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아르헨티나에 화장품 용기 시장동향
  • 상품DB
  • 아르헨티나
  • 부에노스아이레스무역관 이진성
  • 2019-11-13
  • 출처 : KOTRA

 - 아르헨티나, 화장품시장 유망-

- 타국 제품과 차별되는 高품질 위주 시장개척 필요 -




□ 화장품 용기 (HS Code : 392300)


 ㅇ 아르헨티나가 생산하는 화장품의 경우 대부분 원료 및 기타 자재를 수입하여 제조하는 것임.

   - 원료를 수입해 현지에서 완성하는 구조며, 대다수의 제조업체가 이 방식을 택하는 것으로 나타남 (100% 아르헨티나 제품이 거의 없음)


 ㅇ 특히, 아르헨티나에서 생산되는 화장품 용기의 경우 제품의 질이 낮고 생산량이 적어 수입량이 점차 증가 하는 추세임.

   - 가격이 저렴한 중국제품 및 지리적 강점(물류비 절감 등)으로 가격 경쟁력이 우수한 브라질제품이 많이 수입되고 있으나, 제품의 질을 중요시하는 바이어들은 한국제품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상황임.


□ 아르헨티나 화장품 용기 시장 현황


 ㅇ 아르헨티나 화장품 시장은 불안정한 경기 상황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성장하고 있음.

   - 아르헨티나는 남미시장에서 브라질과 칠레 다음으로 화장품 사용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국가이며, 2017년까지 연속으로 3~5%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었음.

   - 2018년 하반기에 경기 침체로 인해 감소세를 띄었으나, 그 정도는 미미하며 경기 안정 시 빠른 속도로 재성장 가능한 시장임.
  

 ㅇ 아르헨티나에서 화장품 용기를 만들 때 주로 플라스틱, 유리 재질 등을 사용하고 현지에서는 생산이 많이 되지 않는 품목이기 때문에 가격이 높은 품목 중 하나임.

   - 아르헨티나에서 packaging 제품의 생산량의 대부분이 paperboard 재질 (28%) 및 유리(32%)며, 플라스틱과 나무 재질은 각 25%, 11%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음

   - 제조하여 수출하는 기업도 존재하나, 원료 수입 후 제조를 해야하는 기업 입장에서는 생산 비용이 너무 높아졌다는 입장임

   - 높은 인플레이션과 급격한 공공요금 상승도 기업들의 생산 비용을 높이는 데 기인함


 ㅇ 이에 따라 저렴한 플라스틱 용기 수입량이 높았으나, 퀄리티를 중시하고 eco-friendly 제품이 인기를 끌기 시작하면서 품질 좋은 제품의 유입이 증가

   - 소비자 성향이 바뀜으로 인해 현지 바이어들의 선호도도 바뀐 것으로 예상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ㅇ  화장품 용기를 따로 나누는 Hs code가 없어 플라스틱 용기 기준 수입 동향 정리


 ㅇ  수입은 ’18년 기준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으나 이는 브라질 및 중국제 수입이 40% 가까이 성장하며 이룬 성과로 판단됨.

   - 동 품목 브라질 수입 점유율은 30%로, 그 뒤를 이어 중국이 18%, 칠레 및 우루과이가 가 각 7% 점유하고 있음.

   - 브라질과 우루과이 수출 증가는 남미공동시장의 유리한 관세율을 이용한 것으로 파악되며, 대외국으로 처리되는 국가의 경우 경쟁력 있는 가격이 가장 중요 포인트로 간주됨


< 2016~2018 화장품 용기 (HS CODE 3923.00) 국가별 수입추이 >
(단위 : USD, %)

순위

국가

2016

2017

2018

금액

점유율

증감률

1

브라질

32,981,411

34,121,016

40,937,011

30.25

19.98

2

중국

21,206,281

21,306,655

25,143,295

18.58

18.01

3

칠레

11,615,236

12,372,515

10,127,945

7.49

-18.14

4

우루과이

7,476,552

8,175,549

10,054,857

7.43

22.99

5

미국

13,345,574

10,656,076

9,192,455

6.79

-13.74

6

독일

7,130,441

6,828,844

6,979,867

5.16

2.21

7

파라과이

3,286,997

4,167,448

4,232,022

3.16

1.55

8

프랑스

1,094,228

2,100,820

3,655,370

2.70

74

9

멕시코

4,924,640

3,327,956

3,428,161

2.53

3.01

10

이탈리아

4,026,486

3,076,635

2,504,013

1.85

-18.61

-

대한민국

666,605

369,870

532,699

0.39

44.02

총계

122,787,960

121,392,477

135,307,247

100

11.46

자료원 : GTA(Global Trade Atlas)


 ㅇ 2019년 9월까지 통계를 확인해 보면 수입량이 현저히 떨어짐을 확인해 볼 수 있음

   - 이는 급격히 가치하락을 겪은 페소화로 인해 전체적인 수입량 감소*의 일환으로 나타남

     * ’19년 9월 작년 동기대비 전체 수입량 27% 가량 감소함

   - 이후 경기 완화시 수입량 충분히 증가할 가능성 있음


< 2019.01~09 화장품 용기 (HS CODE 3923.00) 국가별 수입추이 >

(단위 : USD, %)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증감률

1

브라질

24,626,526

30.34

-21.53

2

중국

14,691,271

18.10

-26.50

3

미국

6,847,158

8.44

-2.23

4

우루과이

5,819,222

7.17

-24.20

5

칠레

5,343,761

6.58

-24.53

6

독일

4,801,360

5395

-21.70

7

멕시코

2,572,020

3.17

-12.59

8

파라과이

2,491,013

3.07

-8.23

9

프랑스

1,538,717

1.90

-47.57

10

콜롬비아

1,517,782

1.87

-3.56

-

대한민국

158,857

0.20

-68.19

총계

81,155,594

100

-22.63

 자료원 : GTA(Global Trade Atlas)


