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미국 가정용 가구 시장동향
  • 상품DB
  • 미국
  • 뉴욕무역관 김동그라미
  • 2019-11-08
  • 출처 : KOTRA

- 미 가정용 가구 시장 1,011억 달러 규모-

- 부동산 시장 활성화와 경제성장이 가정용 가구 시장 성장 견인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 가정용가구

 

  ㅇ HS Code : 9401.90

 

□ 시장 규모 및 동향


  2018년 미국 가정용 가구 시장 규모는 1,0113,960만 달러로 전년대비 1.7% 성장

    - 2018년을 기점으로 지난 5년간 가정용 가구 소매 판매 채널이 다양화되었고, 경제 성장에 따른 가처분 소득의 증가, 부동산 시장의 활성화 등으로 꾸준한 성장을 지속

    - 2018년 미 가정용 시장에서 가장 큰 판매 비중을 차지한 품목은 소파와 의자, 침대 대용이 가능한 소파류로 전체의 27.7%에 달함.

- 그 외 침실용 가구(16.0%), 침구류(14.5%), 다이닝용 가구(11.4%)로 그 뒤를 이음 - 동 시장은 오는 2023년까지 1066억 달러 이상으로 성장할 전망

    - 신규주택 착공의 지속적인 증가, 소비자 신용도 향상 등은 향후 가정용 가구 시장의 호재로 작용하나 경기 성장의 둔화에 따른 소비자 신뢰지수의 하락은 시장 성장에 부정적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됨.

 

미국 가정용 가구 시장 규모 및 전망

(단위: 백만달러)

연도

시장규모

2014

92,524.7

2015

95,304.4

2016

96,586.5

2017

98,231.3

2018

101,139.6

2019

103,355.1

2020

103,046.5

2021

104,152.7

2022

105,126.4

2023

106,603.2

자료: IBIS World(The Retail Market for Home Furniture & Bedding in the US, 201812)

 

2018년 미국 가정용 가구 시장 품목별 판매 비율

 

자료: IBIS World(The Retail Market for Home Furniture & Bedding in the US, 2018 12)

 

  ㅇ 온라인 가구 매장이 등장하고, 소비자들이 가격에 민감해지면서 업체간 가격 경쟁이 치열해짐.

    - 2018년까지 지난 5년간 연평균 가정용 가구 가격은 1.5% 증가했음.

    - 프리미엄 가구가 여전히 전체 가구 시장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IKEA 같은 저가 가구 브랜드의 높은 선호도, 저가 가구를 판매하는 온라인 가구 매장의 증가, 온라인을 통해 가구 가격 비교의 용이는 가구 가격 인상을 억제하는 요인으로 작용

    - 소매 가구점의 마진율도 20134.4%에서 2018 4.3%로 감소

 

온라인 가구점 WayfairOverstock.com

 

자료: 각 사 홈페이지 캡쳐

 

  ㅇ 가정용 가구의 최대 소비층은 35~44세 소비자

    - 2018년 미 가정용 가구 시장의 연령별 소비자 비율은 35~44세가 22.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55~64(18.1%), 25~34(17.9%) 순으로 조사됨.

    - 35~44세 연령층은 다른 연령 집단에 비해 첫 주택구매자의 비율이 높아 가구 교체 수요가 컸음.

    - 2위인 55~64세 소비자는 나이가 어린 소비 집단에 비해 침구류 구입 비율이 높았음.

 

2018년 미 가정용 가구 시장 연령별 소비자 비율(매출액 기준)

 

자료: IBIS World(The Retail Market for Home Furniture & Bedding in the US, 2018 12)

 

□ 최근 3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2018년 미국의 가정용 가구 수입액은 1009,151만 달러로 전년비 3.49% 증가

 

  ㅇ 미국 가정용 가구 수입 시장은 멕시코와 중국, 캐나다 등 상위 3개국이 전체 시장의 83%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

    - 특히 멕시코는 수입시장 점유율 60.91%로 압도적인 비율을 기록하며 1위에 오름.

    - 10위권 국가 가운데 전년비 두 자릿수 성장률을 보인 국가는 일본(11.25%), 독일(29.0%), 한국(11.0%), 프랑스(22.4%)임.

 

미국의 가정용 가구 수입현황

(미용, 의료용, 치과용을 제외한 의자 HS Code 940190 기준)

구분

수입액(백만 달러)

비중(%)

2016

2017

2018

2016

2017

2018

전체

10,429.007

9,751.314

10,091.513

100

100

100

1

멕시코

6,611.96

6,110.60

6,146.33

63.4

62.66

60.91

2

중국

1,304.47

1,307.57

1,427.03

12.51

13.41

14.14

3

캐나다

895.791

823.783

898.454

8.59

8.45

8.9

4

베트남

416.281

340.002

312.526

3.99

3.49

3.1

5

일본

170.805

176.384

196.228

1.64

1.81

1.94

6

독일

165.219

148.27

191.263

1.58

1.52

1.9

7

대한민국

164.992

136.341

151.369

1.58

1.4

1.5

8

대만

98.045

107.931

123.436

0.94

1.11

1.22

9

영국

87.82

100.348

105.904

0.84

1.03

1.05

10

프랑스

43.269

46.406

56.783

0.42

0.48

0.56

자료원: 미국 통계청

 

□ 대한 수입규모 및 동향

 

  2018년 대미 가정용 가구 수출은 약 15,140만 달러로 전년대비 11.0% 증가

 

  ㅇ 수입시장 점유율은 1.5% 7위에 랭크됐으며, 지난 2005년 이후 꾸준히 10위권 내에 들었음.

