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미얀마 김시장 수요 증가세
  • 상품DB
  • 미얀마
  • 양곤무역관 Thu Thu Aung
  • 2019-10-21
  • 출처 : KOTRA

- 미얀마에서 김 수요 증가, 태국산이 대부분 -

- 편의점, 마트에서 한국산 가공 김 등장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 Seaweeds And Other Algae, Fit For Human Consumption


  ㅇ HS Code : 1212.21

 

시장동향 및 규모

 

  ㅇ 미얀마 소비시장 현황

    - 미얀마 인구는 약 53만 명 규모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으며 20231인당 구매력기준(ppp) 소득 1만 달러를 초과할 전망

    - Asia Development Bank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미얀마 경제성장률은 6.8% 달성하였고 2018-19 회계연도에는 6.8~7.2%가량 성장할 것으로 예상

    - 현지에서 한국 드라마의 높은 인기로 인해 한류 및 일부 한국 상품에 대한 인지도가 상당히 높아 이는 소비재, 식품 등을 중심으로 한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미얀마 GDP 및 산업별 경제성장률 기여도

자료 : 월드뱅크


  ㅇ 미얀마 가공식품 산업 현황

    - 2017년 미얀마 식품 생산기업은 39천 개에서 44천 개로 증가

    - 농업에 기반을 둔 식품 산업은 미얀마 전체 생산량(부피 기준)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가장 많은 노동인구를 고용하고 있음.

    - 최근 정부의 규제 완화에 따른 외국인들이 미얀마 기업들과 합작 법인으로 식품 생산이 가능해짐.

    - 외국인직접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양주, 맥주, 음료수 등 음료 제조업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 식품 가공 부문에서는 베이커리 제품, 인스턴트라면, 커피, 차 그리고 전통 즉석 식품 등이 성장세를 기록

    - 2016년 미얀마 포장식품 시장의 소매 판매액은 17억 달러를 초과하였으며, 이는 2012년 대비 92% 이상의 성장률

 

수입 현황

 

  ㅇ 수입 동향 및 주요 수입국

    - 2017년 미얀마는 15억 달러에 달하는 소비재를 수입했으며 50%는 태국에서, 26%는 중국, 9%는 싱가포르, 7%는 말레이시아, 6%는 인도네시아, 나머지는 뉴질랜드, 대만, 한국, 호주에서 수입 중

    - (HS Code 1212.21 신선한 상태, 건조, 냉장 또는 냉동 김)의 경우, 2018년 연간 수입액은 약 241만 달러를 기록하며 2017년 대비 14.57% 성장. 주요 수입 대상국은 태국, 한국, 싱가포르이며 태국이 수입 시장의 94.85%로 대부분을 차지, 태국 다음으로 한국이 5%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 조미 김(HS Code 2106.90)의 경우, 2018년 기준 연간 수입량은 약 27,675만 달러로 2017년 대비 6.77% 성장함. 주요 수입 대상국은 태국(36.25%), 중국(20.92%), 싱가포르(19.11%)

 

최근 3년간 김 수입 규모 및 수입국 동향 (HS Code 2106.90)

(단위 : 천 달러, %)

수입국

2016년

2017년

2018년

증감률 (18'/17')

합계

230,130

259,209

276,754

6.769

태국

107,895

105,331

100,318

-4.76

중국

30,577

40,383

57,889

43.35

싱가포르

38,846

40,657

52,891

30.09

말레이시아

26,267

33,834

29,436

-13

인도네시아

8,491

11,108

11,403

2.66

대만

8,789

12,016

4,479

-62.72

대한민국

1,217

3,115

4,040

29.68

네덜란드

25

15

 3,880

 

독일

 959

 1,042

 3,656

 250.82

체코

 1,023

 1,397

 1,865

 33.51

자료 : Global Trade Atlas

 

  ㅇ 대한 수입규모 및 동향

    - 한국으로부터의 김 수입량은 최근 5년간 지속적 성장세를 기록

    - 2018년 한국 조미 김 수입액은 404만 달러로 전년대비 약 29.68% 이상 성장함.

 

최근 5년간 한국 조미 김 (HS Code 2106.90) 수입규모

(단위 : 천 달러)

연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대한 수입 금액

(천 달러)

898

1,059

1,217

3,115

4,040

 

자료 : Global Trade Atlas

 

미얀마 국내 경쟁동향

 

  ㅇ 국내 경쟁동향

    - 김 스낵의 경우 태국산 60%, 한국산 30% 및 기타 10%로 추정되며 태국산 김이 가격이 저렴한데다가 맛이 짠 편이라서 미얀마 소비자들의 입맛에 맞는다는 평가를 받고 있음.

    - 태국 김 브랜드로는 Masita, Norita, Tao Kae Noi 등이 있으며 그 중 Tao Kae Noi 브랜드 김 종류 중 Big Sheet의 인기가 많다고 함.

    - 조미김의 경우 청정원, 풀무원, CJ 등 유명 한국 제품도 대형 마트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음.


