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낚시용품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항저우무역관
  • 2019-11-25
  • 출처 : KOTRA

- 중국 낚시 인구는 약 1억 2000만 명으로 추산, 낚시용품 시장 연평균 10% 성장 중 -

- 중국 소비자는 수입 브랜드를 선호하나 가격 민감도는 비교적 높은 편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낚시 용품에 포함된 제품 군은 낚시 릴, 낚시대, 낚시 바늘, 낚시 망 등이 있음

 

  ㅇ HS CODE: 낚시 용품 여러 제품이 포함된 9507 기준

상품명

HS CODE

(한글)낚시용품

(중문)钓鱼工具

9507

 9507 30 낚시 릴

 9507 10 낚시대

 9507 20 낚시바늘

 950790 낚시 망 등 기타

 

□ 중국 낚시용품 시장규모 및 동향

 

  ㅇ 시장규모

    - 중국은 낚시용품 생산 대국이자 거대한 소비시장으로, 중국낚시협회 (中国钓鱼协会) 통계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중국 낚시 인구는 약 1억 2000만 명으로 추산

    - 중국보고망(中国报) 에 따르면, 2018년 중국의 낚시용품 판매량은 전년대비 14.7% 증가한 약 7900만 세트이며,  2023년 수요량은 약 1억 3300만 세트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또한,  2018년 기준 낚시용품 시장의 매출규모는 90억 5천만 위안(한화 약 1조 6천억원)을 기록하며 2012년 이후 연평균 10%대의 꾸준한 시장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음   

    - 품목별로 차지하는 판매 비중은 낚시대 30.77%, 낚시 바늘 14.76%, 낚시 릴 5.34% 등의 순서로 나타남

   

2012~2018년 중국 낚시용품 시장규모 추이

단위: 억 위안, %

자료원:

 

□ 수입동향

 

  ㅇ 최근 3년간 낚시용품 수입 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 동향

    - 2018년 기준 중국의 낚시용품 수입 규모는 6739만 4000달러로 전년대비 28.2% 증가함

    - 주요 수입국은 일본, 말레이시아,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이며 한국은 그 뒤를 이어 6위를 차지하고 있음 


중국 낚시용품 국가별 수입동향(HS Code: 9507)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명

수입액

증감률

2016

2017

2018

2018/2017

총계

51,761

52,569

67,394

28.2

1

일본

26,355

24,457

28,787

17.7

2

말레이시아

2,683

6,854

8,989

31.2

3

베트남

1,811

2,018

4,441

120.1

4

인도네시아

1,377

3,146

4,313

37.1

5

태국

2,039

2,932

3,647

24.4

6

한국

5,309

4,361

3,549

△18.6

7

미국

2,719

2,299

3,019

31.3

8

북한

319

497

1,903

283.0

9

프랑스

1,406

1,436

1,815

26.4

10

대만

1,003

1,002

1,115

11.3

자료원: KITA


  ㅇ 대한 수입 규모

    - 한국은 2016년까지 중국 낚시용품 수입국 중 일본 다음으로 2위를 유지해 왔으나 브랜드 경쟁 심화, 가격 경쟁력 저하 등의 원인으로 수입액이 감소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 2018년 대 한국 수입 규모는 전년대비 18.6% 하락한 354만 9000달러로 전체 수입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2017년 8.3%에서 2018년 5.3%로 축소됨
 

최근 10년 간 중국 낚시용품(HS Code: 9507)의 대한 수입동향

(단위: 천 달러, %)

자료원: KITA

 

□ 경쟁동향

ㅇ 중국 주요 경쟁 브랜드

브랜드명

소개

 

광웨이(光威)

 - 본사 소재지: 산둥성 위해시(省威海市)                          

 - 특징: 1987년 11월에 설립된 낚시용품을 생산하는 대기업임. 직원규모는 3,500여 명이며, 64개

  국가와 지역에 수출 중임. 2017년에 중국 선전 주식시장에 상장함.

 - 홈페이지: www.gwfishing.com

 디쟈(迪佳)

 - 본사 소재지: 대만                                              

 - 특징: 1965년 다진()이란 회사명으로 대만에서 설립됨. 1981년에 일본 DAIWA, 미국 BROWNING, 스위스 ABU와 합작하여 태국에 진출함. 중국 상하이와 닝보에 공장을 설립하여 R&D, 생산 판매 중현재 전세계 40여 개 국가에 대리점을 운영하고 있음.

 - 홈페이지: www.ticaglobal.com

 타이핑양(太平洋)

- 본사 소재지: 대만 

- 특징: 1976년에 설립되어 낚시 줄 생산을 시작으로 현재는 다양한 낚시 용품을 전문적으로 생산대리판매를 진행함. 주요 취급품은 낚시대, 낚싯줄, 낚시 바늘, Dyneema PE실, 낚시 릴 등이 있음.

- 홈페이지: www.pokeefishing.com

 

 시마뤄(禧玛诺)

- 본사 소재지: 일본

- 특징: 브랜드 소속사(野株式社)는 1921년에 설립되어 낚시, 자전거, 보트 등 용품 등을 연구개발, 디자인, 생산 및 판매하는 기업임2001년에 중국 상하이에 진출하여 중국 시장에 낚시 및 자전거 등 아웃도어 엑티비티 문화를 보급 전파하는 역할을 함. 