    - 2019 1~8월 누적 대미 수출액은 18만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1.77% 증가했음.

    - 같은 기간 미국의 동 품목의 수입규모는 66380만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1.41% 감소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지난해 미 가정용 가구 시장의 최대 점유율을 기록한 기업은 Ashely Furniture Industries임.

    - 미 최대 가구 기업인 Ashely Furniture Industries의 시장 점유율은 13.6%

    - 동 기업은 가구 제조 및 소매 판매 기업으러 전국에 500개 매장과 12개의 물류 거점을 확보하고 있음.

    - 온라인 가구점이 각광 받으면서 지난 2017 6월 와이오밍주에 50만스퀘어피트 규모의 거대 온라인 물류센터를 구축하며 시장의 변화에 대응하고 있음


  ㅇ 2위와 3위는 La-Z-Boy Dorel Industries.  

    - 등받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안락의자로 잘 알려진 가구회사 La-Z-Boy의 가정용 가구 시장 점유율은 4.9%

    - 미국에 5개의 가구 제조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가구 딜러, 백화점, 그 외 아웃렛, La-Z-Boy 가구 전문 매장을 통해 판매되고 있음.

      · 전체 매출의 약 60%La-Z-Boy 전문 매장에서 발생

    - Dorel Industries 1.3%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 캐나다 퀘벡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가구와 함께 유아용품, 자전거를 판매하고 있음.

 

□ 유통구조

 

  ㅇ 가정용 가구는 다른 소비재와 마찬가지로 지난 5년간 온라인 판매 비율이 증가했으나 그 속도는 다소 느림.

    - IBIS World는 가정용 가구의 온라인 판매가 증가했으며, 향후에도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으나 가구라는 판매재의 특성상 속도는 다른 품목에 비해 좀 느릴 것으로 전망

 - 가구 소비자들은 사용할 가구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기 원하고, 가구의 배송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오프라인 매장을 선호하는 경향이 큼.

- 하지만 편리한 온라인 쇼핑의 매력도가 높아 오프라인 매장만을 둔 기업들이 온라인 부분에 투자를 지속하고 있는 추세

 

  ㅇ 온라인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소비자 직접 판매(Direct to Consumer; D2C) 방식이 가구 시장에도 확대되고 있음.

    - 니치 브랜드를 중심으로 생산자가 다른 유통 경로를 거치지 않고 소비자에게 직접 제품을 판매하는 방식이 보편화되고 있음

    - 특히 박스 매트리스 분야는 D2C 브랜드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매트리스 시장 성장을 주도

 

대표적인 D2C 박스 매트리스 브랜드 캐스퍼

 

자료:  Caper 홈페이지

 

□ 관세율, 수입규제, 인증

 

  ㅇ 관세율

HS Code

일반관세율

한미 FTA 관세율

9401.90.10

무관세

-

9401.90.15

무관세

-

9401.90.25

무관세

-

9401.90.35

무관세

-

9401.90.40

무관세

-

9401.90.50

무관세

-

자료원: 미국 무역행정청

 

  ㅇ 수입규제 및 인증

    - 미국 소비자 제품 안전위원회(CPSC)의 안전기준 및 안전성 테스트 증빙 서류 준비

      · CPSC는 소비자 안전법(Consumer Safety Act)에 따라 사고감소 목적으로 안전 규격을 제정

      · 가구제품 관련 CPSC의 안전기준 참고 페이지 (https://www.cpsc.gov/s3fs-public/Highlights%20of%20Requirements%20for%20Furniture%20Sold%20in%20the%20US%20En.pdf)

    - 목재가구의 경우 사용하는 목재의 종류에 따라 환경청(EPA)이 규정하는 포름알데히드 배출 규제가 적용됨.

 

□ 시사점

 

ㅇ 미 부동산 시장의 활성화, 경제 성장에 따른 소비심리 확대 등의 영향으로 가정용 가구 시장도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왔음.

  - 하지만 향후 경제 성장의 둔화가 전망되면서 가정용 가구 시장의 성장도 다소 주춤할 것이라는 전망

 

ㅇ 미국 가구 시장은 수입 의존도가 높은 만큼 한국 수출 기업이 지속적으로 눈여겨볼만함.

    - 2019년 미국 가정용 가구 시장의 수입의존도는 56%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이 비율은 오는 2023년에 57.1%가 될 것으로 예상됨.

    - 미국의 주요 가구 수입국인 중국이 추가관세 부과의 영향으로 수입시장에 변동이 예상됨.

      · 미국의 301조 제재에 따른 것으로 일부 가정용 가구 제품에 추가관세 부과

    - 이를 기회로 반사이익을 누리기 위한 전략이 요구됨.

    - 가정용 가구 및 홈 데코 기업의 A 바이어는 중국산 추가 관세는 가격 경쟁이 치열한 가구 시장에서 부담이 되고 있다지속적으로 수입선을 전환해가고 있는 단계라고 밝힘.

 

30~40대 소비자들이 가구 시장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만큼 이들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판매 방식과 가격정책이 필요함.

  - 편리한 온라인 쇼핑을 선호하고, 합리적인 소비를 하는 세대

  - 옴니채널 방식의 판매와 서브스크립션 방식의 가구 렌탈 산업은 주목할 만함.

 


자료원 : IBIS World, Euromonitor, 미국 통계청, 미국 무역행정청 및 코트라 뉴욕 무역관 보유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국 가정용 가구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