현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매콤한 맛의 김 스낵




Tao Kae Noi Big Sheet Seaweed (Spicy)

Ock Dong Ja Korean Seaweed (Spicy)

CJ Bibigo Crisps Seaweed Snack (Hot Spicy)

 중량 : 4 그램 x 4 개입

가격 : 2,600짜트 (1.7달러)

 중량 : 4.5 그램 x 3 개입

가격 : 2,000짜트 (1.3달러)

 중량 : 20 그램

가격 : 950짜트 (0.6달러)

자료 : shop.com.mm & 각 회사 홈페이지

 

기업별 수입 브랜드 및 제품 정보

업체명

브랜드

국가

제품 정보

CJ Food

Bibigo

한국

Snack Seaweed

Hyper Mart

Chong Woo Rim

한국

Roasted Seasoned Seaweed with Sesame Oil

SAGA AGP Trading

Ock Dong Ja

한국

Roasted Seaweed(Laver)

International City Trade Development

Yi Long Enterprise

대만

Roasted Sea Laver

Best Chemicals International

Chung Jung Won

한국

Roasted Laver(Laver for Kimbap)

MK Trading

Tao Kae Noi

태국

Snack Seaweed

자료 : 양곤 무역관 자체 시장조사

  ㅇ 유통구조

    - 조미 김, 스낵용 김의 경우 대부분 편의점, 마트, 슈퍼마켓 등을 통해 유통되고 있음.

    - 대부분의 미얀마 소비자들은 전통시장을 주로 이용하나, 최근 대형 마트와 온라인 마켓 등 새로운 경로를 통해 제품을 구입하기도 함.

    - 최대 소매유통 채널을 보유한 City Mart Holdings, Sein Gay Har, Capital Hypermarket, Myanmar Indobest, Ruby Mart, Gamone Pwint 등에서 수입산 김을 유통 중

    - 최근 인터넷 사용자가 급증하면서 온라인 마켓, 특히 페이스북을 통해 식품을 판매하는 사업자들이 증가하고 있음.

    - 미얀마에서 식품을 구입할 수 있는 최대 온라인 쇼핑몰로 shop.com이 있으며, 주문, 배송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어 많은 소비자가 이용하고 있음.  

 

관세율, 수입규제, 인증

 

  ㅇ 김 수입 관세율 및 상업세율

 

HS Code에 따른 관세율 및 상업세율 현황

(단위: %)

HS Code

HS 설명

단위

관세율

상업세율

1212.21

- Seaweeds and other algae:

- - Fit for human consumption:

Kg

5

5

2106.90

- Food preparations not elsewhere specified or included.

Kg

15

5

자료 : 관세청

 

  ㅇ 수입규제 및 인증

    - 수입업체는 식약청(FDA)에서 위생 증명서를 발급 받아야 하며 발급 비용은 서류별 약 30달러임.

    - 제출해야 되는 서류는 모두 4 종류로, Health Certificate, Certificate of Origin, Certificate of Analysis, Manufacturing License.

    - 수입제품의 포장 크기와 중량에 대해 미얀마 내에서 정해진 규정은 없으나 CODEX 국제기준을 준수해야함.

 

인터뷰 및 시사점

 

  ㅇ 미얀마 가공식품수출업자협회(Myanmar Food Processors and Exporters Association) 회장 Mr. Aye Win 인터뷰

    - 미얀마 가공식품 산업은 아직 기술과 자본이 부족한 상황

    - 정부차원에서 많은 투자와 지원이 필요한 상태이며 외국인 투자자들은 고부가가치 식품 제조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것이 좋음.

    - 현재 미얀마는 쌀, , 옥수수 등 농수산물을 단순 가공하여 생산하고 있음.

    - 통조림이나 유제품 등의 가공식품은 대부분 태국, 중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에서 수입하고 있음.

    - 미얀마 사람들의 소비 수준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며, 앞으로 식품의 품질 및 보건을 중요하게 생각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품질이 좋은 한국산 김이 지금보다 더 많은 관심을 받을 것이라 생각함.

 

   ㅇ 진출 방안

    - 2011년 이후 미얀마에서 휴대전화를 이용하고 있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모바일, 온라인을 통해 쇼핑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음.

    - 미얀마 모바일 인구 대부분이 페이스북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페이스북 페이지, 유명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마케팅이 효과적

    - 한국산 식품은 품질이 좋고 안전하다가는 인식이 퍼져 있으므로 원산지가 한국산임을 강조하는 차별화 전략 필요

    - 최근 스낵, 조미 김 가공공장을 투자하기 위해 외국 파트너사를 탐색 중인 미얀마 바이어의 인콰이어리가 있을 정도로 미얀마 바이어들은 수요가 늘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 정부가 외국합작기업의 미얀마 내 식품 가공업 영위를 허가하였기 때문에 김 가공 공장 투자진출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

 

 

자료 : 월드뱅크, Global Trade Atlas, 미얀마 관세청, 한국무역협회(KITA), shop.com, 현지 언론종합, KOTRA 양곤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얀마 김시장 수요 증가세)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