종 기업으로는 Patanjali, Godrej Consumer Products, Dabur India, Marico, Wipro Consumer Care & Lighting, Emami 등이 있음.

 

  ㅇ 한국 화장품은 뷰티와 스킨케어 제품 중에서 최고로 꼽히고 있는데 이니스프리, 더페이스샵, 잇츠스킨과 같은 대표적인 한국 화장품 회사가 인도 시장에 진출

    - 이니스프리는 인도 시장에 처음으로 100% 직접외국인투자로 진출했는데 화학성분이 없는 천연제품을 선호하는 시장 트렌드를 반영해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

    - 최근 한국산 화장품에 대한 인도 소비자들의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면서 시장점유율도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

 

인도 주요 색조화장품 및 스킨케어 제품

제품사진

제품명 및 특징

 ㅇ Lakmé 9 to 5 Primer

  - 커리어 우먼을 겨냥한 제품 콘셉트으로 오랫동안 인기를 누리고 있음. 

  - 가격: Rs. 500(1Rs=약 170원)

 ㅇ Lakmé 9 to 5 Weightless Mousse Lip and Cheek Color

  - 무게감 없는 Lakmé 브랜드의 립 제품으로 뺨에도 사용가능하며, 10가지 색상 제공

  - 가격: Rs. 625

 

 ㅇ Maybelline Blushed Nudes Palette

 - 12가지 색조로 다양한 상황에 다른 모양 연출   

 - 가격: Rs. 599

 

 ㅇ L’Oreal Home Make Up Eye Mascara

 - 브러시에 여러 가지 강모가 있어 속눈썹 효과 연출

 - 가격: Rs. 672

 

 ㅇ 3CE Back To Baby BB Cream

 - 제품 이름처럼 아기피부와 같이 부드러운 피부를 갖을 수 있도록 도와주며, 피부를 광나게 해주는 수분 성분이 있음.

 - 가격: Rs. 2,057

 

 ㅇ Kocostar Long Hair Pack

 - 샤워하는 동안 15분만 투자하면 멋진 헤어를 가질 수 있는 효과적인 헤어팩 제품으로 가성비가 뛰어나다고 평가

 - 가격: Rs. 568

 

  ㅇ The Face Shop Chia Seed No Shine Intense Hydrating Cream 

 - 치아씨와 면화씨 추출물이 함유 된 굉장한 수분 보충 크림 

 - 가격: Rs. 1,900

 

 ㅇ Innisfree The Green Tea Seed Serum

 - 녹차 추출물을 통해 피부에 영양을 공급

 - 가격: Rs. 1,950

 자료: 기업별 웹사이트 및 쇼핑몰

 

  ㅇ 한국 화장품의 가장 큰 강점은 성분과 우수한 품질에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천연성분을 바탕으로 한 제품 특성이 인도 소비자들에게 어필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

    - 한국 화장품은 전 세계적으로 시장 진출해 판매되고 있으나 인도 시장의 경우 새로운 가능성이 높기에 시장전망이 매우 밝음.

    - 인도 시장에서 한국산 제품을 판매하고 있는 Limese Mr. Kaushal Shah, COO미국에서 가장 팔리는 한국 브랜드를 조사하고 인기와 효과를 반영해 인도 시장에 한국 제품을 소개한다며, ‘인도 소비자들의 가격에 대한 민감한 부분 고려해야 한다고 언급

    - 그는 자체 브랜드외에 한국의 9 브랜드를 취급하고 있는데 제품이 CDSCO 인증을 취득하는데 3개월이 소요된다며, 시장진출에 대한 사전준비도 철저히 해야 한다고 조언

 

시사점

 

  인도 화장품 시장은 잠재력이 매우 높은 시장으로 한국 기업의 진출이 유망한 시장

    - 과거 인도의 열악한 유통인프라로 소비자의 접근성이 제한되고 유통비용도 많이 소요됐으나 현재는 오프라인은 물론 온라인 시장까지 급속히 성장

    - Amazon, Flipkart 같은 종합 온라인 쇼핑 채널 외에도 Nykaa, Jabong, Myntra 뷰티 패션 전문 쇼핑채널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 온라인을 통한 인도 시장 진출도 유망

    - 또한 여러 블로거들이 한국 화장품의 수요를 직접적으로 이끌고 있는데 구독자들은 새로운 제품에 대한 리뷰나 피부타입에 맞는 성분 등에 대한 조언을 따르고 있어 이를 활용한 마케팅도 고려 필요

 

  ㅇ 천연성분의 화장품이 트렌드를 이루고 있고 첨단 기술을 통한 제품생산에 대한 인도 소비자들의 기대도 높음.

    - 이는 한국 브랜드들이 현지 시장에서 하고 있는 요소이며, 시장 진출에 장점으로 작용

    - 혁신적이고 흥미로운 제품포장과 피부가 가장 중요한 미용관리 수단으로 피부 수분관리에 중점을 두는 한국적인 접근도 인도 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는 중요한 포인트로 평가

 

  효과적인 인도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현지 시장에 밝은 바이어, 유통업체 발굴이 중요

    - 인도 시장에서 화장품 스킨케어 제품 판매를 위해서는 CDSCO 인증이 필수이며, 인증획득 이후에도 후속적인 조치들이 필요

 

  인도 뷰티산업은 소비자들의 생활패턴 변화, 여성의 구매력 향상 미용제품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잠재력도 매우 높은 시장임.

    - 인도 소비자들은 가격에 민감해 가성비를 중요시하지만 소득증가와 함께 고급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제품의 프리미엄화 전략도 유효할 것으로 평가

 


자료: EUROMONITOR, GLOBAL TRADE ATLAS, The Associated Chambers of Commerce & Industry of India, RedSeer Consulting, India Brand Equity Foundation, Central Drugs Standard Control Organisation 등 KOTRA 암다바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 화장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