- 홈페이지: http://shimano-fishchina.com


다이와(达亿瓦)


- 본사 소재지: 일본                                            

- 특징: 1945년에 설립되어 주로 낚시, 골프, 테니스, 자전거 등 아웃도어 용품을 생산함. 2005년 중국 광저우에 진출함. 현재 중국, 영국, 베트남, 태국 등 국가에 공장을 설립하고, 중국, 미국영국, 독일, 프랑스, 태국, 한국, 싱가포르 등 국가에 판매거점을 설립함. 

- 홈페이지: www.daiwachina.com

자료원: 十大品牌

 

□ 유통구조

 

  ㅇ 낚시용품의 주요 유통채널은 온라인의 경우 티몰, 징둥, 타오바오 등이 있고, 오프라인은 백화점, 철물점, 낚시용품 전문점 등임

    - 외국기업들은 중국 내 대리상을 선정하거나 중국 현지에 지사를 설립하여 직접 판매하는 방법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다수임


낚시용품 현지 유통구조

자료원: KOTRA 항저우무역관 자체 정리


낚시용품 주요 오프라인 도매 시장

유통시장

소개

중국 낚시용품 박람성 도매시장

国钓具之都博城批

- 중국 산동성 위해시에 소재한 중국 최대 낚시용품 도매시장으로 건축 면적이 67이며 총 투자금액이 30억 위안임. 1천여 개의 상가 운영중.

- 주소: 省威海市经济术开发区周宁路1(202省道西)  

- 대표전화: +86) 631-3560666

허베이 다창 낚시용품 도매시장

河北大厂渔具城

- 270여 개 낚시용품 상가가 입주해 있으며, 1만여 가지 국내외 각종 규격, 브랜드 제품을 판매하고 있음.                          

- 주소: 河北省廊坊市大回族自治102旁      

- 대표전화: +86) 316-8861551

후난 가오챠오 낚시용품 도매시장 

湖南高桥渔具批

- 후난성 최대 낚시용품 도매시장임.                      

주소: 湖南省沙市一段578                               

- 대표전화: +86) 731-85982201

진화디 낚시용품 도매시장

金花地具批

- 광동성에 소재한 낚시용품 시장으로 주로 낚시대, 낚시함, 낚시바늘, 낚시찌 등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도매시장임.                       

- 주소: 广州市荔湾区花地大道中3

- 대표전화: +86) 20-81402039, +86) 20-81405326                  

자료원: 批发市场网

 

□ 관세율 및 수입규제

  ㅇ 2019년 기준 낚시용품의 최혜국 세율은 6%이며, 한중FTA 세율은 0%

- 해당 품목은 한중 FTA 협정에 근거하여 협정 발효일을 시작으로 즉시 관세 철폐함으로써 무관세 혜택을 받음

 

낚시용품(HS CO DE 9507) 관세율 비교 

2019 MFN

2019 APTA

2019 한중 FTA

보통 세율

6%

-

0%

80%

 자료원: 중국 관세청

 

  ㅇ 통관 수속 시 주요 구비서류

    - 제품리스트, 패킹리스트, 인보이스, 무역계약서, 원산지증명, 통관 대리 위탁서


  ㅇ 주의사항

     - 해관에서 납세 증명서를 발급 후 7일 내로 납세하지 않을 경우, 연체금이 부과됨

     - 화물이 항구에 도착 후, 14일 내로 해관에 신고하지 않을 경우, 연체금이 부과되고 3개월이 지나도 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해관에서 화주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자체 매각 처분 

 

□ 시사점
 

  ㅇ 중국 여가 활동 인구 증가에 따른 시장 기회 확대

    - 낚시는 남녀노소 모두 여가생활 및 취미로 즐기는 아웃도어 엑티비티로 관련하여 동호회, 사교 모임 등을 조직하여 여가 시간을 보내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음

    - 따라서 낚시복, 장갑, 신발, 낚시대, 의자 등 낚시 관련 용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캠핑, 등산, 낚시 관련 용품을 판매하는 아웃도어 제품 전문 온오프라인숍을 통한 제품 구매가 증가하고 있음


  ㅇ 수입품을 선호하나 가격 민감도는 높은편

    - 낚시대와 같은 낚시용품의 경우 일본, 한국, 대만 등 수입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비교적 높으나 수입 완제품은 가격대가 높아서 대부분 글로벌 브랜드에서 중국 내 합자법인을 설립하여 중국 내 생산을 통한 가격 경쟁력 확보에 나서고 있음

    - 현재 중국에 진출한 대표적인 한국 낚시용품 기업으로는 'DONGMI', 'N·S' 등이 있으며 로컬기업과 합자법인을 설립하는 등 방식으로 생산단가를 낮춰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음

  ㅇ 현지 낚시용품 전문점 L사 매니저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낚시용품의 가격대는 천차만별로 소비자별로 낚시 용품 구입에 투자하는 가격대는 1천 위안 초반부터 3만 위안 이상까지 다양함. 판매점 입장에서 로컬 브랜드 제품보다는 수입 브랜드가 고가격대를 형성하고 있고 마진 구조를 유리하게 가져갈 수 있어 수입품 위주로 판매 전략을 취하는 매장이 다수라고 전함 

 


자료원: 询, KITA, 十大品牌网, 国报网, 钓鱼网, KOTRA 항저우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낚시용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