□ 아르헨티나 화장품 용기 시장 경쟁 동향


 ㅇ 아르헨티나에서 제조되는 양은 많이 없으나 중국, 브라질 등 가격 경쟁력이 높은 국가들의 시장 점유율이 높은 상황

   - 브라질의 경우 남미공동시장의 회원국으로 관세와 통계세가 부과되지 않고 있어 총 수입자 부담 세금의 약 30%정도 차이가 있음

   - 대내세의 경우 이후 환급이 가능하지만 수입시 경제적 비용이 발생, 현재와 같은 불안정한 경기상황에서는 반가운 일이 아님

   - 중국의 경우 바이어들의 인식이 기본적으로 저렴한 품목임을 알고 있어 나라에 대한 충실도가 높은 경향이 있음


 ㅇ 소비자들의 인식이 변화하고 있음을 파악하고 퀄리티가 높은 제품이나 Eco-friendly, Cruelty free 등의 품목으로 진입 시 경쟁가능성 있을 듯

   - 가격이 낮은 제품을 선호하는 일반적인 바이어 보다는 퀄리티나 제품 아이덴티티를 중시하는 기업과의 컨택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됨


□ 유통구조


 ㅇ 대부분의 용기는 현지에서 화장품 원료, 자재 등을 수입하는 도매 유통업체가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원료와 용기를 사용하는 고객층이 같아 함께 납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스톡구매를 진행하여 수출업체 입장에서는 조금 더 빠른 실적 달성이 가능한 경우임

   - 또한 일반 트레이딩 업체와의 거래도 진행하는 등 조금 더 flexible한 거래를 진행하는 경향이 있음 

   - 하지만 대부분 가격에 의존하여 수입하는 경우가 많음
 

 ㅇ 일부 화장품 제조업체(LAB)에서도 생산비용을 낮추기 위하여 직접 진행하기도 함 (대부분 일반 기업보다 큰 업체)

   - 동 경우에는 OEM을 요구, 기업의 컨셉에 맞춰 로고나 색상을 변경하는 경우가 다반수임


□ 인터뷰

 

 ㅇ 아르헨티나 포장재 협회 (Instituto Argentino del Envase-IAE-)의 회장인 호르헤 아세베도 (Jorge Acevedo)에 의하면 현지 내 포장재 업체들이 바이어폴리머(Biopolymers)등을 통해 친환경제품 생산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언급하였고, 이는 아르헨티나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사항이라 언급함.
 

  ㅇ 남미 주요 화장품 기업 중 하나인 NATURA의 아르헨티나 담당자인 디에고 데 레오네(Diego de Leone)에 의하면 메이커 Natura의 포장재는 자연친화적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2050년까지 아르헨티나 내 판매된 플라스틱 패키징을 50%까지 재활용 할 수 있을것이라 언급함. 아르헨티나에서도 점차 스마트 컨슈머가 늘어감에 따라 친환경 제품, 패키징의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사료됨.


□ 관세율 및 수입규제 제도


 ㅇ 아르헨티나에서 수입시 남미공동시장 (MERCOSUR) 회원 5개국 (아르헨티나, 브라질, 우루과이. 파라과이, 베네수엘라)을 제외한 국가들은 제3국가로 구분되며 공통의 관세를 적용하고 있고, 남미공동시장 역내국간 거래는 일부 품목을 제외하면 무세로 가능함


 ㅇ 제 3국 공통관세 : 18%


제품명

화장품 용기

HS CODE

3923.00

관세

한국(제3국)

남미공동시장(MERCOSUR)

18%

0%

통계세

2.5%

0%


수입관세 및 관련세(한국 등 제3국 기준)

구분

요율

 CIF 가격 100 일때 관세(산식)

대외세

관세

18%

18 (100 x 18%)

통계세

2.5%

2.5 (100 x 2.5%)

대내세

부가세

21%

25.305 [(18+2.5+100)x21%]

추가부가세

20%

24.10 [(18+2.5+100)x20%]

소득세

6%

7.23 [(18+2.5+100)x6%)]

매출세

2.5%

3.012 [(18+2.5+100)x2.5%)]

합계(CIF + 세금)


180.1475

주: 대외세 =CIF 가격 x 세금별 요율, 대내세 = (CIF 가격 + 대외세 총합) x 세금별 요율

 자료: Tarifar


 ㅇ 수입규제

   - 아르헨티나는 수입허가제(LNA, Licencia NO Automatica)를 통해 민감한 품목을 중심으로 규제를 진행하고 있음.

   - 동 품목의 경우 수입허가제 품목이 아니나 세부 HS Code에 따라 최저가격수입제(Valor Criterio)에 해당될 수 있으므로 수출 전 수입자와 확인 필요할 것으로 사료됨.


□ 시사점


 ㅇ 현재 아르헨티나는 가격이 중요한 포인트로 작용하고 있으나 일반 용기류 보다는 차별화가 된 제품을 통해 부가가치가 높은 품목 위주로 진출 시 시장공략 가능할 듯


 ㅇ 또한, 아르헨티나 시장의 경우 공급업체를 잘 바꾸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음을 인지하고 꾸준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됨.



자료: GTA(Global Trade Alta), Tarifar, KOTRA 부에노스아이레스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아르헨티나에 화장품 용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